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이 예술 5회] 거북의 그 ‘거대한 시간’에 대하여

동은
2023-09-21 00:22
545

 

거북의 그 ‘거대한 시간’에 대하여

동은

 

 

 

1. 거북이를 좋아하는 선생과 학생의 만남

 

  나는 거북이를 좋아한다. 아마 나를 오랫동안 본 사람들은 이렇게 물어볼지도 모르겠다. “네가 싫어하는 동물이 있어?” 그 질문에 답하기는 힘들지만… 어쨌든 동물 중에서도 거북이를 좀 더 좋아한다. 무언가를 좋아할 때도 여러 유형이 있는데, 누군가는 거북이를 동물계 척삭동물문, 파충강의 거북목으로 세세하게 분류하면서 이해하고 싶어하거나 어떤 종류와 부위, 과거를 갖고 있는가를 줄줄 외우며 익히려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나의 경우에는 그냥 푹 빠져버리고 만다. 어느 날 정신 차리니 좋아하는걸 깨닫고 그 이후에 이유를 찾게 되는 식이다. 내가 깨달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거북이의 등껍질의 지문같은 주름들, 매끈하면서도 나른한 눈의 모양, 꾹 다문 입의 곡선, 다양한 형태의 발톱과 느릿한 걸음걸이, 혹은 하늘을 나는 듯 바다를 헤엄치는 몸짓같은 것들… 더더더 많지만 지면상 생략하도록 하겠다. 잠깐! 그렇다고 해서 내가 거북이 미쳐있다거나 거북이를 위해 살고 싶은 건 아니니까 그냥 좋아한다고만 생각해달라. (한때 평생 남미의 거북이 봉사자로 사는 걸 꿈꾸기도했지만…….)

 

  혹시 첫 글에서 비 우雨로 시작했던 첫 수업에 대해서 기억하는가? 굉장히 있어보이는 말들로 글을 마무리했지만 첫 수업때의 나는 극도의 긴장상태였다.(링크) 나는 긴장하면 오류난 기계처럼 굳어버리고 마는데, 열심히 준비한 수업을 망칠지도 모른다는 걱정에 갈수록 긴장은 배가 됐다. 그렇게 시작된 수업, 첫 시간이니 인사와 함께 서로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소개 시간에는 아이들에게 나이나 소속 학교보다도 이름과 좋아하는 것으로 자기를 소개해보라고 권하는데, 그러면 아이들은 보통 만화보기, 게임하기, 그림 그리기나 동물, 친구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그런데 한 아이가 동물 중에서도 콕 집어 거북이를 좋아한다며 자기가 키우는 거북이에 대한 이야기를 꺼냈다! ‘헉! 나… 나두..!! 거북이를 함께 산다니 부럽다….’ 그렇게 거북이를 좋아하는 나와 민혁이는 쉬는 시간동안 한참을 떠들었다. 나는 잠깐의 수다로 긴장이 해소되었고, 그 덕에 즐겁게 수업을 할 수 있었다. 민혁이와 좀 더 거북이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눴으면 좋았을텐데 아쉽게도(?) 나와 민혁이는 한자 선생과 학생으로 만나서, 거북이에 대한 대화도 한자와 관련된 내용으로 나눠야 했다. 다행인건 거북이가 한자의 역사에서 빠질 수 없는 존재라는 점이다^^

 

 

2. 거북이는 언제부터 신비한 존재였을까?

 

  갑골문甲骨文은 거북이의 배껍질甲과 소의 어깨뼈骨에 새겨진 문자文들을 의미한다. 갑골문은 발견된 이후로 오랫동안 한자의 기원이라 여겨졌다. 한자의 기원이 거북이에 새겨져 있었다니, 어떻게 이런 우연이 다 있을까? 고대 사람들도 거북이를 중요한 생명이라 여겼을 것이 분명하다! 거북이의 속성을 떠올려보면 신비하게 여겨지는 것이 자연스럽다. 일단 거북이는 육지와 바다를 모두 돌아다닐 수 있고, 등딱지의 무늬가 균형잡혀 특이할 뿐만 아니라 둥그스름한 돔 형태의 등딱지와 그 등딱지를 받치고 있는 단단한 네 개의 발이 움직이는 걸 보면 세계를 운반하는 모습을 상상할 수도 있다. 여러 신화에서 거북이가 등장하는 이유도 마찬가지이지 않을까. 중국의 경우에는 신비한 부호와 관련된 전설에 거북이가 등장한다. 중국에는 태극과 팔괘의 효시가 된 하도낙서河圖洛書가 전해지는데, 『상서尙書』에 따르면 문자가 없던 시절 복희씨가 황하에 출현한 용의 등에 있는 점을 보고 우주 만물의 이치를 깨달아 팔괘를 만든 것이 낙서洛書이고, 하나라 우임금 시절 낙수에서 홍수가 났을 때 갑자기 나타난 신령스러운 거북의 등껍질 무늬를 보고 세상 만물을 표현하는 부호를 하도河圖라고 한다. 하도낙서는 그림으로 시작했지만 이후 기호화되며 문자처럼 소통하는 역할을 했다. 문자가 만들어지기 전부터 문자의 역할을 했다는 그림에 신령한 거북(신괴)의 영향이 닿아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소는 뭐냐고? <주례周禮>의 기록에 따르면 거북을 채취하고 갑골문을 새길 때마다 치루는 의식에서 소가 희생되었다고 하는데 그러다보니 거북과 함께 소의 뼈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을 것이라 생각하면 될 것 같다. 

