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날의 주역이야기 15회] 완성을 향한 끝없는 미완성의 길, 화수미제(火水未濟)

봄날
2024-04-22 08:29
150

주역은 점치는 책이다. 그런데 점치는 방법이 제대로 전해지지 않고 있다. 그런데도 주역이 많은 사람들에게 읽히는 것은, 주역은 점을 치는 책으로 인정받았지만, 한편으로는 그 내용과 의미를 꼼꼼히 원리와 뜻을 따져가며 해석해서 읽어도 충분한 가치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원리를 따져가며 읽는 방식의 주역을 의리역(義理易)이라고 한다. 하지만 그러한 구분은 별로 의미가 없다. 점을 치면서도 그 해석을 의리적으로 하기도 하고 의리역으로서 주역을 읽으면서 수시로 점을 치기도 한다. 어쩌면 두 가지 방식을 적절하게 취하는 것이 지혜로운 태도일 수 있다. 가끔 혼자 혹은 함께 모여 시초점으로 괘를 뽑고 이것을 해석하는 재미가, 주역이 다른 텍스트와 구별되는 매력이 되기도 한다. 점을 쳐서 화수미제(火水未濟)괘를 얻었다고 치자. 그럼 나는 생각해본다. 나에게 왜 이 화수미제괘가 왔을까? 주역을 공부하기 시작한 초기에는 우선 이 괘가 길흉, 즉 좋은지 나쁜지를 먼저 따졌었다. 지금은 그것이 그다지 의미가 없다는 것을 잘 안다. 어떤 괘가 오든지 내내 좋기만 하든지, 내내 나쁘기만 한 괘는 없기 때문이다. 오히려 좋다고 환호하고 있을 때 막바지에 다가올 불운을 캐치해내지 못하는 것이, 나쁜 괘를 받아들고 심사숙고해서 해결책을 찾아내는 것보다 더욱 큰 낭패를 보는 일이 종종 있다.

 

()도 없고 응()도 기댈 바 없고

화수미제괘는 주역 64괘의 순서에서 마지막에 위치한 괘이다. 하나의 괘를 이루는 여섯 효는 음양의 배치에 원칙이 있다. 이 원칙에 따르면 첫 번째부터 여섯 번째 효의 자릿값의 순서는 양-음-양-음-양-음이다. 63번째 괘인 수화기제(水火旣濟)괘는 여섯 효 모두가 이 원칙에 딱 들어맞는다. 즉 여섯 효 모두가 제 자리(正位)에 있고, 모두 정응관계인 ‘완벽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것과 반대로 화수미제는 주역의 64괘 중에 여섯 효가 모두 바른 자리가 아닌(不正位) 유일한 괘이다. 바른 자리가 아니면 그 효가 처한 상황은 안정되지 못하다는 것이 기본 전제이다. 그렇다면 모든 효가 바른 자리가 아닌 화수미제괘는 불안정성이 아주 크다는 말이 된다. 그런데 1-4, 2-5, 3-6효간에 호응관계는 있다. 각 효가 불안정하다면 이 호응관계에 기대어볼 수 있지 않을까? 유감스럽게도 화수미제괘에서는 이 상응관계도 큰 기대를 하기는 어렵다. 기제와 미제의 물상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보면 알 수 있다.

 

기제괘와 미제괘의 물상은 물과 불인데, 위 아래의 배치가 다르다. 기제괘는 위에 물이 있고 아래에 불이 있는 반면, 미제괘는 위는 불, 아래는 물이 있는 형상이다. 불은 위로 타오르고 물은 위에서 아래로 내려간다. 상식적으로는 불이 활활 타오를 때 그 위로 물을 끼얹으면 불이 다 타지 않고 꺼져버리니까, 이것이야말로 ‘다하지 못한’ 미제(未濟)가 되는 게 자연스러워 보인다. 또 불이 위에서 다 타버리니까 기제(旣濟)가 되는 것이 타당해보인다. 그러나 주역은 이 상식을 가볍게 뒤집어버린다. 기제괘의 물상을 액면 그대로 해석하지 않고, 아래의 불이 위에 있는 물을 모두 기체로 졸여버리는 ‘작용의 관계’로 푼 것이다. 상하간의 적극적인 관계작용은 물은 아래로, 불은 위쪽으로 가려는 에너지의 운동 방향 때문에 생긴다. 그러니 기제괘는 상하가 적극적으로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 완전한 승화를 이룬다고 본 것이다. 하지만 미제괘는 불은 불대로, 물은 물대로 운동의 방향이 서로 반대쪽을 향하고 있으므로 어떤 일을 함께 도모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그나마 의지할 여지가 있는 효끼리의 호응관계도 기대할 수 없는 것이다. 미제괘의 효들은 아직 일이 끝나지 않았는데, 또는 이제부터 새로 시작하는 일에서 주변의 어떤 도움도 받을 수 없는, 그야말로 각자도생해야 하는 존재들이다.

