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날의 주역이야기 3회] 엣지있게 잘 쓰는 이야기, 화천대유

봄날
2021-12-13 09:13
499

대장동 부동산개발비리사건으로 주역이 “떴다”. 의혹의 핵심에 있는 화천대유(火天大有)라는 자산관리회사의 이름 때문이다. 주역을 전혀 모르는 사람도 이제는 화천대유가 주역의 괘이름 중 하나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화천대유는 수도권에 유일하게 남았다는 대장동 금싸라기땅을 개발하는 거대 기업컨소시엄에 참여했다. 그리고 수백억원의 막대한 배당이익을 챙겼다. 그렇게 큰 돈을 벌 수 있었던 것이 회사 이름값이라는 우스갯소리도 나오는 것은, 화천대유괘가 주역 64괘 중에서도 아주 좋은 괘라고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허물이 없다, 길하다, 이롭지 않음이 없다

주역 64괘 중 14번째인 화천대유(火天大有)는 주역 속에서도 대표적인 ‘부자 이야기’를 담고 있다. 불(火)을 상징하는 이괘(離卦☲)가 위에 있고, 아래에는 하늘(天)을 의미하는 건괘(乾卦☰)가 놓여있다. 하늘 위에 불이 놓여있는 형상(䷍), 하늘 위에 있는 불은 태양을 가리킨다. 태양은 만물을 자라게 하는 에너지원으로서, 자연의 온갖 생산물들이 결실을 맺게 한다. 이른 바 ‘등따시고 배부른 때’가 바로 화천대유의 시기이다. 그래서 대유(大有)라는 괘이름이 붙었다. ‘크게 있음’ 혹은 ‘크게 소유함’ 정도로 해석되는 화천대유괘는, 그래서 괘사도 토를 달지 않고 ‘크고 형통하다(元亨)’라고 한다. 그리고 대부분의 효사들도 ‘허물이 없다’거나 ‘길하다’거나 ‘이롭지 않음이 없다’로 끝난다. 큰 경계의 목소리도 없고 헤쳐나가야 할 어려운 미션도 없다. 태평성대(太平聖代)가 이런 것 아닐까.

 

초구는 해를 끼치지 않으니 신중하면 허물이 없다.

구이는 큰 수레로 실으니, 싣고 나아가는 바가 있어서 허물이 없다.

구삼은 공(公)이 천자에 제사지내듯 하니, 소인은 할 수 없는 일이다.

구사는 지나치게 성대함을 쫒지 않으면 허물이 없다.

육오는 진실한 믿음으로 모든 사람들과 더불어 사귀니, 위엄이 있으면 길하다.

상구는 하늘로부터 도우니, 이롭지 않은 일이 없다.

 

사람들은 흔히 강력한 군주의 힘과 권능의 우산 아래 태평성대가 이루어진다고 생각한다. 주역에서는 양(陽)은 굳셈, 강한 성질을, 음(陰)은 부드러운 성질을 가진 것으로 푼다. 일반적으로 군주의 자리를 가리키는 육효는 양, 그러니까 강한 능력을 발휘하는 구오가 바른 자리로 정해져 있다. 그런데 화천대유의 세상을 이루는 군주의 재질은 의외로 음, 즉 부드러움이다. 단 하나의 음효인 육오가 나머지 다섯 효를 거느리고 ‘부드러운 위엄’으로 세상을 다스린다. 화천대유의 시기에는 자신을 낮추고 수렴하며 ‘믿음의 관계망’을 구축하는 음의 군주여야 하늘이 내려주는 부를 인간세상에 쌓을 수 있다.

