지난 연재 읽기 한뼘 양생
평소 내가 좋아하는 산책코스는 집 근처에 있는 백운호수였다. 그런데 지난 5월부터는 이 코스가 청계산으로 바뀌었다. 청계산은 집에서 차로 20분 정도 가야 해서, 백운호수보다 접근성이 떨어진다. 그래서일까? 청계산은 주말에 등산객들이 몰려올 때 빼고는, 어느 시간대에 가도 사람이 적고 한적했다. 아니 사람이 적다기보다는 산자락이 넉넉해 아파트 평수나 따지는 우리의 눈에는 언제나 널찍하고 텅 비어 보였다. 나 하나쯤 왔단 간 흔적조차 남지 않을 만큼 청계산은 ‘쏘쿨’했다.   올해 초, 나는 만성 신부전 진단을 받고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을 병행하고 있었다. 소금이 덜 들어간 식단은 입에 맞지 않았고, 하루 일과 가운데 1만보씩 걷는 시간을 규칙적으로 넣는 일도 쉽지 않았다. 낮에 바빠서 걷지 못한 날에는 하는 수 없이 달밤에 산책을 했다. 이런 강박이 스트레스가 되고 피로가 되었는지, 4월과 5월 검사결과가 좋지 못했다. 한다고 하는데도 검사결과가 나쁘게 나오니 실망이 컸다. ‘한 번 나빠진 신장은 돌이킬 수 없다더니, 진짜구나!’, ‘이제는 더 나빠지는 일만 남은 건가?’. 다시 식단조절을 하고 운동을 할 의욕이 생기지 않았다. 그러니까 내가 이름만 들어봤던 청계산에 가봐야겠다는 생각이 불현 듯 들었을 때, 나는 의욕부진과 자포자기의 심정이었다.   뭔가 일이 안 풀릴 때 산에 가는 일에 대해 나는 TV프로그램 ‘자연인’을 떠올리며 썩 내켜하지 않았다. ‘아재’나 ‘루저’스럽다고 생각했다. 이런 시큰둥한 마음과 달리, 청계산에 도착했을 때 내 발걸음은 빨라졌다. 코는 벌렁거리며 산 냄새를 맡고, 폐는 크게 심호흡을 하고, 머릿속은 단박에...
평소 내가 좋아하는 산책코스는 집 근처에 있는 백운호수였다. 그런데 지난 5월부터는 이 코스가 청계산으로 바뀌었다. 청계산은 집에서 차로 20분 정도 가야 해서, 백운호수보다 접근성이 떨어진다. 그래서일까? 청계산은 주말에 등산객들이 몰려올 때 빼고는, 어느 시간대에 가도 사람이 적고 한적했다. 아니 사람이 적다기보다는 산자락이 넉넉해 아파트 평수나 따지는 우리의 눈에는 언제나 널찍하고 텅 비어 보였다. 나 하나쯤 왔단 간 흔적조차 남지 않을 만큼 청계산은 ‘쏘쿨’했다.   올해 초, 나는 만성 신부전 진단을 받고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을 병행하고 있었다. 소금이 덜 들어간 식단은 입에 맞지 않았고, 하루 일과 가운데 1만보씩 걷는 시간을 규칙적으로 넣는 일도 쉽지 않았다. 낮에 바빠서 걷지 못한 날에는 하는 수 없이 달밤에 산책을 했다. 이런 강박이 스트레스가 되고 피로가 되었는지, 4월과 5월 검사결과가 좋지 못했다. 한다고 하는데도 검사결과가 나쁘게 나오니 실망이 컸다. ‘한 번 나빠진 신장은 돌이킬 수 없다더니, 진짜구나!’, ‘이제는 더 나빠지는 일만 남은 건가?’. 다시 식단조절을 하고 운동을 할 의욕이 생기지 않았다. 그러니까 내가 이름만 들어봤던 청계산에 가봐야겠다는 생각이 불현 듯 들었을 때, 나는 의욕부진과 자포자기의 심정이었다.   뭔가 일이 안 풀릴 때 산에 가는 일에 대해 나는 TV프로그램 ‘자연인’을 떠올리며 썩 내켜하지 않았다. ‘아재’나 ‘루저’스럽다고 생각했다. 이런 시큰둥한 마음과 달리, 청계산에 도착했을 때 내 발걸음은 빨라졌다. 코는 벌렁거리며 산 냄새를 맡고, 폐는 크게 심호흡을 하고, 머릿속은 단박에...