 

꼬리를 적시다머리를 적시다

수화기제와 화수미제괘의 효사들을 들여다보면 흥미로운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초효와 상효에 같은 구절이 들어가 있는데, 그 뜻은 정반대이거나 다르게 해석되는 것이다. 우선 수화기제와 화수미제의 초효에는 각각 ‘유기미(濡其尾)’ 즉, ‘꼬리를 적시다’라는 구절이 들어가 있는데, 전체 문장의 뜻은 아주 다르다. 기제괘의 초구는 “수레바퀴가 (뒤로) 당기고 꼬리를 적시니 허물이 없다”인 반면, 미제괘의 초육은 “꼬리를 적시니 부끄럽다”이다.

꼬리를 적시는 같은 사건의 결과가 하나는 ‘허물이 없고’ 다른 하나는 ‘부끄러운’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기제괘의 초구는 양의 기운인데다 기제괘의 상황에서 일을 급하게 처리할 수 있는 가능성에 저항해서 (능동적으로)수레바퀴를 뒤로 끌고 꼬리를 적시는 등의 노력으로 질주 본능을 절제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미제괘의 초육은 자신에 대한 믿음 없이 조급하고 미숙하게 일을 시작한 데서 일을 그르치게 된다.

 

또 기제괘와 미제괘의 상효에는 ‘유기수(濡其首)’, 즉 ‘머리를 적신다’라는 표현이 똑같이 들어있다.

기제괘의 유기수는 음(陰)의 유약함이 상황을 마무리하지 못한 데서 나오는 ‘위태로운 상황’인 반면, 미제괘의 유기수는 상황을 제압할 수 있는 강한 양이, 바로 그 강함 때문에 자신을 지나치게 믿은 나머지 마치 술에 취하듯 스스로의 능력에 도취되어 헤어나지 못한다. 같은 구절이라도 상황과 때에 따라 그 해석과 실천 방향이 달라진다. 주역의 괘상과 괘명(卦名), 괘사와 효사를 종합적으로 엮어서 해석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무릇 주역의 말을 해석할 때는 여러모로 살펴봐야 한다. 괘의 이름이 연유한 배경을 따져보고, 괘상으로도 보고, 괘사와 효사가 의미하는 바를 다각적으로 살펴야 주역이 권하는 인간의 길을 제대로 알게 된다.

 

끝남 속에 시작이 있다

수화기제괘의 기제(旣濟)가 ‘이미 건넜다’는 뜻인 반면, 화수미제괘이 미제(未濟)는 ‘아직 건너지 않았다’는 뜻이다. 달리 말하자면 수화기제는 ‘완성’을, 화수미제는 ‘미완성’을 이야기한다. 마지막괘가 미제괘로 종결된 것은 주역의 가장 큰 주제인 ‘변화’를 대변하는 것이기도 하다. 주역(周易)의 역(易)이라는 글자에 이미 변화의 뜻을 함유하고 있다. 그렇듯 이미 모든 것이 완수된 ‘아름다운 마무리’로 끝날 법한 상황에서, 단지 기제괘 뒤에 미제괘를 배치하는 것만으로도 ‘모든 일은 끝남으로 그치는 일이 없으며, 그것은 곧 또 다른 시작’이라는 메시지를 준다.

 

화수미제괘에는 두 가지 상황이 설정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우선 첫 번째는 괘사에 드러나듯이 ‘아직 끝마치지 않은 상황’ 설정이다. 미제괘의 괘사는 이렇다.

 

미제는 형통하니, 어린 여우가 거의 건너다 그 꼬리를 적심이니, 이로울 바가 없느니라.

 

‘형통하다’는 주역의 괘사에 자주 등장하는 표현이다. 대개의 경우 괘사의 앞부분에서 괘의 성격을 단정하는데, 그 성격은 괘사의 뒷부분을 어떻게 실천하느냐에 따라 조건적으로 가능하다. 미제괘의 괘사를 보더라도, 괘의 기본적인 성질은 형통한데, 가령 어린 여우가 물을 건너다 꼬리를 적시는 서투름이 이롭지 않은 결과를 낳으니, ‘형통’은 신중을 기해 물을 다 건널 때까지 긴장을 늦추지 않을 것을 전제로 할 때 주어진다. 이때의 어린 여우가 상징하는 것은 하나는 미숙하고 성급함을, 또 하나는 (역시 어려서 서투르기 때문에 오는 것이겠지만)방심함이다. 꼬리를 적시는 것은 물을 건너는 동안 내내 긴장하여 건너서 거의(almost) 다 완수되려는 순간, 어떤 이유에서인지 그 긴장을 풀어버린 결과이다. 결국 물을 제대로 건너지 못해 상황이 지체되거나 중단된, 미완의 상태가 된다. 꾀많은 동물의 대명사인 여우도 어리고 보면 상황판단이 안되고 서두르다 일을 그르친다는 것인데, 이때의 미숙함은 반드시 실제 나이가 어리다는 것을 가리키지는 않는다. 우리는 종종 일이 거의 끝나가는 상태에서 방심하기도 하고, 완성이 코앞에 다가오면 조급해서 빨리 마치려 한다. 이럴 때에 우리는 ‘어린 여우’가 된다.