 

하늘은 주고, 인간은 쓴다

대유괘의 풍요로운 세상에는 재화만 넘쳐나는 것이 아니다. 대유괘의 바로 앞에 있는 괘는 천화동인(天火同人)이다. 천화동인은 말 그대로 같은 뜻을 가진 사람들이 들판에 가득 모여있다는 뜻이다. 그러니까 화천대유의 풍요로움은 하늘의 에너지와, 뜻을 모아 함께 모인 사람들이 만들어낸 합작품 정도가 되겠다. 이렇게 보면 화천대유의 세상은 물질뿐만이 아니라 사람들도 넘치고, 사람들 간의 관계도 넘쳐흐르는 세상이다.

 

그런데 이렇게 재화가 넘치고 사람들이 넘치고 관계가 넘치는 것이 마냥 좋기만 한 것일까. 대유의 대(大)는 단순히 ‘크다’는 의미를 넘어선다. 감당할 수 없을 만큼의 크기, 계산불가능한, 혹은 예상을 뛰어넘는 규모나 성질의 것을 가리킨다. 화천대유의 때에 쌓이는 재화는 기본적으로 자연이 대지에 주는 선물처럼 차고 넘치는 것, 즉 일종의 ‘과잉’의 성질을 띤다. 문제는 여기에서 발생한다. 하늘이 내리는 혜택은 인간들이 쓸만큼 맞춤으로 내리는 것이 아니다. 태양은 무심하게 땅으로 비추어 만물이 생장하고 열매맺게 할 뿐, 그 본질에는 선악의 구분이 없다. 그것이 선이 되고 악이 되는 것은 그것을 다루는 사람들에 달려있다. 과잉의 부를 사람들이 어떻게 처분하는가. 결국 화천대유는 부를 생산하는 것에 관한 것이 아니라, 차고 넘치는 부를 어떻게 쓸 것인가에 관한 이야기이다.

 

대유의 부는 공적인 것이다

그러면 부를 어떻게 쓰라는 것인가?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대유괘의 풍요로움은 많은 사람들이 뜻을 모았을 때 내린 하늘의 응답이라고 했다. 그렇다면 산처럼 쌓인 부(富)는 한 두 사람의 공으로 치부할 수 없다. 즉 화천대유의 부는 사적으로 전용할 수 없다는 뜻이다. 사적으로 전용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넘치는 재화와 관계들은 사적인 욕망을 불러일으킨다. 부의 일부가 빠져나가 은닉되고 몇몇 사람의 소유로 축적된다. 주자는 “소유한 것이 이미 큰데 다스림이 없으면 재앙이 그 가운데서 싹트기 마련”이라고 경고한다. 주자가 다스리라는 것은 바로 이렇게 공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부의 분배가 사적으로 전용되는 것을 경계하라는 말이다.

 

우리는 개인의 역량껏 자신의 부를 축적하고 늘리는 것이 당연한 시대에 살고 있다. 그러나 그 ‘당연한 생각’은 근대의 산물이다. 우리가 읽은 인류학 텍스트는 이것이 당연한 생각이 아니었던 시대에 대해 말한다. 고대사회의 사람들은 이 잉여의 부가 그 사회 전체를 흔드는 큰 위협이 되는 것을 간파하고, 그것을 파괴함으로써 사회를 유지하는 방식을 고민했다. 그것이 포틀래치, 극단적인 ‘소비경쟁’으로 나타났다. 포틀래치는 북미 인디언 사회에서 큰 일이 있을 때 이웃 부족을 초대해 벌이는 축제로, 자신들이 가진 것들을 마당 한가득 쌓아놓고 모두에게 아낌없이 나누어주거나 태워버린다. 파괴적인 소비경쟁은 또 명예경쟁이기도 해서, 파산에 이를 정도로 과하게 나눠준 부족의 추장은 그 대신 ‘명예’를 얻는다. 조르주 바타이유는 이 ‘저주의 몫(부의 잉여)’은 인류 역사에서 항상 등장했으며, 이것이 고대에는 공적인 파괴의식으로, 근대에는 가혹한 전쟁 등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그리고 자본주의 시대에 이르러 이것이 파괴되지 않고 사유화되고 축적됨(고임)으로써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고 한다.