 

 

 

 

 

 

 

 

 

 

 

왼쪽은 중남미 인디언 문화의 우주나무다. 그들은 거북의 등뼈에서 하늘을 지탱하면서 땅을 연결할 뿐만 아니라 뿌리를 통해서 지하세계까지 연결하는 거대한 나무인 우주나무가 자란다고 믿었다.

오른쪽은 힌두 지구의 그림이다. 보통 “World Turtle”이라고 한다. 지구를 지고 있는 거북을 힌두교에서는 아쿠파라(Akupara)라고 한다. 1876년작. 작자 미상.

 

 

  그런데 사실 갑골문을 기록하는 데 거북과 소만 쓰인 건 아니다. 본격적으로 거북의 배딱지가 사용된 것은 상商나라 중후반 부터이고 그 이전에는 넙데데하고 글씨를 새길 수만 있으면 그것이 사람의 머리든, 어떤 동물이든 가리지 않고 사용되었다.* 그런데 대량의 갑골문이 발견된 곳에서는 대부분 거북이 배딱지를 사용했기 때문에, ‘갑골문’하면 거북이 배딱지를 떠올리게 된 것이다. 그런데 현재까지 발굴된 수많은 유물들 중에서 말의 뼈만 없었다고 하니 어쩌면 고대 사람들은 거북이보다 말을 더 소중하게 여겼을지도 모른다. 쳇. 과몰입이라고 해도 할 말 없지만, 왜 괜히 아쉽지?

 

———

* 글씨를 새길 수 있는 폭이 확보되어야 했기에 사용된 뼈들이 대부분 포유류의 뼈라고 한다. 

 

 

3. 거북이에게 새겨진 인간의 운명

 

  그렇다고 해서 갑골문이 새겨진 거북 껍질이 중요하지 않은 것은 아니었다. <주례周禮>에는 거북이를 취급하는 과정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는데, 거북이 껍질을 사용하기 위해 주로 가을에 거북이를 잡고 봄이 되면 껍질을 손질해 다듬었다. 가을에 채취하는 이유는 곡식이 영글어 만물이 완성되기 위한 때를 맞추기 위한 것이며 봄에 손질하는 이유는 겨울이 지나 해빙된 후 건조해져서 흠이 생기지 않게 만들기 위해서였다. 이렇게 정성스레 만들어낸 거북 껍질이 부족해지면 주변 국가로부터 공납까지 받았다고 한다. 굉장히 먼 남해 지역에서 거북이를 보냈다는 기록이 남아있는 걸 보면 거북이 껍질은 꽤나 중요한 자원이었음이 분명하다. 

 

  그들은 도대체 무슨 목적을 위해 거북의 껍질을 그리 많이 사용했던 걸까? 그리고 왜 그렇게 번거롭게 거북이 껍질을 다듬어 글자를 새겼을까? 조금만 생각해보면 비교적 다루기 쉬운 대나무나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는 커다란 바위에 글자를 새길 수도 있었을 텐데 말이다. 사람들은 갑골문이 적혀있는 거북 껍질이 대량으로 발견된 이후 그 새겨진 문자의 내용을 알아내기 위해 연구를 시작했다. 그 결과 거북의 껍질에는 제사와 군사의 운용, 재해의 유무, 농작물의 성장을 위한 날씨, 왕의 수행길에 대한 안녕, 각종 사건사고의 길흉, 수렵채집하기 좋은 날, 질병의 치유, 관료들에 대한 임명, 아이의 출산, 꿈의 계시, 주변국에 대한 공납 등등… 다양한 일들의 미래를 묻고 그 답을 적어놓은 내용이라는 걸 알게 됐다. 그렇다. 거북 껍질은 점을 칠 때 그 질문을 적어놓기 위한 도화지였던 것이다! 

 

  거북 껍질에 새겨진 내용들은 대부분 국가의 중요한 일을 예견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었다. 뼈에 구멍을 뚫어 불에 굽는 것이 점占을 치는 것이고 그 뒤 쪼개진 모양을 보고 그 결과를 읽어내는 것을 복卜**이라고 해서 이를 합쳐 이런 국가적으로 치뤄진 점술행위를 점복(占卜)이라 불렀다. 그런데 왜 거북 껍질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던 것일까? 결과적으로 봤을 때 그 이유는 조작 방지를 위해서였다. 그 전까지는 문자를 새길 수 있는 뼈라면 어느 가축이나 인간도 가리지 않고 새겼었는데 시간이 지나 뼈의 쪼개짐을 섬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면서 인위적으로 결과를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점의 영험함을 믿을 수 없게 되었다. 그런데 거북의 껍질에는 일정한 모양과 결이 있어서 쉽게 결과를 조작할 수 없었기에 거북점이 가장 높은 신임을 받았다고 한다. 그 이후부터 여러 점복 의식 중에서도 거북점이 가장 보편적인 점복의식이 되어 상나라 중후반 시기의 유적에서 다른 뼈보다 거북이 배딱지를 대량으로 찾을 수 있던 것이다. 거북이는 분명 국가 차원의 귀한 동물인 것은 분명하지만 거북이가 귀해서 의식에 쓰이게 된건지, 아니면 의식에 거북이가 쓰였기 때문에 귀한 동물이 된 것인지는 알 수 없을 것 같다. 다만 점복의식 안에서 여러 의미와 신묘함이 생겨난 것이 아닐까. 