겸목
2021.07.27 | 조회 454
지난 연재 읽기 한뼘 양생
  조금이라도 일어나서 돌아다녀야 한다     문탁에서 공부를 시작하면서 가장 많이 들은 말 중 하나가 “공부는 엉덩이의 힘으로 한다”이다. 그만큼 책상 위에 앉아 있는 시간이 공부에는 절대적이라는 말이다. 처음에 이 말을 들었을 때 머리가 좋아야 공부를 잘한다는 말이 아니어서 좋았다. 누구나 엉덩이의 힘만 있다면 공부를 해나갈 수 있는 거구나! 희망이 생기는 말이었다. 실제 루쉰을 공부할 때는 루쉰에 푹 빠져서 고3 때보다 오래 책상에 앉아 시간을 보내기도 했다. 그럼에도 내 엉덩이 힘이 진짜 발휘될 때는 따로 있다. 그것은 바로 동영상(영화나 드라마 등)을 시청할 때다. 인생에 도움이 안 된다며 30대 초에 TV를 없앴지만 외국어 공부를 핑계로 일드, 미드를 보느라 컴퓨터 앞에서 밤을 새우기 일쑤였다. 지금은 OTT 스트리밍 서비스를 보기 위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들고 침대로 향한다. 이젠 엉덩이의 힘도 필요 없는 시절이 되었다. 침대 위에서 누워서 보거나 비스듬히 앉아서 보거나.          이렇게 움직이지 않고 의자 위에서나 침대 위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고 나면 몸 컨디션이 급속히 저하되곤 한다. 공부도 몰아서 하고 나면 몸이 안 좋아진다. 처음엔 이런 습관이 안 좋은 이유는 단지 밤 시간에 잠을 푹 못 자서라 생각했다. 그러다 ‘인문의역학 세미나’에서 읽은 빌 브라이슨의 『바디, 우리 몸 안내서』에서 뭔가를 발견했다. 그는 여러 래퍼런스를 종합해 아래와 같이 적고 있다. “놀랍게도, 그리고 우려스럽게도, 나머지 시간에 운동을 얼마나 하느냐는 중요하지 않은 듯하다....
  조금이라도 일어나서 돌아다녀야 한다     문탁에서 공부를 시작하면서 가장 많이 들은 말 중 하나가 “공부는 엉덩이의 힘으로 한다”이다. 그만큼 책상 위에 앉아 있는 시간이 공부에는 절대적이라는 말이다. 처음에 이 말을 들었을 때 머리가 좋아야 공부를 잘한다는 말이 아니어서 좋았다. 누구나 엉덩이의 힘만 있다면 공부를 해나갈 수 있는 거구나! 희망이 생기는 말이었다. 실제 루쉰을 공부할 때는 루쉰에 푹 빠져서 고3 때보다 오래 책상에 앉아 시간을 보내기도 했다. 그럼에도 내 엉덩이 힘이 진짜 발휘될 때는 따로 있다. 그것은 바로 동영상(영화나 드라마 등)을 시청할 때다. 인생에 도움이 안 된다며 30대 초에 TV를 없앴지만 외국어 공부를 핑계로 일드, 미드를 보느라 컴퓨터 앞에서 밤을 새우기 일쑤였다. 지금은 OTT 스트리밍 서비스를 보기 위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들고 침대로 향한다. 이젠 엉덩이의 힘도 필요 없는 시절이 되었다. 침대 위에서 누워서 보거나 비스듬히 앉아서 보거나.          이렇게 움직이지 않고 의자 위에서나 침대 위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고 나면 몸 컨디션이 급속히 저하되곤 한다. 공부도 몰아서 하고 나면 몸이 안 좋아진다. 처음엔 이런 습관이 안 좋은 이유는 단지 밤 시간에 잠을 푹 못 자서라 생각했다. 그러다 ‘인문의역학 세미나’에서 읽은 빌 브라이슨의 『바디, 우리 몸 안내서』에서 뭔가를 발견했다. 그는 여러 래퍼런스를 종합해 아래와 같이 적고 있다. “놀랍게도, 그리고 우려스럽게도, 나머지 시간에 운동을 얼마나 하느냐는 중요하지 않은 듯하다....