 

화수미제괘의 두 번째 상황 설정은 ‘아직 시작되지 않은 어떤 가능성’이다. 그것은 첫 번째의 상황과 완전히 별개로 전개되는 것이 아니다. 아직 완수하지 못한 상황은 그것을 마칠 때까지 끝난 것이 아니다. 그러나 당초의 완수과정에서 생각했던 것과는 다른 방식, 다른 방향으로 진행될 것이다. 이 지점에서 변화가 일어난다. 그 변화는 어린 여우가 꼬리를 적신다는 상황에서 출발하기는 하지만, 결과적으로는 어떤 새로운 움직임을 가리킨다.

 

바로 이 ‘어떤 움직임’이야 말로 주역이 화수미제괘를 마지막에 배치한 깊은 뜻의 배경이 된다. 변화의 끝에 무엇이 있을까? 아니, 미제괘에 미션처럼 주어진 변화의 내용은 무엇일까? 괘사를 설명하는 대상전은 “불이 물 위에 있음이 미제이니, 군자가 보고서 신중히 사물을 분별하여 제 자리에 거하게 한다.”고 말한다. 상전의 말을 풀어보면, 변화의 내용은 바로 제 자리에 돌려놓기이고, 그 변화의 주체는 군자이다. 제 자리로 돌려놓는다는 것은 달리 말하면 지금은 제 자리가 아니라는 말과 같다. 군자가 신중하게 사물을 살펴 제 자리에 돌려놓는다면 그것은 여섯 효가 모두 바른 자리(正位)에 있는 수화기제괘가 될 것이다. 문제는 뒷걸음질쳐서 바로 앞의 괘로 되돌아 갈 수는 없다는 것, 처음부터 하나씩 제자리로 돌려놓는 노력을 하고 나서야 수화기제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처음부터 하나씩 새롭게 시작해야 하므로 화수미제는 그리하여 모든 것의 시작인 중천건(重天乾)괘로 이어진다. 끝난 줄 알았는데,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말하고, 끝남 속에 이미 시작의 가능성을 담고 있는 화수미제괘는 종즉유시(終則有始), 즉 ‘끝남 속에 시작이 있다’는 주역의 시간 관념을 잘 설명해주는 괘라고 할 수 있다.

 

세상 만물에 완성은 없다

따지고 보면 우리의 일상은 완성되고 마무리되는 것보다는, 미완성이고 마무리되지 않는 일 투성이이다. 아니, 애초에 완성이나 마무리는 없다. 나의 경우만 해도 그렇다. 작년 주역 세미나의 결과물로서 크리에이티브하게(주역세미나 이름이 ‘크리에이티브 주역’이다) 민화로 8개의 소성괘를 그린 패널을 제작했었다. 발표를 마치고 났을 때, 나는 세미나도 끝났고 발표도 끝났다고 생각해서 몇 개의 패널을 맘에 들어하는 친구들에게 선물로 주었다. 그야말로 ‘모든 것이 끝났다’는 수화기제 같은 마음이었다. 그런데 올해 주역을 공부하는 몇몇 공동체가 모여 ‘주역 페스티발’을 진행하기로 했을 때, 내가 그린 민화를 소재로 쓰자는 이야기가 나왔다. 하지만 이미 패널은 다 선물한 상황이고, 저장해두었던 이미지 파일도 시원찮아 결국 쓰기 어렵게 됐다. 그제서야 나는 내가 화수미제괘의 초육인 ‘물을 건너다 꼬리를 적신 여우’ 꼬라지가 된 것을 깨달았다. 공부가 시작은 있을지 모르지만 끝이라는 게 있을 리 없는데, 우리는 한 시즌, 한 학기, 한 해 단위로 뭔가 매듭짓고 ‘다 했다’고 느낀다. 그 지점이 바로 새로운 시작이라는 걸 잠시 잊기도 한다. 그래서 화수미제괘는 방심하지 말고, 성급하게 굴지도 말고, 언제나 끝남에 시작이 함께 한다는 사실을 잊지 말라고 각각의 효사에 경계의 말을 꾹꾹 눌러 담고 있다. 끝남을 향해, 완성을 향해 가지만 그것은 항상 지향일 뿐, 우리는 늘 미완성의 길 위에 있다. 그것을 안다면 두려워하거나 좌절할 일은 없다. 우리는 그 미완의 길을 걷고 또 걸을 따름이다.