 

 

———

**복卜은 불에 구운 뼈가 쪼개진 가로 세로의 모양을 본따 만들어진 글자다.

 

 

4. 거북이에게 박제된 고대 중국

 

  갑골문이 사용되던 상나라 시기에 이뤄진 점복은 단순히 미래를 알기 위해 행해진 것은 아니었다. 갑골문이 사용되던 상나라는 국가의 형태를 갖추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점을 통해 국가적인 용무에 대한 질문을 던졌던 것은 주변 씨족들에 대한 구속력을 발휘하는 근거를 점술의식을 통해 마련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통치자에게는 절대적인 권위가 필요했고, 그 용도로 그들만 물어볼 수 있는 방법(갑골문)으로 점을 쳐 그 결과를 주변 국가들에게 통보함으로써 통치권력에 권위를 확보했다. 따라서 갑골문은 점복 제의의 모든 과정을 기록하며 신과 소통하기 위한 것으로 주술적인 용도의 문자이자 제정일치의 수단이었다. 점복 의식이 가장 많이 치뤄진 상나라 후기에는 각각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복인, 정인, 점인 세 명의 관리를 두었는데 복인은 귀갑을 직접 다루며 징조를 읽는 사람이며 정인은 갑골에 직접 이름이 표기된 책임자였고 정인은 상나라의 정치권력에 막강한 영향력으로 점을 친 결과에 따라 왕의 의사와 반대되는 의견을 낼 수도 있었다. 이렇게 미래를 점치는 일이 후대로 갈수록 체계가 갖춰지는 것으로 보아 왕권도 점의 결과에 제한을 받을 정도로 점의 영향력이 강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갑골문이 새겨져있는 유물. 쪼개져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점을 치는 행위 자체는 상나라 보다 훨씬 이전 시대부터 존재해왔다. 그럼에도 상나라의 거북점이 이전과 달랐던 것은 그것이 문자와 의례를 결합함으로써 통치권력의 권위를 높이는데 사용되었다는 점이다.  이 목적 덕분에 갑골문에는 그 시대의 다양한 모습들 확인할 수 있는데. 그 시기의 노예제도, 음악과 제례, 수렵채집 행위들이나, 모계사회의 흔적이 남은 면모도 살펴볼 수 있다. 왕비나 무녀같은 특수한 신분의 상층 계급의 여성에 대한 내용이 남아있기도 하니 갑골문은 국소적이지만 생동감있게, 그 시대의 모습을 깊이 알 수 있는 문서다.

 

 

5. 거북에게 담겨있는 간절함

 

  민혁이를 만나 즉석에서 수업내용을 바꾸면서 이후 3회차 동안 거북의 껍질에 새겨진 갑골문의 이야기를 아이들에게 들려줄 수 있었다. 거북의 껍질을 벗겨 글을 새겼다고 하니 아이들은 잔인하다고 하기도 하고, 고대에 이루어진 의례행위에 대한 놀라움과 거북함 같은 것을 보이기도 했다. 나는 좋아하는 걸 말할 때 혼자 신나서 들뜨곤 하는데 다행히 아이들은 그런 나에게 동화되어 수업을 집중했던 것 같다. 하루는 민혁이가 키우고 있는 거북이를 데리고 와서 아이들과 직접 글씨를 새겼다는(!) 배딱지를 살펴보기도 했다. 나로서는 일종의 ‘합법적 덕질’을 할 수 있는 기회였다고나 할까?

 

  거북과 갑골문에 대한 여러 이야기 중에서도 아이들의 이목을 끌었던 것은 점술이 그들에게 간절한 질문이었다는 점이었다. 점술이 오랫동안 사람들과 함께했던 것으로 보아 이렇게 점을 치는 행위는 고대 사람들이 주술적인 일에 큰 의미를 부여했던 것 이전에 어떤 간절함 때문이라는 걸 아이들도 이해했기 때문이다. 나는 아이들에게 슬쩍 미래에 일어날 일 중에 무엇이 가장 궁금한지 물어보았다. 아이들의 대답이 와르르 쏟아졌다. “제가 나중에 어떤 사람이 되어있을지 궁금해요!”. “코로나가 과연 끝날까요?”, “좋아하는 야구팀이 우승할지 궁금해요!”, “우리집 반려동물은 얼마나 살까요?” 등등. 이어서 얼마나 그 답을 얻기 위해 간절할 수 있느냐를 물었을 때 별다른 대답은 없었지만…ㅎㅎ 조금이라도 미래의 사건사고를 알아채고, 이에 대비하며 지금의 일상을 유지하거나 문제를 없애고 싶어했던 간절함. 그 간절함을 이해하는 것이 크게 어렵지 않았나보다. 만약 그 능력을 손에 쥘 수 있다면 무엇이 두렵겠는가! 분명 점복은 굉장히 경건하고 정성을 쏟아야 하는 일이었을 것이다.