둥글레
2021.07.13 | 조회 367
지난 연재 읽기 한뼘 양생
혜강은 “양생에는 다섯 가지 어려움이 있다. 명예와 이익을 버리지 못하는 것이 첫째 어려움이고, 기뻐하고 성내는 것을 버리지 못하는 것이 둘째 어려움이며, 음악과 여색을 버리지 못하는 것이 셋째 어려움이고, 기름진 음식을 끊지 못하는 것이 넷째 어려움이며, 정신이 허약하고 정기가 흩어지는 것이 다섯째 어려움이다. 이 다섯 가지가 가슴속에 없으면 마음이 편안해지고 말과 행동이 자연히 올바르게 된다. 좋은 일을 하려고 애쓰지 않아도 복이 오고, 오래 살기를 바라지 않아도 저절로 오래 살게 된다. 이것이 양생의 큰 원칙이다”라고 하였다. 『낭송 동의보감』 「내경편」 93쪽     혜강은 중국 위진남북조 시대 죽림칠현(竹林七賢) 중의 한 사람이다. 이 문장에서 혜강은 양생을 어렵게 하는 요소를 다섯 가지로 나누고 있다. 천 팔백 년 정도 시간이 지났음에도 양생과 관련해서 여전히 유효하게 읽혔다. 음악을 버려야한다는 부분만 빼면. 이 부분을 찾아보니 혜강은 성유애락론(聲有哀樂論), 즉 유가에서 음악이 심성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함에 반대하는 성무애락론(聲無哀樂論)을 펼쳤다고 한다. 그에 의하면 음악에 본성이나 질서들의 인위적인 가치를 부여하지 말고 소리 자체의 자연스러움에 의미를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요즘은 대부분 취향에 따라 음악을 듣는데 이것은 양생일까 아닐까. 어렵다. 그래서 계속 이 문장을 읽다보니 양생보다는 어렵다는 형용사가 눈에 들어왔다. 어렵다는 이 말은 어떤 의미를 포함하고 있을까?     관직에 나가서 이름을 날리는 명예를 바라는 시대는 지났다고 해도 유튜브 등의 미디어를 통해 이름을 알리고 싶은 이들이 수두룩하다. 이름을 알리면 고소득의 이익도 따라온다. 감정을 표현하고...
혜강은 “양생에는 다섯 가지 어려움이 있다. 명예와 이익을 버리지 못하는 것이 첫째 어려움이고, 기뻐하고 성내는 것을 버리지 못하는 것이 둘째 어려움이며, 음악과 여색을 버리지 못하는 것이 셋째 어려움이고, 기름진 음식을 끊지 못하는 것이 넷째 어려움이며, 정신이 허약하고 정기가 흩어지는 것이 다섯째 어려움이다. 이 다섯 가지가 가슴속에 없으면 마음이 편안해지고 말과 행동이 자연히 올바르게 된다. 좋은 일을 하려고 애쓰지 않아도 복이 오고, 오래 살기를 바라지 않아도 저절로 오래 살게 된다. 이것이 양생의 큰 원칙이다”라고 하였다. 『낭송 동의보감』 「내경편」 93쪽     혜강은 중국 위진남북조 시대 죽림칠현(竹林七賢) 중의 한 사람이다. 이 문장에서 혜강은 양생을 어렵게 하는 요소를 다섯 가지로 나누고 있다. 천 팔백 년 정도 시간이 지났음에도 양생과 관련해서 여전히 유효하게 읽혔다. 음악을 버려야한다는 부분만 빼면. 이 부분을 찾아보니 혜강은 성유애락론(聲有哀樂論), 즉 유가에서 음악이 심성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함에 반대하는 성무애락론(聲無哀樂論)을 펼쳤다고 한다. 그에 의하면 음악에 본성이나 질서들의 인위적인 가치를 부여하지 말고 소리 자체의 자연스러움에 의미를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요즘은 대부분 취향에 따라 음악을 듣는데 이것은 양생일까 아닐까. 어렵다. 그래서 계속 이 문장을 읽다보니 양생보다는 어렵다는 형용사가 눈에 들어왔다. 어렵다는 이 말은 어떤 의미를 포함하고 있을까?     관직에 나가서 이름을 날리는 명예를 바라는 시대는 지났다고 해도 유튜브 등의 미디어를 통해 이름을 알리고 싶은 이들이 수두룩하다. 이름을 알리면 고소득의 이익도 따라온다. 감정을 표현하고...
