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고쓰기1234] 유교, 새로운 인간학이 될 수 있을까

진달래
2023-11-13 08:26
245

유교, 새로운 인간학이 될 수 있을까

- 『문명들의 대화』 뚜웨이밍

 

  1. 뚜웨이밍(杜維明), 어디서 들었더라

 

학이당에서 한참 공부할 당시 유학의 흐름을 따라 주자를 거쳐 어찌어찌 왕양명의 『전습록』을 읽게 되었다. 그 때 문탁샘은 양명의 전기문으로 『한 젊은 유학자의 초상』이라는 책을 뽑으셨지만 아쉽게도 그 책이 절판인 고로 최재묵 교수님이 쓴 『내 마음이 등불이다』로 바꾸어 읽었다. 그런데 종종 왕양명이 등장하는 순간마다 문탁샘은 우리가 뚜웨이밍의 책을 읽었다고 기억하고 계신 듯하다.

 

“왜, 우리도 읽었잖아. 그 책 왕양명의 전기인데… 그 책 쓴 사람이잖아.”

“……?”

 

그렇게 이름만 익숙한 뚜웨이밍, 아마도 그가 궁금은 한데, 그의 다른 책이 딱히 없어서 이 책, 『문명들의 대화』를 사지 않았나 싶다.

1940년생인 뚜웨이밍은 현대 신유가로 대표되는 지식인이다. 중국 윈난성(雲南省) 쿤밍시(昆明市)에서 태어나 타이완의 뚱하이(東海) 대학을 졸업하고 1968년 하버드에서 동아시아 역사 · 언어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하버드대 옌칭 연구소 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중국 베이징대학교 고등인문연구원 원장을 맡고 있다. 『문명들의 대화』는 2000년 대 초 발행된 책으로 뚜웨이밍의 인터뷰, 강의록, 저널의 기고문 등을 모아서 만든 것이다. 따라서 ‘지은이의 말’에서도 밝히고 있듯이 이 글들은 중복되는 내용도 많고, 다소 산만하게 구성된 점도 없지 않다. 또 2000년 대 초에 쓰인 책이라 저자가 가지고 있는 문제의식이 이제는 철지난 것이 되어버린 면도 좀 있다. 더 최근 자료가 있을까 해서 인터넷을 찾아보니 “유학, 새로운 인간학이 될 수 있을까?”(2015년)라는 제목의 강연 영상을 볼 수 있었다.

『문명들의 대화』는 ‘1부 세계화 시대, 문명의 대화’와 ‘2부 신유학의 새로운 사유’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1부의 내용은 21세기 초 세계화 담론에 맞추어, 세계를 동질화 시키는 현대화가 아니라 다양성을 인정하는 세계화로 나아가야 한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사실 이 책의 제목인 『문명들의 대화』는 이 부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듯 보인다. 냉전 이후에 각 문명들 사이에 소통을 주제로 하고 있으며, 특히 세계화의 물결 속에 중국의 역할에 대한 뚜웨이밍의 고민이 녹아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2001년 중국 중산대학에서 강의 했다는 ‘세계화 물결, 중국과 미국은 어떻게 소통할 것인가’를 보면서는 좀 묘한 기분이 들었다. 20여 년이 지난 지금, 미국과 중국의 관계가 더 불통이 되어버린 것 같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요즘 일어나고 있는 세계의 여러 분쟁을 보며 저자가 주장하고 있는 ‘대화’가 얼마나 중요한 일인가를 새삼 생각해보게 된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정말 문명들 사이의 대화가 가능한 것인지 의문이 들기도 하다.

 

 

  1. 신유학(新儒學), 현대 신유학

 