 

  그 간절함은 때로 신묘함과 함께 재밌는 역사를 만들어내기도 하는 것 같다. 몇 천년 동안 잠들어있다가 갑골문이 1899년에 발견된 일이 그렇다. 왕의영이라는 사람이 말라리아에 걸려 치료제를 수소문하고 있었는데 한 의원이 용골龍骨을 갈아 달여마시면 효과가 있을 것이라 진단했다. 말도 안돼! 용골龍骨은 용의 뼈라는 의미인데 도대체 용의 뼈를 어떻게 구한다는 말인가? 그런데 그 당시 흙에서 나온 이상한 뼈를 사용하면 효험이 있다는 소문이 돌고 있었다. 그 소문 속의 그 뼈를 구해보니 공통적으로 이상한 부호들이 새겨져 있었는데 청동기 명문, 금석학 학자이기도 했던 왕의영은 수소문 끝에 이 뼈가 하남성에서 발견되어 약재로 유통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하남성은 고대부터 중국의 중심으로서 중국 문명의 발산지였는데 그 곳에서 농부들이 땅을 매다가 찾은 특이한 덩어리들을 약이라며 약재상에게 팔았던 것이다. 그렇다, 갑골문이 새겨진 거북이의 배딱지는 금문학자에게 우연히 발견되기 전까지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신비한 동물인 용의 뼈라며 약재로 사용되고 있었다. 청나라 시절에 살던 왕의영이 발견하기 전, 당나라 시절에도 ‘용골’에 대한 기록이 있다고도 하니 얼마나 많은 시간동안 갑골 파편들이 사람들의 입 속으로 사라졌을지 모르는 일이다.

 

   나는 거북이를 생각하면 남매 가수 AKMU가 부른 <고래>의 노랫말이 떠오른다. “오, 거대한 너의 그림자를 동경해. 이 넓은 바다를 누비는 너의 여유….” 아, 나는 거북이를 동경하고 있구나. 거북만의 속도와 시간으로 긴 세월을 살아가는 것도 대단하다고 생각하는데, 몇 천년동안 그 시대와 함께 박제되었다고 생각하면 거북과 함께한 그 모든 시대가 말 그대로 ‘거대해’보인다. 복잡하고 다사다난하지만 어찌보면 순간일 뿐인 인간사를 그저 묵묵히 함께하는 수호신 같은 느낌이라고 해야 할까. 어쩌면 거북점을 쳤던 사람들 중 몇몇은 나처럼 거북의 속도를 동경했을지도 모른다. 세상이 어떻든 발걸음을 옮기는 그 묵직한 속도를 말이다.

 

 