 

댓글 6
  • 2024-04-22 09:36

    짝짝짝! 그동안 연재하시느라 애쓰셨습니다!
    종즉유시(終則有始)라 하셨으니 언젠가 다시 봄날샘의 주역글이 시작되겠죠? 기대할게요^^

  • 2024-04-22 09:56

    수고하셨습니다. 16회 깜짝 올라오는게 화수미제 아닐까용~

  • 2024-04-22 10:25

    봄날샘의 주역이야기 애정하는 1인으로서 다시 시작될 주역이야기 고대하고 있을게요^^
    수고많으셨어요. 그리고 감사합니다!

  • 2024-04-22 21:05

    드디어 일단락을 지으셨네요
    수고 많으셨어요~~^^
    샘이 준 손괘 패널은 갖다드릴 수도 있는데요 ㅎㅎㅎ

  • 2024-04-23 20:14

    댓글은 처음 이지만...
    샘이 해석한
    주역이 권하는 인간의 길을
    쭉~~~~읽었어요.
    수고하셨어요.

  • 2024-05-01 23:41

    그 동안 수고 많으셨어요. 주역 공부도 그렇고, 연재도 그렇고, 쭈욱 꾸준히 연재하는 게 쉽지는 않았을 텐데.... 주역의 힘일까, 공부의 힘일까, 그렇지 않으면 주역 공부의 힘일까ㅎㅎ 감사히 잘 읽었습니당.