 

주역의 시선도 이와 다르지 않다. 상전에 ‘군자는 악을 막고 선을 드날려 하늘의 아름다운 명을 따른다(君子以, 遏惡揚善, 順天休命)’는 말이 나온다. 무엇이 선이고 무엇이 악인가. 이미 태생이 ‘공적인 풍요로움’인 대유를, 사적으로 울타리치는 것이 악이다. 개인의 몫으로 빠져나간 부는 함께 살아가는 세상에서 흐르지(순환되지) 않는다. 물이 고이면 썩듯이 개인의 호주머니로 들어간 부는 재앙을 부른다는 것이 상전의 경고 메시지이다. 그렇다면 선은 잉여의 부가 보다 많은 사람, 보다 많은 관계로 넓혀져서 다시 풍요로움으로 순환되는 것을 말한다. 상전이 말한 ‘선을 드날리는 군자’는 풍요로움을 순환시키는 주체이다.

 

소인은 할 수 없다, 소인불극(小人不克)

그렇다면 대유괘에서 군자는 누구일까. 이쯤에서 나는 구삼의 효사가 눈에 띄었다. 주역의 독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 하나인 계사전에 따라 여섯 효를 두 개씩 세 쌍으로 묶어서 천(天)-지(地)-인(人)의 개념을 대입할 수 있다. 즉 상효와 오효를 하늘(天)에, 초효와 이효를 땅(地)에, 삼효와 사효를 사람(人)에 배속시켜서 보는 것이다. 대유괘의 육오와 상구가 천하의 부를 내려받는 것은 하늘의 일을 수렴하는 것이니 자연스럽고 그럴 능력을 이미 갖추고 있으면 문제가 없다. 초구와 구이도 역시 위에서 이루어지는 일을 그대로 따르면 허물이 없다.

 

변수는 사람의 역할에 배속된 구삼과 구사이다. 나는 구삼의 ‘공용향우천자 소인불극(公用亨于天子 小人弗克)’이라는 효사를, 부가 독점되지 않고, 공적으로 분배되도록 애쓰는 군자의 태도로 읽는다. ‘공용향우천자(公用亨于天子)’는 제후가 천자에게 제사를 바친다는 뜻으로 해석하거나, 자신이 천자인 듯이 하늘에 정성들여 제사를 지낸다고도 풀 수 있다. 어떻게 풀이하든, 부를 사회 전체를 유익하게 하는 방향으로 쓰려 한다는 것이다. 부유함을 독점하는 것이 아니라 공공의 것으로 사용하는 것. 효사의 뒷부분인 ‘소인불극’은 이같은 사회적 나눔은 소인으로서는 할 수 없는 일이라는 뜻이다. 그러니까 상전에서 말한 ‘악을 막고 선을 드날리는 군자’ 정도가 되어야 할 수 있는 일이 ‘부의 공적인 분배’이다.

 

가능한 한 많은 사람들과 나눔으로써 사회적 부가 더욱 풍성해지는 것. 그 일을 할 수 있는 것은 군자뿐이다. 자산관리회사인 화천대유와 관련인물들은, 단적으로 말해 과잉의 부를 사적으로 전용했다. 그러한 행태가 수면 위로 떠오른 것은, 전용한 이익금의 분배에 불만을 품은 내부고발로 비롯됐다고 한다. 사적인 욕심은 브레이크 없이 질주해 서로를 손가락질하고 서로를 엮고, 결국 나란히 폴리스 라인에 서게 만들었다. 요컨대 그들은 화천대유의 때를 알았을지언정, 그 쓰는 법은 고민하지 않았으니 군자라 할 수 없다.