댓글 3
  • 2023-09-21 14:50

    거북덕질에 관한 글이라니... 생물학적 관점이 나와야할 것 같은데, 한자랑 연결되는 지점도 재밌네요ㅎ

  • 2023-09-25 22:12

    한자를 공부하는 동은이가 거북이를 좋아한다니 우연이지만 뭔가 있는 듯? ㅎㅎ

  • 2023-09-27 12:06

    거북만의 속도와 시간...조오타~

세미나 에세이 아카이브
고라니의 얼굴을 본 적이 있나요? 문선희,「이름보다 오래된」을 읽고     알지도 못하면서   반촌(半村) 생활을 하면서 관계 맺게 된 비인간 동물들은 도처에 있다. 두더지, 너구리, 고양이, 쥐, 멧돼지, 고라니, 뱀, 계곡의 물살이, 그리고 각종 곤충들. 그들 중에 내가 특별히 관심을 두게 된 종이 있다면 그 이유는 틀림없이 우리 사이에 있는 불편하고 두려운 어떤 감정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나는 그들에게 잘 지내보자는 화해의 마음을 내어본 적은 없다. 내가 시도하고 궁금했던 것은 그들을 피하거나 내쫓거나 없애는 방법. 그나마 피하는 정도면 평화롭다. 가끔은 생포하거나 죽이는 방법들도 궁리했다. 이들은 나의 건강을 위협하며 농사를 어렵게 하기에 어쩔 수 없었다.   뱀을 쫓기 위해 떠돌이 산속 고양이들을 사료로 유인하여 우리 집 근처에 살도록 하고, 집 둘레는 백반으로 결계를 쳤다. 불청객들이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살충제는 언제든 손이 닿기 쉬운 곳에 두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와 남편이 해답을 찾지 못한 것은 멧돼지, 고라니, 두더지. 이 녀석들은 번갈아 가며 우리 살림과 밭작물과 과실수들에 큰 해를 끼쳤다. 특히 올해는 고라니가 그 역할을 단단히 했다.   고라니는 해마다 빌런이 아니었던 적이 거의 없다. 항상 잔잔하게 우리의 농사를 방해해왔다. 나보다 더 콩잎에 환장하는 고라니 때문에 콩 농사는 반촌 첫해부터 포기했다. 녀석들은 녹즙 해먹을 기대로 사다 심은 비싼 와송을 흔적 하나 남기지 않고 먹어 버리기도 했다. 고라니를 막기 위한 울타리를 쳐도 허술한 구석을 용케...
고라니의 얼굴을 본 적이 있나요? 문선희,「이름보다 오래된」을 읽고     알지도 못하면서   반촌(半村) 생활을 하면서 관계 맺게 된 비인간 동물들은 도처에 있다. 두더지, 너구리, 고양이, 쥐, 멧돼지, 고라니, 뱀, 계곡의 물살이, 그리고 각종 곤충들. 그들 중에 내가 특별히 관심을 두게 된 종이 있다면 그 이유는 틀림없이 우리 사이에 있는 불편하고 두려운 어떤 감정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나는 그들에게 잘 지내보자는 화해의 마음을 내어본 적은 없다. 내가 시도하고 궁금했던 것은 그들을 피하거나 내쫓거나 없애는 방법. 그나마 피하는 정도면 평화롭다. 가끔은 생포하거나 죽이는 방법들도 궁리했다. 이들은 나의 건강을 위협하며 농사를 어렵게 하기에 어쩔 수 없었다.   뱀을 쫓기 위해 떠돌이 산속 고양이들을 사료로 유인하여 우리 집 근처에 살도록 하고, 집 둘레는 백반으로 결계를 쳤다. 불청객들이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살충제는 언제든 손이 닿기 쉬운 곳에 두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와 남편이 해답을 찾지 못한 것은 멧돼지, 고라니, 두더지. 이 녀석들은 번갈아 가며 우리 살림과 밭작물과 과실수들에 큰 해를 끼쳤다. 특히 올해는 고라니가 그 역할을 단단히 했다.   고라니는 해마다 빌런이 아니었던 적이 거의 없다. 항상 잔잔하게 우리의 농사를 방해해왔다. 나보다 더 콩잎에 환장하는 고라니 때문에 콩 농사는 반촌 첫해부터 포기했다. 녀석들은 녹즙 해먹을 기대로 사다 심은 비싼 와송을 흔적 하나 남기지 않고 먹어 버리기도 했다. 고라니를 막기 위한 울타리를 쳐도 허술한 구석을 용케...
도라지
2023.11.05 | 조회 380
기린의 공동체가 양생이다
1.칠원의 관리, 장자   들꿩은 열 걸음을 걸어야 모이 한 번 쪼고 백 걸음 걸어야 물 한 모금 얻을 수 있습니다. 그래도 새장에서 길러지기를 바라지 않습니다. 먹이를 찾는 수고로움이야 없겠지만 자유롭게 살려는 본성에는 맞지 않기 때문입니다. (澤雉十步一啄,百步一飮,不蘄畜乎樊中. 神雖王,不善也.) 「양생주」 『낭송장자』 100쪽     『사기열전』에 의하면 장자는 몽(蒙)땅 칠원(漆園)의 관리(吏)였다고 전해진다. 현재 몽 땅의 위치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지만, 칠원이 옻나무를 심어 놓은 동산이라는 것에서는 이견이 없다. 장자가 살았던 시기에는 종이와 먹이 발명되기 전이라 대부분 죽간에 써서 기록을 남겼다. 