유학은 공자 학도들의 교학(敎學)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후에 공자와 그의 제자들이 정리한 경전 등을 공부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유학의 범위는 사실 상당히 넓다. 저자는 2부를 ‘신유학의 새로운 사유’라고 했는데 여기서 ‘신유학’은 흔히 송대(宋代) 이후의 유학을 선진시기의 유학과 구분하여 부르는 것으로 성리학/주자학, 양명학 등을 지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책에서 뚜웨이밍은 유학을 3분기로 나누어 설명한다. 제1기는 선진 및 한대의 유학으로 취푸(曲阜)의 지방문화가 점차 중원문화로 발전하여 중국 문화의 주류를 이루게 되는 시기를 말한다. 제2기는 유학이 위진남북조를 거치며 도교, 불교 등의 다양한 문화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베트남, 일본, 한국 등등 다른 나라로까지 확산되어 동아시아 문명의 체현자로 등장하는 시기를 일컫는다. 제3기는 아편전쟁 이후 유학이 서양문화의 충격을 받아, 주류 학문에서 주변화 되고 해체되어 생명력을 잃어버린 시기를 말한다. 이후 중국의 뛰어난 지식인들, 대표적으로 후스(胡適,1891~1962), 천두슈(陳獨秀,1879~1942), 리다자오(李大釗,1889~1927), 루쉰(魯迅,1881~1936), 우위(吳虞,1874~1949) 등등은 ‘공가점(孔家店)’의 타도를 주장하면서 유학을 비판했다. 그런데 이렇게 유교이념에 대한 철저한 해체는 1919년 5·4운동 이후의 많은 유학자들에게 유학을 근본부터 다시 생각하게 만들었다. 저자는 5·4운동을 기점으로 하여 중국의 유학자들이 서양문화의 충격을 극복하는 다양한 방식의 노력을 기울였다고 본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20세기 말에 이르러 ‘현대 신유학(New Confucian) 운동’이 일어난다. 대체로 공산화가 일어난 중국보다 타이완이나 홍콩 등지의 학자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이들 현대 신유학자들은 서구의 계몽주의와 유학이 대립되지 않고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으며 보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서양의 자유, 민주, 독립과 같은 이념들을 어떻게 하면 유학 전통의 이념인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 등과 결합시킬 수 있을지 고민했다. 또 다원화된 현대 사회에 유학 전통이 새로운 발전의 계기를 확보할 수 있을지 고민했다.

앞서 1부에서 현대화는 여러 문명들을 서구 문명으로 동질화한다고 비판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유학은 현실에 맞게 현대화 하면서 변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물론 저자의 맥락을 따라가면 이는 현대화라기보다 다양성을 인정하는 세계화라고 해야 할 것이다.

 

“가장 효과적인 상호교류는 자신의 뿌리를 지키면서도 타자를 배척할 필요가 없다는 가장 기본적인 신념 위에 기초한다. 우리로 하여금 문명의 대화를 진행할 것을 강력하게 촉구하는 것은 바로 지역적 지식의 세계적 의의임에 의심의 여지가 없다.” 『문명들의 대화』 p321

 

  1. 유학 인문주의, 영적 휴머니즘

 

이 책에서 가장 눈여겨 볼 대목은 마지막 장인 제11장 “신유학의 인문주의, 유학 인문주의의 생태적 전환”이다. 이 글은 2001년 『미국 예술 및 과학 아카데미 저널』에 발표한 것으로 「종교와 생태 : 기후는 변화될 수 있는가」 특집호에 실렸다.

뚜웨이밍을 비롯한 현대 신유학자들은 동아시아 전통의 가치를 재평가하면서 현대 문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 가치로 ‘유학 인문주의’를 제창한다. 그러나 유학 인문주의는 한편으로 5·4운동 이후 세속적 인본주의로 재구성된다. 따라서 한동안 신유학은 세속화, 이성제일주의, 진보·발전주의 등으로 자본주의의 발전과 근대 국가 형성에 일조했다. 21세기 들어 이들 가치들은 유학 안팎으로 비판을 받았다. 뚜웨이밍은 이런 가운데에서도 유학이 생태주의적으로 변환 가능할 수 있는 가치들은 꾸준히 연구되어 왔음을 지적한다. 그리고 이 장에서 타이완, 홍콩, 중국의 대표적 신유학자인 첸무(錢穆,1895~1990), 탕쥔이(唐君毅,1909~1978), 펑유란(馮友蘭,1895~1990)의 ‘천인합일(天人合一)’ 사상을 현대 세계에 대한 유학의 중대한 공헌으로 보고 있음에 주목하면서, 이들로부터 유학 사상을 재평가하고 회복시키는 운동이 시작되었다고 본다.

첸무는 천인합일을 인심(人心)과 천도(天道)의 상호성(合德)으로 파악했다. 탕쥔이는 ‘내재적 초월성’을 강조, 천(天)의 초월성이 인간의 공통된 자기의식 속에 내재되어 있다고 보았다. 마르크스주의를 떠난 말년의 펑유란은 천인합일을 통한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말했다. 저자는 이 세 원로들의 지혜를 통해 현대 신유학의 생태주의적 전환을 보여주면서 자신의 주장을 ‘인간·우주 동형동성적 세계관’이라고 명명했다. 그리고 이렇게 천인합일을 주장하는 유학의 인문주의는 세속적이거나 인간중심적이지 않고 인간과 우주 질서의 조화를 긍정한다고 주장한다.