기린
2021.06.22 | 조회 448
지난 연재 읽기 아젠다 사장칼럼
    나까지 보탤 것은 없다고 생각했다, ‘이준석’에 대해. <아젠다>가 뭐 정론지도 아니고 내가 뭐 오피니언 리더도 아니지 않는가? 그런데 또 다시 생각해보니 <아젠다>가 시사저널도 아니고 내가 시사평론가도 아니니 기껏해야 50명 좀 넘게 구독하는 <아젠다>의 친구들에게 이준석 현상에 대해 혹은 이준석으로 촉발된 몇 가지 개인적 단상에 대해 이야기 하지 못할 이유도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작금의 요란한 이준석 현상에 대한 나의 태도는 뭐랄까, 한편으로는 쏠쏠한 재미도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언제 그만 봐도 상관없는 TV 연예프로그램이나 운동 경기를 관람하는 것 같은, 그런 것이었다. 물론 의미 있는 쟁점도 있다. 얼마 전 읽은 「능력주의 비판을 비판한다」 (이범, 2021.06.10. 경향신문) 같은 과감한(?) 칼럼, 이에 대해 “조만간 24만자 정도의 글로 이런 무지한 소리들을 비판”하겠다는 박권일의 코멘트 같은 것. 그러나 이 밖에는 대체로 “세대교체의 바람과 변화에 대한 바람을 담아” 따위의 식상한 멘트, 혹은 “헌정 사상 처음”이라거나 “이준석발(發) 정치혁명” 같은 호들갑, 혹은 배 들어왔을 때 노 젓겠다는 식의 청년동원 이벤트들의 소란스러움뿐이다. 바람 같은 것, 좀 더 심하게 말하면 “식혜 위에 동동 뜬 밥풀”^^ 같은 것, 이게 작금의 이준석 현상에 대한 나의 인상평이다.     그러다가 갑자기 현타가 온 순간이 있었는데 바로 이준석의 현충원 방명록 글씨를 두고 민 아무개라는 국회의원이 “신언서판” 어쩌고, “어색한 문장” 어쩌고 하면서 훈수를 두었을 때였다. 왜냐하면 나 역시 포털에서 그의 글씨체를 본 순간 ‘헉’ 싶은 마음이 들었고, 문장이 좀 이상하다고 생각했으며, 동시에 ‘신언서판(身言書判)’이라는 네 글자를 떠올렸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민 아무개라는, 4.15총선이 부정선거라고 주장하여 자신의 당에서조차 ‘수구꼴통’으로 왕따를 당하고 있는 그런 사람과 내가 정확하게 같은 정서반응을 보이고 똑같은 사자성어를 떠올린 것이었다. 헐, 내 안에 민 아무개 있었어?...
    나까지 보탤 것은 없다고 생각했다, ‘이준석’에 대해. <아젠다>가 뭐 정론지도 아니고 내가 뭐 오피니언 리더도 아니지 않는가? 그런데 또 다시 생각해보니 <아젠다>가 시사저널도 아니고 내가 시사평론가도 아니니 기껏해야 50명 좀 넘게 구독하는 <아젠다>의 친구들에게 이준석 현상에 대해 혹은 이준석으로 촉발된 몇 가지 개인적 단상에 대해 이야기 하지 못할 이유도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작금의 요란한 이준석 현상에 대한 나의 태도는 뭐랄까, 한편으로는 쏠쏠한 재미도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언제 그만 봐도 상관없는 TV 연예프로그램이나 운동 경기를 관람하는 것 같은, 그런 것이었다. 물론 의미 있는 쟁점도 있다. 얼마 전 읽은 「능력주의 비판을 비판한다」 (이범, 2021.06.10. 경향신문) 같은 과감한(?) 칼럼, 이에 대해 “조만간 24만자 정도의 글로 이런 무지한 소리들을 비판”하겠다는 박권일의 코멘트 같은 것. 그러나 이 밖에는 대체로 “세대교체의 바람과 변화에 대한 바람을 담아” 따위의 식상한 멘트, 혹은 “헌정 사상 처음”이라거나 “이준석발(發) 정치혁명” 같은 호들갑, 혹은 배 들어왔을 때 노 젓겠다는 식의 청년동원 이벤트들의 소란스러움뿐이다. 바람 같은 것, 좀 더 심하게 말하면 “식혜 위에 동동 뜬 밥풀”^^ 같은 것, 이게 작금의 이준석 현상에 대한 나의 인상평이다.     그러다가 갑자기 현타가 온 순간이 있었는데 바로 이준석의 현충원 방명록 글씨를 두고 민 아무개라는 국회의원이 “신언서판” 어쩌고, “어색한 문장” 어쩌고 하면서 훈수를 두었을 때였다. 왜냐하면 나 역시 포털에서 그의 글씨체를 본 순간 ‘헉’ 싶은 마음이 들었고, 문장이 좀 이상하다고 생각했으며, 동시에 ‘신언서판(身言書判)’이라는 네 글자를 떠올렸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민 아무개라는, 4.15총선이 부정선거라고 주장하여 자신의 당에서조차 ‘수구꼴통’으로 왕따를 당하고 있는 그런 사람과 내가 정확하게 같은 정서반응을 보이고 똑같은 사자성어를 떠올린 것이었다. 헐, 내 안에 민 아무개 있었어?...