 

작은 부라도 엣지있게 쓰면 군자다

얼마 전, 나는 문탁에서 함께 공부하는 친구들 사이에 통용되는 대안화폐인 ‘복’을 가지고 행해진 작은 이벤트에 참여했다. 친구들이 낸 물건을 복으로 경매하는 행사였다. 예상외로 많은 물건들이 등장하고 친구들의 참여가 뜨거웠다. 복경매는 성황을 이루었고 물건을 낸 사람이나 물건을 산 사람들 모두 그 자리가 즐거웠다. 오가는 복과 함께 즐거움이 오갔고, 경매에 사용된 복의 규모 이상으로 풍요로운 관계가 재생산되었다. 물건은 무조건 높은 복을 부른 사람에게 낙찰되지 않았고,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골고루 분배되었다. 나는 대유괘가 말하는 풍요로움을 재생산하는 모습이 이와 닮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복경매를 즐기는 우리의 모습은 다름 아닌 군자를 지향하는 그것이었다고 말하고 싶다. 군자가 따로 있지 않다. 아무리 작은 물질이라도, 그것을 우리의 관계를 강화하고 풍성하게 하는 방식으로 고민해서 멋지게, 엣지있게 쓰면, 그 순간 나는 군자가 된다.^^//

댓글 5
  • 2021-12-13 17:26

     '지나치게 성대함을 쫓지 않으면 허물이 없다'는 구사의 효도 좋네요.

    잘 읽었습니다~ 

  • 2021-12-14 09:41

    50억클럽으로 지들끼리 나누는 부가 소인들의 잔치였네요^^

  • 2021-12-14 22:13

    주역 일타강사 봄날샘이 친절히 알려주는 군자 되는 쉬운(?) 방법!!!

     

  • 2021-12-15 13:59

    👍👍👍

  • 2021-12-19 12:38

    와~ 엣지있게 잘 쓰셨네요!

    화천대유를 다시 볼수있어서 참 좋습니다.