옻나무에서 채취한 옻액을 대나무로 만든 펜으로 찍어 죽간에 썼다고 한다. 그런데 옻나무는 아무데서나 흔히 자라는 수종이 아닌데다, 씨앗의 발아율도 낮고 잔뿌리가 완전히 자리를 잡는 데도 3여 년의 시간이 걸렸다. 이런 상황이니 옻액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라도 옻나무 동산을 관리해야 했을 것이다. 그럼에도 칠원의 관리는 중요한 직책은 아니어서 하급말단직이었을 것이라는 데도 이견은 없다.        「양생주」 3장에는 들꿩의 살이가 나온다. 꿩은 땅 위를 걷는 새로 몸이 길고 날씬하며, 발과 발가락이 발달되었으나 날개는 둥글고 짧아 멀리 날지 못한다. 먹이는 나무 열매나 풀씨 등의 식물성 먹이를 주로 섭취하는데, 작은 곤충도 먹는 잡식성이라고 한다. 먹이 대부분이 땅바닥에서 쪼아 먹을 수 있는 것들이다 보니, 사냥감으로 노출되기 쉬워 식용으로도 널리 애용된 조류이기도 하다. 옛 문헌에 의하면 늦봄 풀숲에 숨어서 피리로 장끼소리를 내면 꿩이 그 소리를 듣고 날아오르기도 하는데 그때...
1.칠원의 관리, 장자   들꿩은 열 걸음을 걸어야 모이 한 번 쪼고 백 걸음 걸어야 물 한 모금 얻을 수 있습니다. 그래도 새장에서 길러지기를 바라지 않습니다. 먹이를 찾는 수고로움이야 없겠지만 자유롭게 살려는 본성에는 맞지 않기 때문입니다. (澤雉十步一啄,百步一飮,不蘄畜乎樊中. 神雖王,不善也.) 「양생주」 『낭송장자』 100쪽     『사기열전』에 의하면 장자는 몽(蒙)땅 칠원(漆園)의 관리(吏)였다고 전해진다. 현재 몽 땅의 위치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지만, 칠원이 옻나무를 심어 놓은 동산이라는 것에서는 이견이 없다. 장자가 살았던 시기에는 종이와 먹이 발명되기 전이라 대부분 죽간에 써서 기록을 남겼다. 옻나무에서 채취한 옻액을 대나무로 만든 펜으로 찍어 죽간에 썼다고 한다. 그런데 옻나무는 아무데서나 흔히 자라는 수종이 아닌데다, 씨앗의 발아율도 낮고 잔뿌리가 완전히 자리를 잡는 데도 3여 년의 시간이 걸렸다. 이런 상황이니 옻액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라도 옻나무 동산을 관리해야 했을 것이다. 그럼에도 칠원의 관리는 중요한 직책은 아니어서 하급말단직이었을 것이라는 데도 이견은 없다.        「양생주」 3장에는 들꿩의 살이가 나온다. 꿩은 땅 위를 걷는 새로 몸이 길고 날씬하며, 발과 발가락이 발달되었으나 날개는 둥글고 짧아 멀리 날지 못한다. 먹이는 나무 열매나 풀씨 등의 식물성 먹이를 주로 섭취하는데, 작은 곤충도 먹는 잡식성이라고 한다. 먹이 대부분이 땅바닥에서 쪼아 먹을 수 있는 것들이다 보니, 사냥감으로 노출되기 쉬워 식용으로도 널리 애용된 조류이기도 하다. 옛 문헌에 의하면 늦봄 풀숲에 숨어서 피리로 장끼소리를 내면 꿩이 그 소리를 듣고 날아오르기도 하는데 그때...
기린
2023.10.25 | 조회 390
논어 카메오 열전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장문중(노나라 대부)이 큰 거북껍질을 보관하는 집에 기둥머리에는 산을 조각하고 동자기둥에는 마름풀을 그렸으니, 어찌 지혜롭다 하겠는가?”(子曰  臧文仲居蔡  山節藻梲  何如其知也) 『논어』「공야장,17」     『논어(論語)』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사람들은 공자와 그의 제자들이다. 더불어 당대 혹은 선대의 유명한 사람들도 많이 언급 되는데 생각보다 노(魯)나라 사람들이 잘 나오지 않는다. 공자 당대에 권력자였던 삼환(三桓)을 제외하고 우리가 알고 있는 노나라 사람들이 많지 않다는 것이다. 그렇게 보자면 『논어』에 두 번 언급되는 장문중은 노나라에서는 꽤 이름이 알려진 사람인 듯하다. 하지만 『춘추좌전(春秋左傳)』을 읽기 전까지 장문중이 노나라의 대부였다는 것 이외에 거의 아는 것도 없었고 그가 어떤 사람인지 관심도 없었다. 게다가 ‘거북껍질을 보관하는 집’에 장식을 하는 것이 왜 문제가 되는 것일까?   썩지 않는 세 가지, 삼불후(三不朽)   <불후의 명곡>이라는 프로그램이 있다. 여러 가수들이 다양한 장르의 명곡을 재해석하여 부르는 프로그램이다. 여기서 불후(不朽)는 ‘썩지 않는’이라는 뜻으로 ‘오래도록 사라지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 불후라는 말은 『춘추좌전』에서 유래했는데 노나라 양공(襄公) 24년, 숙손표가 진(晉)나라의 범선자와 나눈 대화에 등장한다. 범선자가 사람이 죽어도 썩지 않는 것이 무엇이냐고 묻자 숙손표가 덕을 세우는 것(立德)과 공을 세우는 것(立功), 말을 세우는 것(立言) 세 가지가 오래 되어도 폐해지지 않으니 불후라고 할 수 있다고 대답한다. 후대에는 이 세 가지를 ‘삼불후(三不朽)’라고 칭하였다. 