문탁
2021.06.20 | 조회 337
지난 연재 읽기 해완이의 쿠바통신
  김해완  청소년 때 인문학 지식공동체인 남산강학원에 눌러앉아서 오 년간 읽는 법, 쓰는 법, 질문하는 법을 배웠다. 그 후로 쭉 글쓰기로 밥벌이를 하고 있다. 2014년에는 남산강학원과 인문의역학 연구소 감이당이 함께 하는 MVQ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뉴욕에 가서 살짝이나마 세계를 엿보았다. 2017년에는 공부와 실험을 계속하기 위해 쿠바로 넘어갔다가, 공부의 방향을 의학으로 틀게 되었다. 앞으로 신체와 생활이 결합되는 글쓰기를 해보고 싶다. 저서로는 『다른 십대의 탄생』(2011), 『리좀 나의 삶 나의 글』(2013), 『돈키호테, 책을 모험하는 책』(2015), 그리고 『뉴욕과 지성』(2018)이 있다.       마을의 대모    B는 마을의 대모다. 마을의 모든 갓난아이들이 그의 품에 안겨보았다. 정작 그 자신은 아이도 없이 혼자 사는 싱글인데 말이다. 남의 뒷이야기 하는데 시간을 다 쓰는 작은 마을에서 사람들은 쉬지 않고 이방인 B를 입에 올린다. 연애는 언제 하지? 결혼은 왜 안 하나?   여하튼 마을 사람들은 그를 좋게 보는 편이다. 특히 아줌마들 사이에서 인기가 대단하다. ‘젊은 아가씨’가 어쩜 그렇게 아이들을 잘 돌보냐면서 칭찬을 후하게 퍼준다. 그러나 B는 칭찬의 목적을 이미 간파했다. 그네들은 쌀 배급 받으러 줄을 서거나 손톱을 다듬으면서 수다를 떨 때 마음 놓고 아이를 맡기기 위한 사람이 필요할 뿐이다. 아줌마와 할머니들은 유모차를 끌고 그의 사무실을 불쑥불쑥 쳐들어온다. 잠깐만 놓고 갈게! 금방 돌아올게! 처음에는 황당했고 화도 났지만 이제는 체념한다. 아이들이 놀 수 있도록 장난감도 몇 개 사무실에 구비해 놨다. 그 동안...
  김해완  청소년 때 인문학 지식공동체인 남산강학원에 눌러앉아서 오 년간 읽는 법, 쓰는 법, 질문하는 법을 배웠다. 그 후로 쭉 글쓰기로 밥벌이를 하고 있다. 2014년에는 남산강학원과 인문의역학 연구소 감이당이 함께 하는 MVQ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뉴욕에 가서 살짝이나마 세계를 엿보았다. 2017년에는 공부와 실험을 계속하기 위해 쿠바로 넘어갔다가, 공부의 방향을 의학으로 틀게 되었다. 앞으로 신체와 생활이 결합되는 글쓰기를 해보고 싶다. 저서로는 『다른 십대의 탄생』(2011), 『리좀 나의 삶 나의 글』(2013), 『돈키호테, 책을 모험하는 책』(2015), 그리고 『뉴욕과 지성』(2018)이 있다.       마을의 대모    B는 마을의 대모다. 마을의 모든 갓난아이들이 그의 품에 안겨보았다. 정작 그 자신은 아이도 없이 혼자 사는 싱글인데 말이다. 남의 뒷이야기 하는데 시간을 다 쓰는 작은 마을에서 사람들은 쉬지 않고 이방인 B를 입에 올린다. 연애는 언제 하지? 결혼은 왜 안 하나?   여하튼 마을 사람들은 그를 좋게 보는 편이다. 특히 아줌마들 사이에서 인기가 대단하다. ‘젊은 아가씨’가 어쩜 그렇게 아이들을 잘 돌보냐면서 칭찬을 후하게 퍼준다. 그러나 B는 칭찬의 목적을 이미 간파했다. 그네들은 쌀 배급 받으러 줄을 서거나 손톱을 다듬으면서 수다를 떨 때 마음 놓고 아이를 맡기기 위한 사람이 필요할 뿐이다. 아줌마와 할머니들은 유모차를 끌고 그의 사무실을 불쑥불쑥 쳐들어온다. 잠깐만 놓고 갈게! 금방 돌아올게! 처음에는 황당했고 화도 났지만 이제는 체념한다. 아이들이 놀 수 있도록 장난감도 몇 개 사무실에 구비해 놨다. 그 동안...
관리자
2021.06.11 | 조회 576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