봄날의 주역이야기
주역은 점치는 책이다. 그런데 점치는 방법이 제대로 전해지지 않고 있다. 그런데도 주역이 많은 사람들에게 읽히는 것은, 주역은 점을 치는 책으로 인정받았지만, 한편으로는 그 내용과 의미를 꼼꼼히 원리와 뜻을 따져가며 해석해서 읽어도 충분한 가치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원리를 따져가며 읽는 방식의 주역을 의리역(義理易)이라고 한다. 하지만 그러한 구분은 별로 의미가 없다. 점을 치면서도 그 해석을 의리적으로 하기도 하고 의리역으로서 주역을 읽으면서 수시로 점을 치기도 한다. 어쩌면 두 가지 방식을 적절하게 취하는 것이 지혜로운 태도일 수 있다. 가끔 혼자 혹은 함께 모여 시초점으로 괘를 뽑고 이것을 해석하는 재미가, 주역이 다른 텍스트와 구별되는 매력이 되기도 한다. 점을 쳐서 화수미제(火水未濟)괘를 얻었다고 치자. 그럼 나는 생각해본다. 나에게 왜 이 화수미제괘가 왔을까? 주역을 공부하기 시작한 초기에는 우선 이 괘가 길흉, 즉 좋은지 나쁜지를 먼저 따졌었다. 지금은 그것이 그다지 의미가 없다는 것을 잘 안다. 어떤 괘가 오든지 내내 좋기만 하든지, 내내 나쁘기만 한 괘는 없기 때문이다. 오히려 좋다고 환호하고 있을 때 막바지에 다가올 불운을 캐치해내지 못하는 것이, 나쁜 괘를 받아들고 심사숙고해서 해결책을 찾아내는 것보다 더욱 큰 낭패를 보는 일이 종종 있다.   정(正)도 없고 응(應)도 기댈 바 없고 화수미제괘는 주역 64괘의 순서에서 마지막에 위치한 괘이다. 하나의 괘를 이루는 여섯 효는 음양의 배치에 원칙이 있다. 이 원칙에 따르면 첫 번째부터 여섯 번째 효의 자릿값의 순서는 양-음-양-음-양-음이다. 63번째 괘인...
주역은 점치는 책이다. 그런데 점치는 방법이 제대로 전해지지 않고 있다. 그런데도 주역이 많은 사람들에게 읽히는 것은, 주역은 점을 치는 책으로 인정받았지만, 한편으로는 그 내용과 의미를 꼼꼼히 원리와 뜻을 따져가며 해석해서 읽어도 충분한 가치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원리를 따져가며 읽는 방식의 주역을 의리역(義理易)이라고 한다. 하지만 그러한 구분은 별로 의미가 없다. 점을 치면서도 그 해석을 의리적으로 하기도 하고 의리역으로서 주역을 읽으면서 수시로 점을 치기도 한다. 어쩌면 두 가지 방식을 적절하게 취하는 것이 지혜로운 태도일 수 있다. 가끔 혼자 혹은 함께 모여 시초점으로 괘를 뽑고 이것을 해석하는 재미가, 주역이 다른 텍스트와 구별되는 매력이 되기도 한다. 점을 쳐서 화수미제(火水未濟)괘를 얻었다고 치자. 그럼 나는 생각해본다. 나에게 왜 이 화수미제괘가 왔을까? 주역을 공부하기 시작한 초기에는 우선 이 괘가 길흉, 즉 좋은지 나쁜지를 먼저 따졌었다. 지금은 그것이 그다지 의미가 없다는 것을 잘 안다. 어떤 괘가 오든지 내내 좋기만 하든지, 내내 나쁘기만 한 괘는 없기 때문이다. 오히려 좋다고 환호하고 있을 때 막바지에 다가올 불운을 캐치해내지 못하는 것이, 나쁜 괘를 받아들고 심사숙고해서 해결책을 찾아내는 것보다 더욱 큰 낭패를 보는 일이 종종 있다.   정(正)도 없고 응(應)도 기댈 바 없고 화수미제괘는 주역 64괘의 순서에서 마지막에 위치한 괘이다. 하나의 괘를 이루는 여섯 효는 음양의 배치에 원칙이 있다. 이 원칙에 따르면 첫 번째부터 여섯 번째 효의 자릿값의 순서는 양-음-양-음-양-음이다. 63번째 괘인...
봄날
2024.04.22 | 조회 150
봄날의 주역이야기
우리 사무실은 한 사람의 후원자 A씨가 거액의 전세 보증금을 빌려준 덕에 월세 없이 5년여를 버텨왔다. 그런데 그 후원자가 그것을 돌려받고 싶어했다. 실은 이런 뉘앙스의 말을 일년 전부터 들어왔다. 하지만 월세가 얼마가 되었건 새로운 고정지출을 만드는 건 회사 운영에 큰 위협이 된다는 점에서, 나는 듣고도 모른 체 해왔다. 할 수 없는 일이었다. 그러던 어느 날, ‘작은 동네서점’을 지향하며 청년 중심으로 운영되는 서점의 관리자 B씨로부터 연락이 왔다. “우리 서점이 0월말로 전세기간이 만료돼요. 조금 더 공간이 크고, 학교와 가까운 곳으로 옮길 생각인데...혹시 함께 공간을 얻을 생각이 있으신지요?”   한번도 이 문제에 대해 입밖에 낸 적도, B씨와 논의한 적도 없었는데, 나는 이상하게 그 제안에 끌렸다. 늘 마음 한 구석에 남아있던 A씨에 대한 부채를 해결하고픈 생각이 불쑥 고개를 내밀었다. 공간을 함께 나누면 월세의 부담도 덜고, 초기 위험부담도 적어질 거라는 생각에 이르렀다. 나는 덜컥 동의를 해버렸고, 하루 이틀 사이에 신축건물 2층 공간을 발견하고, 며칠 사이에 월세계약까지 해치워버렸다. 누가 떠민 것도 아닌데, ‘이렇게 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듯이, 정해진 수순처럼 나의 결정은 거침 없었다.   택천괘(澤天夬)는 바로 이런 결정의 순간을 가리킨다. ‘결단하다’, ‘결정하다’의 뜻을 가진 쾌(夬)라는 글자는 활시위를 당길 때 엄지에 끼는 깍지나, 깍지를 낀 손의 형상에서 나왔다. 활은 쏘아 맞히는 도구이고, 시위를 당긴 화살은 언젠가는 쏘아야 한다. 쾌괘는 목표를 겨누었다가 깍지를 풀어놓는 그 순간의 상황이다. 겨눌 만큼...