이 때 숙손표는 불후의 예로 장문중을 들었다.   “우리 노나라 선대부 중에 장문중이라는 분이 있는데 그 분은 이미 돌아가셨지만 그가 남긴...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장문중(노나라 대부)이 큰 거북껍질을 보관하는 집에 기둥머리에는 산을 조각하고 동자기둥에는 마름풀을 그렸으니, 어찌 지혜롭다 하겠는가?”(子曰  臧文仲居蔡  山節藻梲  何如其知也) 『논어』「공야장,17」     『논어(論語)』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사람들은 공자와 그의 제자들이다. 더불어 당대 혹은 선대의 유명한 사람들도 많이 언급 되는데 생각보다 노(魯)나라 사람들이 잘 나오지 않는다. 공자 당대에 권력자였던 삼환(三桓)을 제외하고 우리가 알고 있는 노나라 사람들이 많지 않다는 것이다. 그렇게 보자면 『논어』에 두 번 언급되는 장문중은 노나라에서는 꽤 이름이 알려진 사람인 듯하다. 하지만 『춘추좌전(春秋左傳)』을 읽기 전까지 장문중이 노나라의 대부였다는 것 이외에 거의 아는 것도 없었고 그가 어떤 사람인지 관심도 없었다. 게다가 ‘거북껍질을 보관하는 집’에 장식을 하는 것이 왜 문제가 되는 것일까?   썩지 않는 세 가지, 삼불후(三不朽)   <불후의 명곡>이라는 프로그램이 있다. 여러 가수들이 다양한 장르의 명곡을 재해석하여 부르는 프로그램이다. 여기서 불후(不朽)는 ‘썩지 않는’이라는 뜻으로 ‘오래도록 사라지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 불후라는 말은 『춘추좌전』에서 유래했는데 노나라 양공(襄公) 24년, 숙손표가 진(晉)나라의 범선자와 나눈 대화에 등장한다. 범선자가 사람이 죽어도 썩지 않는 것이 무엇이냐고 묻자 숙손표가 덕을 세우는 것(立德)과 공을 세우는 것(立功), 말을 세우는 것(立言) 세 가지가 오래 되어도 폐해지지 않으니 불후라고 할 수 있다고 대답한다. 후대에는 이 세 가지를 ‘삼불후(三不朽)’라고 칭하였다. 이 때 숙손표는 불후의 예로 장문중을 들었다.   “우리 노나라 선대부 중에 장문중이라는 분이 있는데 그 분은 이미 돌아가셨지만 그가 남긴...
진달래
2023.10.01 | 조회 438
한문이예술
  거북의 그 ‘거대한 시간’에 대하여 동은       1. 거북이를 좋아하는 선생과 학생의 만남     나는 거북이를 좋아한다. 아마 나를 오랫동안 본 사람들은 이렇게 물어볼지도 모르겠다. “네가 싫어하는 동물이 있어?” 그 질문에 답하기는 힘들지만… 어쨌든 동물 중에서도 거북이를 좀 더 좋아한다. 무언가를 좋아할 때도 여러 유형이 있는데, 누군가는 거북이를 동물계 척삭동물문, 파충강의 거북목으로 세세하게 분류하면서 이해하고 싶어하거나 어떤 종류와 부위, 과거를 갖고 있는가를 줄줄 외우며 익히려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나의 경우에는 그냥 푹 빠져버리고 만다. 어느 날 정신 차리니 좋아하는걸 깨닫고 그 이후에 이유를 찾게 되는 식이다. 내가 깨달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거북이의 등껍질의 지문같은 주름들, 매끈하면서도 나른한 눈의 모양, 꾹 다문 입의 곡선, 다양한 형태의 발톱과 느릿한 걸음걸이, 혹은 하늘을 나는 듯 바다를 헤엄치는 몸짓같은 것들… 더더더 많지만 지면상 생략하도록 하겠다. 잠깐! 그렇다고 해서 내가 거북이 미쳐있다거나 거북이를 위해 살고 싶은 건 아니니까 그냥 좋아한다고만 생각해달라. (한때 평생 남미의 거북이 봉사자로 사는 걸 꿈꾸기도했지만…….)     혹시 첫 글에서 비 우雨로 시작했던 첫 수업에 대해서 기억하는가? 굉장히 있어보이는 말들로 글을 마무리했지만 첫 수업때의 나는 극도의 긴장상태였다.(링크) 나는 긴장하면 오류난 기계처럼 굳어버리고 마는데, 열심히 준비한 수업을 망칠지도 모른다는 걱정에 갈수록 긴장은 배가 됐다. 그렇게 시작된 수업, 첫 시간이니 인사와 함께 서로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소개 시간에는 아이들에게...