 

“하늘은 나의 아버지요 대지는 나의 어머니이다. 나와 같은 미물도 그 가운데 적절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나는 우주를 가득 채운 것을 내 몸으로 여기고 우주를 다스리는 것을 본성이라고 생각한다. 모든 사람들은 나의 형제자매요 모든 사물들은 나의 동료이다.(乾稱父 坤稱母 予玆藐焉 乃混然中處 故 天地之塞 吾其體 天地之帥 吾其性 民吾同胞 物吾與也)” 장재 『서명(西銘)』 중

 

뚜웨이밍은 2015년 강연에서 본인이 가장 좋아한다는 장재의 『서명(西銘)』의 구절을 소개했다. 이 책에서는 『서명』을 천·지·인 합일의 ‘인간·우주 동형동성적’ 관점을 설명하는 신유학의 핵심문헌으로 간주했다. 2015년의 강연에서는 ‘유학 인문주의’가 아니라 ‘영적 휴머니즘’이라는 표현을 볼 수 있는데, 아마도 ‘유학 인문주의의 생태적 전환’이 발전된 것인 듯하다. 강연의 내용은 사실 크게 특출나 보이는 것이 있진 않다. 이 책의 내용에서도 크게 벗어나고 있지 않다. 또 우리가 공부하고 있는 동양 고전의 내용들과도 크게 떨어져 있지 않다. 다만 영적 휴머니즘의 주요 개념으로 ‘개인’, ‘공동체’, ‘지구’, ‘하늘’을 들고 있는데 이는 뚜웨이밍식 유학의 현대화 작업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자기 수양을 현대 사회의 ‘개인’의 가치로 삼고, 우리가 세계와 관계를 맺고 살아갈 수밖에 없는 존재라는 점에서 ‘공동체’를 말하고, 타자로서의 ‘지구’를 이야기하며, 마지막으로 인간 이성을 뛰어넘는 초월적인 신비의 차원으로써 ‘하늘’을 말하고 있다. 유학이 기본적으로 내세우는 인본주의를 넘어 생태주의적 세계관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그와 더불어 뚜웨이밍은 여전히 유학의 기본가치인 ‘인간성’ 즉 ‘휴머니즘’에 가치를 두고 있다. 우리는 여전히 가치를 창조하고 실현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그래서 고루하게 보일 수도 있지만 저자는 ‘인(仁)’을 다시 제시한다. 포괄적 감수성, 공감 및 교감으로서의 인성을 다시 제시한 것이다.

 

 

  1. 유교 공부를 한다는 것

 

나는 결혼 전에는 제사에 대해서 깊이 생각해 본 적이 없다. 친가는 제사를 안 지냈고, 외가 제사는 가끔 참석해서 밥만 얻어먹고 왔기 때문이다. 결혼하고 얼굴 한 번 뵌 적이 없는 시할아버지, 할머니, 그리고 시아버지의 제사를 지내면서 하루는 남편에게 이렇게 말했다. “근데, 박씨 제사에 왜 다른 성씨들이 음식을 차리면 박씨들은 절하고 밥만 먹고 가지?” 그러자 남편은 평생 제사를 지내면서 그런 생각은 한 번도 해 본적이 없다고 했다. 내 말에 수긍은 했지만 이후로도 제사에 무슨 변화가 있진 않았다. 그랬던 제사에 변화를 준 것은 ‘코로나’였다. 사람들을 못 모이게 하자, 제사를 지내는 일도 건너뛰게 되었고, 그냥 성묘로 대체되는 경우도 생겼다.

대체로 우리 세대가 죽고 나면 다들 제사를 안 지낼 것이라고 생각한다. 딸들도 가끔 우리 집은 아들도 없는데 나중에 아빠, 엄마 제사는 누가 지내냐, 혹은 어떻게 지내냐를 묻곤 했다. 그때마다 나는 “너희 둘이 모여 지내라”라고 대답했다. 단 지금처럼 음식을 차리지 말고 끝나고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음식으로, 정 바쁘면 포장 음식도 괜찮고, 냉동식품도 나쁘지 않다고 했다. 내가 제사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게 된 계기는 시어머님이 돌아가시고 난 뒤였다. 한동안은 시어머님에 대한 추억으로, 그 다음에는 제사가 아니면 가족이 다 모이는 일은 거의 없을 것 같았기 때문이다.

제사는 아주 오래 전부터 있었지만 가족 공동체에서 특히 제사가 중요해 진 것은 송대 이후이다. 「주자가례」 같은 것도 이 시기에 만들어졌는데, 당시 제사의 가장 큰 역할은 가족 공동체의 결속력을 높이는 데 있었다. 사실 그렇게 보자면 가족 공동체의 결속력을 떨어뜨리는 오늘날의 제사 형식은 확실히 제고되어야 할 것 같다. 그러니까 짐짓 고루해 보이는 ‘유학’을 공부하는 이유는 바로 이런 것에 있지 않을까. 내용과 형식의 의미를 제대로 알아야 그것을 시대에 맞게 바꿀 수도 있고 제대로 계승할 수도 있다.