우리 사무실은 한 사람의 후원자 A씨가 거액의 전세 보증금을 빌려준 덕에 월세 없이 5년여를 버텨왔다. 그런데 그 후원자가 그것을 돌려받고 싶어했다. 실은 이런 뉘앙스의 말을 일년 전부터 들어왔다. 하지만 월세가 얼마가 되었건 새로운 고정지출을 만드는 건 회사 운영에 큰 위협이 된다는 점에서, 나는 듣고도 모른 체 해왔다. 할 수 없는 일이었다. 그러던 어느 날, ‘작은 동네서점’을 지향하며 청년 중심으로 운영되는 서점의 관리자 B씨로부터 연락이 왔다. “우리 서점이 0월말로 전세기간이 만료돼요. 조금 더 공간이 크고, 학교와 가까운 곳으로 옮길 생각인데...혹시 함께 공간을 얻을 생각이 있으신지요?”   한번도 이 문제에 대해 입밖에 낸 적도, B씨와 논의한 적도 없었는데, 나는 이상하게 그 제안에 끌렸다. 늘 마음 한 구석에 남아있던 A씨에 대한 부채를 해결하고픈 생각이 불쑥 고개를 내밀었다. 공간을 함께 나누면 월세의 부담도 덜고, 초기 위험부담도 적어질 거라는 생각에 이르렀다. 나는 덜컥 동의를 해버렸고, 하루 이틀 사이에 신축건물 2층 공간을 발견하고, 며칠 사이에 월세계약까지 해치워버렸다. 누가 떠민 것도 아닌데, ‘이렇게 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듯이, 정해진 수순처럼 나의 결정은 거침 없었다.   택천괘(澤天夬)는 바로 이런 결정의 순간을 가리킨다. ‘결단하다’, ‘결정하다’의 뜻을 가진 쾌(夬)라는 글자는 활시위를 당길 때 엄지에 끼는 깍지나, 깍지를 낀 손의 형상에서 나왔다. 활은 쏘아 맞히는 도구이고, 시위를 당긴 화살은 언젠가는 쏘아야 한다. 쾌괘는 목표를 겨누었다가 깍지를 풀어놓는 그 순간의 상황이다. 겨눌 만큼...
봄날
2024.01.08 | 조회 342
봄날의 주역이야기
다섯 달 동안 주역공부를 같이 했던 친구들과 발표회를 치렀다. 준비하면서 이번엔 좀 색다른 방식으로 해보자고 뜻을 모았다. 에세이를 발표하는 친구들도 있었지만, 많은 친구들이 퍼포먼스나 전시같은 형식을 택했다. 나도 몇 달 전부터 배우기 시작한 민화를 이용해 주역을 표현해보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이런 저런 궁리 끝에 8개의 소성괘를 민화기법으로 그려보기로 했다. 인터넷으로 검색해보니 민화로 주역을 표현한 작품들이 있기는 있었다. 그러나 거의 모든 민화 작품이 음양오행을 중심으로 그린 그림이었다. 태극모양이거나 3획의 검은색 막대그림은 주역을 아는 사람에게도 흥미를 끌지 못했다. 그러니까 8개의 소성괘가 가진 물상을 그린 것은 없었다는 것이다. 참고할만한 것이 없다는 아쉬움과 함께 나야말로 소성괘의 물상을 제대로 그려보리라는 욕심도 생겼다.   하늘, 땅, 연못, 번개(우레), 불, 물, 산, 바람의 물상을 가진 소성괘를 가시적으로 표현해내는 것은 만만하지 않았다. 하늘을 그냥 파랗게, 땅을 그냥 황토색으로 칠하는 것은 소성괘를 잘 표현하는 것이 아니다. 산, 번개 등을 형상화는 것도 마찬가지로 어려웠다. 그러나 무엇보다 가장 어려웠던 것은 ‘바람’을 뜻하는 손괘(巽卦)를 형상화하는 일이었다. 바람은 기체의 움직임 자체이니 육안으로 볼 수는 없고, 불거나 멈추는 데 일정한 규칙이 있는 것도 아니고 그 발생과 소멸 또한 예측할 수 없다. 형체없는 자연물의 형상화 때문에 머리가 아플 정도로 고민하다가 마침 손괘에 배속된 자연물에 나무도 있다는 것에 착안해서 ‘나무에 이는 바람’을 그리는 것으로 결정했다.   이 과정에서 나는 바람을 다시 보게 됐다. 바람은 형체가 없지만,...