  거북의 그 ‘거대한 시간’에 대하여 동은       1. 거북이를 좋아하는 선생과 학생의 만남     나는 거북이를 좋아한다. 아마 나를 오랫동안 본 사람들은 이렇게 물어볼지도 모르겠다. “네가 싫어하는 동물이 있어?” 그 질문에 답하기는 힘들지만… 어쨌든 동물 중에서도 거북이를 좀 더 좋아한다. 무언가를 좋아할 때도 여러 유형이 있는데, 누군가는 거북이를 동물계 척삭동물문, 파충강의 거북목으로 세세하게 분류하면서 이해하고 싶어하거나 어떤 종류와 부위, 과거를 갖고 있는가를 줄줄 외우며 익히려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나의 경우에는 그냥 푹 빠져버리고 만다. 어느 날 정신 차리니 좋아하는걸 깨닫고 그 이후에 이유를 찾게 되는 식이다. 내가 깨달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거북이의 등껍질의 지문같은 주름들, 매끈하면서도 나른한 눈의 모양, 꾹 다문 입의 곡선, 다양한 형태의 발톱과 느릿한 걸음걸이, 혹은 하늘을 나는 듯 바다를 헤엄치는 몸짓같은 것들… 더더더 많지만 지면상 생략하도록 하겠다. 잠깐! 그렇다고 해서 내가 거북이 미쳐있다거나 거북이를 위해 살고 싶은 건 아니니까 그냥 좋아한다고만 생각해달라. (한때 평생 남미의 거북이 봉사자로 사는 걸 꿈꾸기도했지만…….)     혹시 첫 글에서 비 우雨로 시작했던 첫 수업에 대해서 기억하는가? 굉장히 있어보이는 말들로 글을 마무리했지만 첫 수업때의 나는 극도의 긴장상태였다.(링크) 나는 긴장하면 오류난 기계처럼 굳어버리고 마는데, 열심히 준비한 수업을 망칠지도 모른다는 걱정에 갈수록 긴장은 배가 됐다. 그렇게 시작된 수업, 첫 시간이니 인사와 함께 서로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소개 시간에는 아이들에게...
동은
2023.09.21 | 조회 545
요요와 불교산책
  수행은 고행이 아니다   아, 우리는 아주 안락하게 산다. 원한 품은 자들 속에 원한 없이, 원한을 품은 사람들 사이에서 우리는 원한을 여읜 자로 살아간다. 아, 우리는 아주 안락하게 산다. 우리의 것이라고는 결코 없어도, 광음천 세계의 천신들처럼, 기쁨을 음식으로 삼아 지내리라.(『법구경』 197, 200)     고행을 멈추다   보리수 아래에서 위대한 깨달음을 얻기 전 붓다는 어떻게 수행했을까? 붓다의 수행에 대한 가장 큰 오해 중 하나가 엄청난 고통스런 수행의 결과 깨달음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먹지도 않고 잠을 자지도 않고 피가 마르고 살이 마르는 고행을 해야지만 깨달음에 이를 수 있다면, 우리 같은 평범한 중생에게 깨달음이란 언감생심 꿈도 꿀 수 없는 일이 된다. 그러나 이미 말했듯이 이것은 오해다.   간다라 미술품 중에 유명한 고행상이 있다. 피골이 상접하여 갈비뼈가 그대로 드러난 붓다상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 고행상을 사랑하고, 인간의 한계 끝까지 정진한 붓다에게 경의를 표한다. 깨닫기 전의 붓다가 한 고행은 그야말로 상상 초월의 것이었다. 하루에 곡식 한 톨로 연명하는 곡기를 끊는 수행의 결과 문제의 고행상처럼 등뼈과 창자가 들러붙었다. 영양실조 상태에서 손으로 문지르기만 해도 사지의 털이 몸에서 떨어져 나갔다. 몇 개월이고 잠을 자지 않아 피부와 눈은 그 빛을 잃었고 대소변을 보려고 하면 머리가 앞으로 꼬꾸라졌다. 오랫동안 호흡을 멈추는 수행을 하다 보니 힘센 사람이 머리를 가죽끈으로 조이는 듯한 극심한 두통과 이명에 시달렸다.   일반적으로 붓다의 생애의 주요 장면을...
  수행은 고행이 아니다   아, 우리는 아주 안락하게 산다. 원한 품은 자들 속에 원한 없이, 원한을 품은 사람들 사이에서 우리는 원한을 여읜 자로 살아간다. 아, 우리는 아주 안락하게 산다. 우리의 것이라고는 결코 없어도, 광음천 세계의 천신들처럼, 기쁨을 음식으로 삼아 지내리라.(『법구경』 197, 200)     고행을 멈추다   보리수 아래에서 위대한 깨달음을 얻기 전 붓다는 어떻게 수행했을까? 붓다의 수행에 대한 가장 큰 오해 중 하나가 엄청난 고통스런 수행의 결과 깨달음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먹지도 않고 잠을 자지도 않고 피가 마르고 살이 마르는 고행을 해야지만 깨달음에 이를 수 있다면, 우리 같은 평범한 중생에게 깨달음이란 언감생심 꿈도 꿀 수 없는 일이 된다. 그러나 이미 말했듯이 이것은 오해다.   간다라 미술품 중에 유명한 고행상이 있다. 피골이 상접하여 갈비뼈가 그대로 드러난 붓다상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 고행상을 사랑하고, 인간의 한계 끝까지 정진한 붓다에게 경의를 표한다. 깨닫기 전의 붓다가 한 고행은 그야말로 상상 초월의 것이었다. 하루에 곡식 한 톨로 연명하는 곡기를 끊는 수행의 결과 문제의 고행상처럼 등뼈과 창자가 들러붙었다. 영양실조 상태에서 손으로 문지르기만 해도 사지의 털이 몸에서 떨어져 나갔다. 몇 개월이고 잠을 자지 않아 피부와 눈은 그 빛을 잃었고 대소변을 보려고 하면 머리가 앞으로 꼬꾸라졌다. 오랫동안 호흡을 멈추는 수행을 하다 보니 힘센 사람이 머리를 가죽끈으로 조이는 듯한 극심한 두통과 이명에 시달렸다.   일반적으로 붓다의 생애의 주요 장면을...
요요
2023.09.20 | 조회 452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