이 책에서 뚜웨이밍이 제시하는 유학의 새로운 비전은 사실 크게 새로울 것은 없다. 그러나 유학은 언제나 시대에 맞추어 늘 변화해 왔다고 할 수 있다. 뚜웨이밍은 2005년 한국을 방문했을 때, 인터뷰에서 한국 내의 활발한 여성운동과 함께 많은 여성 유학자들이 유교를 변화 시킬 것이라고 했다고 한다. 우리가 가부장적이라고 여기는 유학 안에는 여성과 남성이 공존할 수 있는 가치 또한 내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유교적 전통 안에서 찾아 새롭게 해석하는 일이 필요하다. 나의 공부도 이렇게 거창한 일이 아니더라도 일상에서 이런 가치를 찾아낼 수 있는 공부가 되었으면 좋겠다.

 


이 글의 제목인 "유교, 새로운 인간학이 될 수 있을까"는 재단법인 플라톤 아카데미와 경희대학교가 함께 기획한 문명전환 강좌시리즈 「문명전환과 아시아의 미래」 중 뚜웨이밍 교수의 강연 제목이다. https://tv.naver.com/v/10330844

댓글 1
  • 2023-11-13 17:02

    재밌네요
    이 책 읽어보고 싶어요^^

세미나 에세이 아카이브
베르나르 스티글레르 —『자동화 사회I』, 『고용은 끝났다, 일이여 오라!』 - 정군 독이면서 약이고, 약이면서 독인 것 플라톤은 『파이드로스』에서 ‘참된 수사의 기술’에 관해 논한다. 더위를 피해 일리소스라는 강변에 이른 소크라테스에게 파이드로스는 그곳이 아테네의 오레이튀이아가 보레아스에게 납치된 곳이 아닌지 묻는다1). 이에 대해 소크라테스는 뜬금없이 오레이튀이아가 납치될 때, ‘파르마케이아’라는 친구와 함께 있었다고 답한다. ‘파르마케이아’는 누구일까? 전설에 따르면 그것은 ‘여자 마법사’를 일컫는 그리스어 일반명사다. 이 외에 ‘제약술’이라는 뜻도 함께 전해진다. 그리스어에는 비슷한 의미를 가진, ‘파르마-’ 어미를 가진 몇몇 어휘들이 전해지는데, 가령 ‘주술사’를 뜻하는 ‘파르마키우스’, 희생제물을 뜻하는 ‘파르마코스’와 같은 말들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소크라테스를 죽게 만든 것, 그리고 동시에 소크라테스를 불멸로 만든 것, 바로 약藥이면서 독毒인 것, ‘파르마콘’도 그렇다.     데리다의 제자로, 스승과 함께 쓴 『에코그라피』(1996, 한국어판2006)로도 잘 알려진 베르나르 스티글레르는 ‘디지털 기술’을 현대에 등장한 ‘파르마콘’으로 사유한다.   “쓰여진 기록은 이미 소크라테스로 하여금 지식의 모든 외부화에 내포된 프롤레타리아화의 위험을 간파할 수 있도록 해준 바 있다. 그와 마찬가지로 디지털, 아날로그 그리고 기계에 의한 기록은 제3차 파지이다. 여기서 지식은 오직 외부화를 통해서만 구성될 수 있다는 명백한 역설이 나타난다."2)   소크라테스, 후설, 데리다로 이어지는 말/글에 관한 복잡한 사유의 층위들이 한꺼번에 녹아있는 구절이기는 하지만, 말하고자 하는 내용 자체는 간단하다. ‘디지털화’는 의식 내부에서 일어나는 감각적 포착으로서 ‘1차 파지’와 반성적 포착으로서 ‘2차 파지’ 너머의, 의식 외부에서 일어나는 ‘3차 파지’의 궁극적 형태라는 것이다....
베르나르 스티글레르 —『자동화 사회I』, 『고용은 끝났다, 일이여 오라!』 - 정군 독이면서 약이고, 약이면서 독인 것 플라톤은 『파이드로스』에서 ‘참된 수사의 기술’에 관해 논한다. 더위를 피해 일리소스라는 강변에 이른 소크라테스에게 파이드로스는 그곳이 아테네의 오레이튀이아가 보레아스에게 납치된 곳이 아닌지 묻는다1). 이에 대해 소크라테스는 뜬금없이 오레이튀이아가 납치될 때, ‘파르마케이아’라는 친구와 함께 있었다고 답한다. ‘파르마케이아’는 누구일까? 전설에 따르면 그것은 ‘여자 마법사’를 일컫는 그리스어 일반명사다. 이 외에 ‘제약술’이라는 뜻도 함께 전해진다. 그리스어에는 비슷한 의미를 가진, ‘파르마-’ 어미를 가진 몇몇 어휘들이 전해지는데, 가령 ‘주술사’를 뜻하는 ‘파르마키우스’, 희생제물을 뜻하는 ‘파르마코스’와 같은 말들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소크라테스를 죽게 만든 것, 그리고 동시에 소크라테스를 불멸로 만든 것, 바로 약藥이면서 독毒인 것, ‘파르마콘’도 그렇다.     데리다의 제자로, 스승과 함께 쓴 『에코그라피』(1996, 한국어판2006)로도 잘 알려진 베르나르 스티글레르는 ‘디지털 기술’을 현대에 등장한 ‘파르마콘’으로 사유한다.   “쓰여진 기록은 이미 소크라테스로 하여금 지식의 모든 외부화에 내포된 프롤레타리아화의 위험을 간파할 수 있도록 해준 바 있다. 그와 마찬가지로 디지털, 아날로그 그리고 기계에 의한 기록은 제3차 파지이다. 여기서 지식은 오직 외부화를 통해서만 구성될 수 있다는 명백한 역설이 나타난다."2)   소크라테스, 후설, 데리다로 이어지는 말/글에 관한 복잡한 사유의 층위들이 한꺼번에 녹아있는 구절이기는 하지만, 말하고자 하는 내용 자체는 간단하다. ‘디지털화’는 의식 내부에서 일어나는 감각적 포착으로서 ‘1차 파지’와 반성적 포착으로서 ‘2차 파지’ 너머의, 의식 외부에서 일어나는 ‘3차 파지’의 궁극적 형태라는 것이다....
정군
2023.11.26 | 조회 340
세미나 에세이 아카이브
행복 꼭 필요할까요 『해피크라시』, 에바 일루즈 · 에드가르 카바나스 지음       나는 ‘나는 솔로(solo)’를 즐겨본다. 이번 기수 ‘영수’는 자기소개에서 자신의 가치관에서 ‘행복’이 얼마나 중요한 개념인지를 어필했다. 꾸준히 운동을 하고, 자신의 꿈을 위해 자기계발을 게을리하지 않는다는 인상을 준 ‘영수’는 이제껏 그런 느낌을 주었던 다른 출연자들처럼 큰 이변이 없는 한 틀림없이 매력적으로 어필 될 터였다.  ‘정숙’역시 “평소에 긍정적이세요?”라는 ‘광수’의 질문에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것 보다 당연히 좋은 것아니냐?”고 화답했다. 행복을 위해 긍정의 자세를 잃지 않는다는 우리 시대의 이런 이야기는 딱히 특별할 것도 없다. 그러나 에바 일루즈와 에드가르 카바나스의 『해피크라시』를 읽고 나면 무심히 들어오던 ‘행복’과 ‘긍정’이라는 평범한 단어에 갑자기 버퍼링이 걸릴지 모른다. 후기 자본주의 소비사회 특히 미국 사회에서의 감정의 위상에 주목하는 일루즈는 『감정 자본주의(2007)』와 『사랑은 왜 아픈가』(2011) 등을 통해 감정의 영역과 경제 영역의 상호 침투 양상을 날카롭게 분석해온 것으로 유명한데, 이 책 『해피크라시』(2018)에서는 신자유주의 소비 사회 속의 거대한 ‘행복 추구의 물결’을 강력하게 비판하고 있기에 말이다. 실은 ‘행복’이라는 단어는 딱히 특별할 것이 없다. 아리스토텔레스가 ‘행복(좋음, good)’을 최고선이라 규정하며 지난하게 우리를 설득한 것을 제외한다면 대체로 ‘행복(happiness)’은 그저 복된 운수, 즐겁고 기쁜 상태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주관적인 만족과 안녕감을 의미하기에 말이다. 하여 객관적으로 명확히 파악되기 어려운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행복’은 전 세계가 문화적, 도덕적, 인류학적 편견이나 전제 없이 해맑게(?) 사용하는 ‘무해한’ 언어 중의 하나임에...
행복 꼭 필요할까요 『해피크라시』, 에바 일루즈 · 에드가르 카바나스 지음       나는 ‘나는 솔로(solo)’를 즐겨본다. 이번 기수 ‘영수’는 자기소개에서 자신의 가치관에서 ‘행복’이 얼마나 중요한 개념인지를 어필했다. 꾸준히 운동을 하고, 자신의 꿈을 위해 자기계발을 게을리하지 않는다는 인상을 준 ‘영수’는 이제껏 그런 느낌을 주었던 다른 출연자들처럼 큰 이변이 없는 한 틀림없이 매력적으로 어필 될 터였다.  ‘정숙’역시 “평소에 긍정적이세요?”라는 ‘광수’의 질문에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것 보다 당연히 좋은 것아니냐?”고 화답했다. 행복을 위해 긍정의 자세를 잃지 않는다는 우리 시대의 이런 이야기는 딱히 특별할 것도 없다. 그러나 에바 일루즈와 에드가르 카바나스의 『해피크라시』를 읽고 나면 무심히 들어오던 ‘행복’과 ‘긍정’이라는 평범한 단어에 갑자기 버퍼링이 걸릴지 모른다. 후기 자본주의 소비사회 특히 미국 사회에서의 감정의 위상에 주목하는 일루즈는 『감정 자본주의(2007)』와 『사랑은 왜 아픈가』(2011) 등을 통해 감정의 영역과 경제 영역의 상호 침투 양상을 날카롭게 분석해온 것으로 유명한데, 이 책 『해피크라시』(2018)에서는 신자유주의 소비 사회 속의 거대한 ‘행복 추구의 물결’을 강력하게 비판하고 있기에 말이다. 실은 ‘행복’이라는 단어는 딱히 특별할 것이 없다. 아리스토텔레스가 ‘행복(좋음, good)’을 최고선이라 규정하며 지난하게 우리를 설득한 것을 제외한다면 대체로 ‘행복(happiness)’은 그저 복된 운수, 즐겁고 기쁜 상태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주관적인 만족과 안녕감을 의미하기에 말이다. 하여 객관적으로 명확히 파악되기 어려운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행복’은 전 세계가 문화적, 도덕적, 인류학적 편견이나 전제 없이 해맑게(?) 사용하는 ‘무해한’ 언어 중의 하나임에...