    자리에 배속하여 푸는 계사전의 방식도 차후 세미나를 해보고싶게 만드는군요^^

    게다가...우리도 군자가 될수있다니...듣기 좋아요^^

봄날의 주역이야기
  인생은 참아야 할 일투성이 사람들은 새해가 되면 뭔가를 새롭게 시작하거나 변화하려고 한다. 새해 첫 일출을 보러 산으로, 바다로 가기도 하고, 새로 산 일기장에 정성들여 첫 줄을 쓴다. 작심삼일이 될 것이 뻔한 계획을 또 잡는다. 그런 새해의 다짐을 지키는 데는 크든 작든 개인의 노력이 필요하다. 술이나 담배를 끊는다던가, 매일 운동을 한다던가, 하루에 몇 시간씩 공부를 한다던가 하는 일들이 그렇다. 그리고 그 실행에는 또 크든 작든 ‘절제’가 요구된다. 술이나 담배를 끊는 것은 잘 알려진 대로 금단증상처럼 견디기 힘든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참아내야 한다. 운동이나 공부도 그것을 방해하는 것들을 억누르거나 견뎌내야 한다. 운동을 하려면 이불 속으로 기어들어가고 싶어하는 내 몸을 다스려야 하고, 공부도 가령 졸음을 이겨내야 한다.   그러고 보면 인생은 참고, 견디고, 억눌러야 하는 일투성이다. 그러니 우리는 일상에서 늘 절제심을 시험받는다. 주역에도 이런 ‘절제’에 관한 괘가 있다. 60번째 수택절(水澤節)괘는 괘 자체가 60이라는 한 주기를 매듭짓는 자리에 위치해 있기도 하고, 인간사에서 중요한 절제를 다루는 괘이기도 하다. 절(節)은 수목의 마디, 뼈의 마디, 음절의 곡조, 사물의 한 단락, 규칙, 절제 등을 가리키는 말이다. 절(節)이라는 글자에 대나무 죽(竹)자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 의미가 있다. 대나무가 마디 하나를 키우고 또 다른 마디 키우기를 시작하는 것처럼, 인간을 비롯한 자연 속의 생명들은 그런 방식으로 삶을 펼친다. 이때 필요한 것이 절제이다. 마디를 매듭짓고 마디를 새로 시작할 때 저마다의 방식으로 다가오는...
  인생은 참아야 할 일투성이 사람들은 새해가 되면 뭔가를 새롭게 시작하거나 변화하려고 한다. 새해 첫 일출을 보러 산으로, 바다로 가기도 하고, 새로 산 일기장에 정성들여 첫 줄을 쓴다. 작심삼일이 될 것이 뻔한 계획을 또 잡는다. 그런 새해의 다짐을 지키는 데는 크든 작든 개인의 노력이 필요하다. 술이나 담배를 끊는다던가, 매일 운동을 한다던가, 하루에 몇 시간씩 공부를 한다던가 하는 일들이 그렇다. 그리고 그 실행에는 또 크든 작든 ‘절제’가 요구된다. 술이나 담배를 끊는 것은 잘 알려진 대로 금단증상처럼 견디기 힘든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참아내야 한다. 운동이나 공부도 그것을 방해하는 것들을 억누르거나 견뎌내야 한다. 운동을 하려면 이불 속으로 기어들어가고 싶어하는 내 몸을 다스려야 하고, 공부도 가령 졸음을 이겨내야 한다.   그러고 보면 인생은 참고, 견디고, 억눌러야 하는 일투성이다. 그러니 우리는 일상에서 늘 절제심을 시험받는다. 주역에도 이런 ‘절제’에 관한 괘가 있다. 60번째 수택절(水澤節)괘는 괘 자체가 60이라는 한 주기를 매듭짓는 자리에 위치해 있기도 하고, 인간사에서 중요한 절제를 다루는 괘이기도 하다. 절(節)은 수목의 마디, 뼈의 마디, 음절의 곡조, 사물의 한 단락, 규칙, 절제 등을 가리키는 말이다. 절(節)이라는 글자에 대나무 죽(竹)자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 의미가 있다. 대나무가 마디 하나를 키우고 또 다른 마디 키우기를 시작하는 것처럼, 인간을 비롯한 자연 속의 생명들은 그런 방식으로 삶을 펼친다. 이때 필요한 것이 절제이다. 마디를 매듭짓고 마디를 새로 시작할 때 저마다의 방식으로 다가오는...
봄날
2022.01.26 | 조회 663
봄날의 주역이야기