다섯 달 동안 주역공부를 같이 했던 친구들과 발표회를 치렀다. 준비하면서 이번엔 좀 색다른 방식으로 해보자고 뜻을 모았다. 에세이를 발표하는 친구들도 있었지만, 많은 친구들이 퍼포먼스나 전시같은 형식을 택했다. 나도 몇 달 전부터 배우기 시작한 민화를 이용해 주역을 표현해보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이런 저런 궁리 끝에 8개의 소성괘를 민화기법으로 그려보기로 했다. 인터넷으로 검색해보니 민화로 주역을 표현한 작품들이 있기는 있었다. 그러나 거의 모든 민화 작품이 음양오행을 중심으로 그린 그림이었다. 태극모양이거나 3획의 검은색 막대그림은 주역을 아는 사람에게도 흥미를 끌지 못했다. 그러니까 8개의 소성괘가 가진 물상을 그린 것은 없었다는 것이다. 참고할만한 것이 없다는 아쉬움과 함께 나야말로 소성괘의 물상을 제대로 그려보리라는 욕심도 생겼다.   하늘, 땅, 연못, 번개(우레), 불, 물, 산, 바람의 물상을 가진 소성괘를 가시적으로 표현해내는 것은 만만하지 않았다. 하늘을 그냥 파랗게, 땅을 그냥 황토색으로 칠하는 것은 소성괘를 잘 표현하는 것이 아니다. 산, 번개 등을 형상화는 것도 마찬가지로 어려웠다. 그러나 무엇보다 가장 어려웠던 것은 ‘바람’을 뜻하는 손괘(巽卦)를 형상화하는 일이었다. 바람은 기체의 움직임 자체이니 육안으로 볼 수는 없고, 불거나 멈추는 데 일정한 규칙이 있는 것도 아니고 그 발생과 소멸 또한 예측할 수 없다. 형체없는 자연물의 형상화 때문에 머리가 아플 정도로 고민하다가 마침 손괘에 배속된 자연물에 나무도 있다는 것에 착안해서 ‘나무에 이는 바람’을 그리는 것으로 결정했다.   이 과정에서 나는 바람을 다시 보게 됐다. 바람은 형체가 없지만,...
봄날
2023.11.12 | 조회 220
봄날의 주역이야기
  쌀벌레가 나타나야 쌀이 상한 것을 안다 십년이 넘도록 함께 웃고 지내던 동아리에 일이 생겼다. 표면적으로는 멤버 중 몇몇의 술이 과해서 벌인 쌈박질이지만, 그것은 오랫동안 동아리 내에서 묵혀두었던 ‘과거사’ 때문에 벌어진 일이었다. 육십갑자가 넘은 사람들이 해도 되는 말과, 절대로 하면 안되는 말을 마구 내뱉었다. 욕설을 몇 번 주고받던 사람들이 급기야 의자를 집어던지고 주먹다짐을 하고 말았다. 장수하는 동아리로, ‘성격 좋은 사람들’이 모인 동아리로 주변의 부러움을 샀었는데, 비록 술기운을 빌렸다고 하지만, 누군가의 가슴 속에 상처가 되는 말들이 거침없이 쏟아져 나왔다. 십년의 우정은 어디로 가고, 곪을대로 곪아버린 관계만이 드러났다. 그것은 주역의 18번째 괘인 산풍고(山風蠱)괘가 형상화한 ‘벌레먹은 그릇’, 바로 그것이었다.   괘명인 고(蠱)라는 한자는 그릇(皿) 속에 많은 벌레가 있는 모양을 하고 있다. 벌레의 종류를 정확하게 규정하지 않고 있지만, 이때의 벌레는 쌀에서 생겨나는 바구미 같은 류를 생각하는 것이 적당할 듯하다. 좀 오래된 쌀독을 열었을 때 갑자기 튀어나오는 바구미처럼, 우리는 벌레를 발견하기 전까지는 쌀이 상했을 것이라고 전혀 생각하지 않는다. 바구미가 튀어나온 순간, 일은 완전히 다른 국면으로 넘어가고, 시선은 쌀에서 벌레로 옮겨간다.     산 아래 머무는 바람이 하는 일 이렇게 나도 알지 못하는 사이에 어떤 일이 벌어진 데에는 나름대로 원인이 있을텐데, 64괘가 배열된 차례를 보면 고개가 끄덕여지는 측면이 있다. 산풍고괘는 18번째 괘인데, 16번째 괘는 ‘기쁨’을 나타내는 뇌지예(雷地豫)괘이고, 17번째는 ‘남을 따른다’는 뜻을 가진 택뢰수(澤雷隨)괘이다. 그러니까, 기뻐하고 따르는...
  쌀벌레가 나타나야 쌀이 상한 것을 안다 십년이 넘도록 함께 웃고 지내던 동아리에 일이 생겼다. 표면적으로는 멤버 중 몇몇의 술이 과해서 벌인 쌈박질이지만, 그것은 오랫동안 동아리 내에서 묵혀두었던 ‘과거사’ 때문에 벌어진 일이었다. 육십갑자가 넘은 사람들이 해도 되는 말과, 절대로 하면 안되는 말을 마구 내뱉었다. 욕설을 몇 번 주고받던 사람들이 급기야 의자를 집어던지고 주먹다짐을 하고 말았다. 장수하는 동아리로, ‘성격 좋은 사람들’이 모인 동아리로 주변의 부러움을 샀었는데, 비록 술기운을 빌렸다고 하지만, 누군가의 가슴 속에 상처가 되는 말들이 거침없이 쏟아져 나왔다. 십년의 우정은 어디로 가고, 곪을대로 곪아버린 관계만이 드러났다. 그것은 주역의 18번째 괘인 산풍고(山風蠱)괘가 형상화한 ‘벌레먹은 그릇’, 바로 그것이었다.   괘명인 고(蠱)라는 한자는 그릇(皿) 속에 많은 벌레가 있는 모양을 하고 있다. 벌레의 종류를 정확하게 규정하지 않고 있지만, 이때의 벌레는 쌀에서 생겨나는 바구미 같은 류를 생각하는 것이 적당할 듯하다. 좀 오래된 쌀독을 열었을 때 갑자기 튀어나오는 바구미처럼, 우리는 벌레를 발견하기 전까지는 쌀이 상했을 것이라고 전혀 생각하지 않는다. 바구미가 튀어나온 순간, 일은 완전히 다른 국면으로 넘어가고, 시선은 쌀에서 벌레로 옮겨간다.     산 아래 머무는 바람이 하는 일 이렇게 나도 알지 못하는 사이에 어떤 일이 벌어진 데에는 나름대로 원인이 있을텐데, 64괘가 배열된 차례를 보면 고개가 끄덕여지는 측면이 있다. 산풍고괘는 18번째 괘인데, 16번째 괘는 ‘기쁨’을 나타내는 뇌지예(雷地豫)괘이고, 17번째는 ‘남을 따른다’는 뜻을 가진 택뢰수(澤雷隨)괘이다. 그러니까, 기뻐하고 따르는...