스르륵
2023.11.21 | 조회 304
세미나 에세이 아카이브
진화의 결과는 우연일까, 필연일까? 『자연은 어떻게 발명하는가』, 닐 슈빈     닐 슈빈은 2004년,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를 찾아낸 과학자로 온 세계의 신문 1면을 장식한 주인공이다. 그가 발견한 것은 물고기와 양서류의 중간 형태를 보여주는 화석 ‘틱타알릭’이다. 3억 7,500만년 전에 살았던, 지느러미 안에 두 팔을 가진 물고기 ‘틱타알릭’은 수생동물의 육지 전이의 명백한 증거가 되었다. 닐 슈빈은 1990년대부터 화석탐사에 나섰는데, 이 시기는 인간게놈 프로젝트가 시작되는 등 분자생물학이 눈부시게 발전하던 때였다. 화석이 과거에 살았던 생명체의 존재를 보여준다면, 생명체의 배아와 유전자 연구는 화석만으로는 알기 힘든 생명의 역사에 대한 정보를 찾아낸다. 닐 슈빈은 화석과 유전자, 두 영역을 자유롭게 오가며 진화의 비밀을 밝히는 진화생물학자이면서 『내 안의 물고기』와 『자연은 어떻게 발명하는가』 등의 대중적 과학서를 쓴 이야기꾼이기도 하다.   『자연은 어떻게 발명하는가』는 다윈(1809~1882)의 시대로부터 유전자 편집기술로 실험이 이루어지는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생물학사에 큰 족적을 남긴 발견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보여준다. 실패를 두려워 하지 않고 자신의 아이디어를 증명하기 위해 실험과 연구에 뛰어든 과학자들이 이야기는 마치 소설처럼 흥미롭게 읽힌다. 그러나 그 내용은 결코 가볍지 않다. 진화론자들 사이에서 ‘어떻게 진화가 일어나는가’는 언제나 뜨거운 이슈였다. 이 이야기는 『종의 기원 On the origin of species』(1859)에서 단 한 단어만을 바꾼 『종의 기원에 대하여 On the genesis of species』(1871)로 다윈을 비판한 마이바트(1827~1900)의 문제제기로부터 시작한다.   다윈은 한 종의 진화는 수많은 중간단계를 거친다고 생각했다. 마이바트는 자신이 찾을 수 있는...
진화의 결과는 우연일까, 필연일까? 『자연은 어떻게 발명하는가』, 닐 슈빈     닐 슈빈은 2004년,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를 찾아낸 과학자로 온 세계의 신문 1면을 장식한 주인공이다. 그가 발견한 것은 물고기와 양서류의 중간 형태를 보여주는 화석 ‘틱타알릭’이다. 3억 7,500만년 전에 살았던, 지느러미 안에 두 팔을 가진 물고기 ‘틱타알릭’은 수생동물의 육지 전이의 명백한 증거가 되었다. 닐 슈빈은 1990년대부터 화석탐사에 나섰는데, 이 시기는 인간게놈 프로젝트가 시작되는 등 분자생물학이 눈부시게 발전하던 때였다. 화석이 과거에 살았던 생명체의 존재를 보여준다면, 생명체의 배아와 유전자 연구는 화석만으로는 알기 힘든 생명의 역사에 대한 정보를 찾아낸다. 닐 슈빈은 화석과 유전자, 두 영역을 자유롭게 오가며 진화의 비밀을 밝히는 진화생물학자이면서 『내 안의 물고기』와 『자연은 어떻게 발명하는가』 등의 대중적 과학서를 쓴 이야기꾼이기도 하다.   『자연은 어떻게 발명하는가』는 다윈(1809~1882)의 시대로부터 유전자 편집기술로 실험이 이루어지는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생물학사에 큰 족적을 남긴 발견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보여준다. 실패를 두려워 하지 않고 자신의 아이디어를 증명하기 위해 실험과 연구에 뛰어든 과학자들이 이야기는 마치 소설처럼 흥미롭게 읽힌다. 그러나 그 내용은 결코 가볍지 않다. 진화론자들 사이에서 ‘어떻게 진화가 일어나는가’는 언제나 뜨거운 이슈였다. 이 이야기는 『종의 기원 On the origin of species』(1859)에서 단 한 단어만을 바꾼 『종의 기원에 대하여 On the genesis of species』(1871)로 다윈을 비판한 마이바트(1827~1900)의 문제제기로부터 시작한다.   다윈은 한 종의 진화는 수많은 중간단계를 거친다고 생각했다. 마이바트는 자신이 찾을 수 있는...
요요
2023.11.20 | 조회 217
세미나 에세이 아카이브
운전을 하고 가다가 라디오 광고를 듣고 웃음이 났다. 광고의 주인공은 ‘현해환경’이라는 기업이었다. 대개 ‘00환경’은 고물상의 고급진 표현인 경우가 많다. 현해환경은 고물상은 아니지만 배관청소를 전문으로 하는 업체였다. 그 업체가 장자에 나오는 현해(懸解)라는 한자를 쓰는지 안쓰는지는 알 바가 아니었다. 내가 웃었던 이유는 그 광고를 듣고 과연 ‘현해’라는 뜻과 기업의 일이 절묘하게 잘 들어맞는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꽉 막힌 배관을 뚫어 물길을 해방시키듯, 장자의 현해(懸解)는 스스로의 마음을 옭아맸던 상황에서 풀려나는 ‘자기해방’의 경지이다. 세 번째 ‘읽고쓰기1234’의 마지막에서 나는 물화를, 자기동일성의 해방이며 현해(懸解)로 가는 지름길을 연 것이라고 썼다. 올해의 마지막 읽고쓰기1234에서 나는 현해를 비롯한 장자의 개념을 꼼꼼하게 읽고, 나에게 어떤 울림을 주는지 관찰해보려 한다.   식은 재 같은 마음과 마른 나무 같은 몸 유소감은 장자철학의 주요 내용이 안명론(安命論)과 소요론(逍遙論)이라고 말하고, 이것을 각각 운명론과 자유론이라 이름지었다. 그리고 운명론에서 출발해서 자유론으로 결론지어지는 구조로 장자철학을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많은 철학자들이 그러하듯이 장자의 철학체계도 여러 사상적 측면이 내부에서 대립하고 또 융합하면서 유기적으로 하나의 사상체계를 이루고 있다고 인정한다. 특히 장자는 현실에 대한 깊은 관찰과 비판, 그 현실의 초탈과 이상적 세계가 극단적으로 대립되어 있다. 그러므로 장자철학 안에는 현실세계와 이상적 세계로서의 정신세계가 늘 대립하고 있다. 장자철학 안에서 끝없이 모순적 국면이 발생하는 것은 바로 이같은 대립에 기인하는 것이다. 이 대립과 모순은 장자가 살았던 당대의 사회적 맥락과 떼어서는 이해할 수 없다. 그가 살았던 전국시대 중기는...
운전을 하고 가다가 라디오 광고를 듣고 웃음이 났다. 광고의 주인공은 ‘현해환경’이라는 기업이었다. 대개 ‘00환경’은 고물상의 고급진 표현인 경우가 많다. 현해환경은 고물상은 아니지만 배관청소를 전문으로 하는 업체였다. 그 업체가 장자에 나오는 현해(懸解)라는 한자를 쓰는지 안쓰는지는 알 바가 아니었다. 내가 웃었던 이유는 그 광고를 듣고 과연 ‘현해’라는 뜻과 기업의 일이 절묘하게 잘 들어맞는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꽉 막힌 배관을 뚫어 물길을 해방시키듯, 장자의 현해(懸解)는 스스로의 마음을 옭아맸던 상황에서 풀려나는 ‘자기해방’의 경지이다. 세 번째 ‘읽고쓰기1234’의 마지막에서 나는 물화를, 자기동일성의 해방이며 현해(懸解)로 가는 지름길을 연 것이라고 썼다. 올해의 마지막 읽고쓰기1234에서 나는 현해를 비롯한 장자의 개념을 꼼꼼하게 읽고, 나에게 어떤 울림을 주는지 관찰해보려 한다.   식은 재 같은 마음과 마른 나무 같은 몸 유소감은 장자철학의 주요 내용이 안명론(安命論)과 소요론(逍遙論)이라고 말하고, 이것을 각각 운명론과 자유론이라 이름지었다. 그리고 운명론에서 출발해서 자유론으로 결론지어지는 구조로 장자철학을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많은 철학자들이 그러하듯이 장자의 철학체계도 여러 사상적 측면이 내부에서 대립하고 또 융합하면서 유기적으로 하나의 사상체계를 이루고 있다고 인정한다. 특히 장자는 현실에 대한 깊은 관찰과 비판, 그 현실의 초탈과 이상적 세계가 극단적으로 대립되어 있다. 그러므로 장자철학 안에는 현실세계와 이상적 세계로서의 정신세계가 늘 대립하고 있다. 장자철학 안에서 끝없이 모순적 국면이 발생하는 것은 바로 이같은 대립에 기인하는 것이다. 이 대립과 모순은 장자가 살았던 당대의 사회적 맥락과 떼어서는 이해할 수 없다. 그가 살았던 전국시대 중기는...
봄날
2023.11.20 | 조회 215
세미나 에세이 아카이브