봄날
2023.07.04 | 조회 290
봄날의 주역이야기
주역의 4대 난괘 중 하나인 택수곤(澤水困)괘는 한 마디로 ‘결핍의 시대’을 상징한다. 이때의 결핍은 위는 연못이고 아래는 물인 곤괘의 물상이 변하면서 발생한다. 표면에 보이는 것은 연못인데, 연못에 차 있어야 할 물이 아래로 다 빠져나가 버려 못이 바짝 말라있는 상태. 물이 머물지 않고 계속해서 빠져나가는 연못은 더 이상 생명력이 없다. 택수곤괘의 결핍은 곧 생명력의 결핍이다. 나는 그 모양이 정확하게 지금 이 땅에서 벌어지는 갖가지 생태파괴의 현장을 가리키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옛사람들은 수천년 전에 이미 우리에게 주어졌던 자연 생태계가 망가질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고, 곤괘를 통해 경고의 메시지를 던져주려고 했던 것 아닐까? 그렇다면 택수곤괘에는 그런 비극적인 사태를 벗어날 수 있는 메시지도 함께 담겨있지 않을까? 나는 택수곤괘를 생태적 관점으로 읽어보려 한다.   인류문명은 택(澤)에서 시작됐다 곤괘를 생태와 연결하여 생각하게 된 것은 바로 연못을 뜻하는 ‘택(澤)’이라는 글자 때문이다. 주역의 괘는 여덟 가지의 자연의 형상을 본따서 만든 3획을 두 번 겹쳐서 만들어진다. 여덟 개의 괘에서 표현하는 자연의 물상은 하늘(☰), 땅(☷), 불(☲), 우레(☳), 바람(☴), 물(☵), 산(☶), 연못(☱)이다. 이 물상들의 변화하는 모습과 서로 작용하는 모습을 보고 만든 것이 주역이니, 주역은 당연히 자연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그런데 이 소성괘 중에서 다른 괘의 물상은 뚜렷한데, 연못은 어딘가 애매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가? 물을 뜻하는 감괘(坎卦)가 엄연히 있는데 굳이 같은 물을 머금고 있는 택괘(澤卦)가 또 다른 소성괘를 이루고 있으니 말이다. 그러나...
주역의 4대 난괘 중 하나인 택수곤(澤水困)괘는 한 마디로 ‘결핍의 시대’을 상징한다. 이때의 결핍은 위는 연못이고 아래는 물인 곤괘의 물상이 변하면서 발생한다. 표면에 보이는 것은 연못인데, 연못에 차 있어야 할 물이 아래로 다 빠져나가 버려 못이 바짝 말라있는 상태. 물이 머물지 않고 계속해서 빠져나가는 연못은 더 이상 생명력이 없다. 택수곤괘의 결핍은 곧 생명력의 결핍이다. 나는 그 모양이 정확하게 지금 이 땅에서 벌어지는 갖가지 생태파괴의 현장을 가리키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옛사람들은 수천년 전에 이미 우리에게 주어졌던 자연 생태계가 망가질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고, 곤괘를 통해 경고의 메시지를 던져주려고 했던 것 아닐까? 그렇다면 택수곤괘에는 그런 비극적인 사태를 벗어날 수 있는 메시지도 함께 담겨있지 않을까? 나는 택수곤괘를 생태적 관점으로 읽어보려 한다.   인류문명은 택(澤)에서 시작됐다 곤괘를 생태와 연결하여 생각하게 된 것은 바로 연못을 뜻하는 ‘택(澤)’이라는 글자 때문이다. 주역의 괘는 여덟 가지의 자연의 형상을 본따서 만든 3획을 두 번 겹쳐서 만들어진다. 여덟 개의 괘에서 표현하는 자연의 물상은 하늘(☰), 땅(☷), 불(☲), 우레(☳), 바람(☴), 물(☵), 산(☶), 연못(☱)이다. 이 물상들의 변화하는 모습과 서로 작용하는 모습을 보고 만든 것이 주역이니, 주역은 당연히 자연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그런데 이 소성괘 중에서 다른 괘의 물상은 뚜렷한데, 연못은 어딘가 애매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가? 물을 뜻하는 감괘(坎卦)가 엄연히 있는데 굳이 같은 물을 머금고 있는 택괘(澤卦)가 또 다른 소성괘를 이루고 있으니 말이다. 그러나...
봄날
2023.04.22 | 조회 376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