  진한 시기 중앙집권과 지방분권 사이에서 -김영민의 <중국정치사상사> 읽기     들어가기 : 처음에는 한나라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 요즘 중국 한나라와 관련 있는 책을 보고 있다. 한나라에 관한 모든 것을 알자는 모토였지만, 세미나에서 읽은 책은 두세 권 남짓이다. <춘추>를 해석해낸 동중서의 <춘추번로>, 한 무제의 평전과 <염철론> 및 <사기>. 처음 김영민의 책을 읽기 시작했을 때, 나의 관심은 전적으로 한나라에 있었다. 세미나에서 강의안을 쓰자고 결의한 이상, 관련 이차자료를 봐야 하는 이상, <읽고쓰기 1234>도 하고 겸사겸사 보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한나라에 대한 나의 관심은 지금 우리가 ‘중국’이라고 할 때 상상되는 모든 것들(‘漢’)의 원형이 이때 만들어졌다는 것에서 기인한다. 즉 흉노와의 전쟁을 통해 획득한 영토는 이후 중국인의 관념적 국토 영역의 한 원형이 구축되었으며, 독존유술獨尊儒術이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 중국 통치의 시스템이 마련되었으며, 경학/역사/문학 등 중국 정신 문화 영역에서의 모델이 구축된 시기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단적으로 당시의 지도만 보더라도 우리가 상상하는 중국 영토와 다르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한나라 시대에 단지 그 ‘원형’이 세워졌다는 의미이지, 완벽히 확립됐다는 의미는 아니다. 이로부터도 우리는 ‘중국’에 대한 이미지가 역사적으로 다르게 상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김영민의 <중국정치사상사>는 중국을 하나의 단일한 단위로 생각하는 본질주의적 접근에 대한 비판으로 채워져 있다. ‘중국’이 역사적으로 고찰되어 온 과정을 밝히는 작업인 셈이다. 그는 서론에서 기존 정치사상사 전개에 딴지를 건다. 어떻게? 바로 그들이 밟고 서 있는 ‘기본...
  진한 시기 중앙집권과 지방분권 사이에서 -김영민의 <중국정치사상사> 읽기     들어가기 : 처음에는 한나라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 요즘 중국 한나라와 관련 있는 책을 보고 있다. 한나라에 관한 모든 것을 알자는 모토였지만, 세미나에서 읽은 책은 두세 권 남짓이다. <춘추>를 해석해낸 동중서의 <춘추번로>, 한 무제의 평전과 <염철론> 및 <사기>. 처음 김영민의 책을 읽기 시작했을 때, 나의 관심은 전적으로 한나라에 있었다. 세미나에서 강의안을 쓰자고 결의한 이상, 관련 이차자료를 봐야 하는 이상, <읽고쓰기 1234>도 하고 겸사겸사 보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한나라에 대한 나의 관심은 지금 우리가 ‘중국’이라고 할 때 상상되는 모든 것들(‘漢’)의 원형이 이때 만들어졌다는 것에서 기인한다. 즉 흉노와의 전쟁을 통해 획득한 영토는 이후 중국인의 관념적 국토 영역의 한 원형이 구축되었으며, 독존유술獨尊儒術이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 중국 통치의 시스템이 마련되었으며, 경학/역사/문학 등 중국 정신 문화 영역에서의 모델이 구축된 시기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단적으로 당시의 지도만 보더라도 우리가 상상하는 중국 영토와 다르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한나라 시대에 단지 그 ‘원형’이 세워졌다는 의미이지, 완벽히 확립됐다는 의미는 아니다. 이로부터도 우리는 ‘중국’에 대한 이미지가 역사적으로 다르게 상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김영민의 <중국정치사상사>는 중국을 하나의 단일한 단위로 생각하는 본질주의적 접근에 대한 비판으로 채워져 있다. ‘중국’이 역사적으로 고찰되어 온 과정을 밝히는 작업인 셈이다. 그는 서론에서 기존 정치사상사 전개에 딴지를 건다. 어떻게? 바로 그들이 밟고 서 있는 ‘기본...
자작나무
2023.11.13 | 조회 245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