대장동 부동산개발비리사건으로 주역이 “떴다”. 의혹의 핵심에 있는 화천대유(火天大有)라는 자산관리회사의 이름 때문이다. 주역을 전혀 모르는 사람도 이제는 화천대유가 주역의 괘이름 중 하나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화천대유는 수도권에 유일하게 남았다는 대장동 금싸라기땅을 개발하는 거대 기업컨소시엄에 참여했다. 그리고 수백억원의 막대한 배당이익을 챙겼다. 그렇게 큰 돈을 벌 수 있었던 것이 회사 이름값이라는 우스갯소리도 나오는 것은, 화천대유괘가 주역 64괘 중에서도 아주 좋은 괘라고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허물이 없다, 길하다, 이롭지 않음이 없다 주역 64괘 중 14번째인 화천대유(火天大有)는 주역 속에서도 대표적인 ‘부자 이야기’를 담고 있다. 불(火)을 상징하는 이괘(離卦☲)가 위에 있고, 아래에는 하늘(天)을 의미하는 건괘(乾卦☰)가 놓여있다. 하늘 위에 불이 놓여있는 형상(䷍), 하늘 위에 있는 불은 태양을 가리킨다. 태양은 만물을 자라게 하는 에너지원으로서, 자연의 온갖 생산물들이 결실을 맺게 한다. 이른 바 ‘등따시고 배부른 때’가 바로 화천대유의 시기이다. 그래서 대유(大有)라는 괘이름이 붙었다. ‘크게 있음’ 혹은 ‘크게 소유함’ 정도로 해석되는 화천대유괘는, 그래서 괘사도 토를 달지 않고 ‘크고 형통하다(元亨)’라고 한다. 그리고 대부분의 효사들도 ‘허물이 없다’거나 ‘길하다’거나 ‘이롭지 않음이 없다’로 끝난다. 큰 경계의 목소리도 없고 헤쳐나가야 할 어려운 미션도 없다. 태평성대(太平聖代)가 이런 것 아닐까.   초구는 해를 끼치지 않으니 신중하면 허물이 없다. 구이는 큰 수레로 실으니, 싣고 나아가는 바가 있어서 허물이 없다. 구삼은 공(公)이 천자에 제사지내듯 하니, 소인은 할 수 없는 일이다. 구사는 지나치게 성대함을 쫒지 않으면 허물이 없다. 육오는 진실한...
대장동 부동산개발비리사건으로 주역이 “떴다”. 의혹의 핵심에 있는 화천대유(火天大有)라는 자산관리회사의 이름 때문이다. 주역을 전혀 모르는 사람도 이제는 화천대유가 주역의 괘이름 중 하나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화천대유는 수도권에 유일하게 남았다는 대장동 금싸라기땅을 개발하는 거대 기업컨소시엄에 참여했다. 그리고 수백억원의 막대한 배당이익을 챙겼다. 그렇게 큰 돈을 벌 수 있었던 것이 회사 이름값이라는 우스갯소리도 나오는 것은, 화천대유괘가 주역 64괘 중에서도 아주 좋은 괘라고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허물이 없다, 길하다, 이롭지 않음이 없다 주역 64괘 중 14번째인 화천대유(火天大有)는 주역 속에서도 대표적인 ‘부자 이야기’를 담고 있다. 불(火)을 상징하는 이괘(離卦☲)가 위에 있고, 아래에는 하늘(天)을 의미하는 건괘(乾卦☰)가 놓여있다. 하늘 위에 불이 놓여있는 형상(䷍), 하늘 위에 있는 불은 태양을 가리킨다. 태양은 만물을 자라게 하는 에너지원으로서, 자연의 온갖 생산물들이 결실을 맺게 한다. 이른 바 ‘등따시고 배부른 때’가 바로 화천대유의 시기이다. 그래서 대유(大有)라는 괘이름이 붙었다. ‘크게 있음’ 혹은 ‘크게 소유함’ 정도로 해석되는 화천대유괘는, 그래서 괘사도 토를 달지 않고 ‘크고 형통하다(元亨)’라고 한다. 그리고 대부분의 효사들도 ‘허물이 없다’거나 ‘길하다’거나 ‘이롭지 않음이 없다’로 끝난다. 큰 경계의 목소리도 없고 헤쳐나가야 할 어려운 미션도 없다. 태평성대(太平聖代)가 이런 것 아닐까.   초구는 해를 끼치지 않으니 신중하면 허물이 없다. 구이는 큰 수레로 실으니, 싣고 나아가는 바가 있어서 허물이 없다. 구삼은 공(公)이 천자에 제사지내듯 하니, 소인은 할 수 없는 일이다. 구사는 지나치게 성대함을 쫒지 않으면 허물이 없다. 육오는 진실한...
봄날
2021.12.13 | 조회 499
봄날의 주역이야기
** 주역공부 4년차. 여전히 해석도 어렵고 뜻을 알아내는 것도 어렵다. 하지만 읽을 때마다 나와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실천을 추동하는 주역은 매력적인 텍스트가 아닐 수 없다. 그 감동을 함께 나누려 용기내어 글을 쓴다. 봄날이 픽(pick)한 주역의 말들!   頤, 貞吉 觀頤 自求口實(이 정길 관이 자구구실) 이(頤)는 곧게 하면 길하니, 길러주며 스스로 음식[口實]을 구하는 것을 살펴보아야 한다 初九 舍爾靈龜 觀我朶頤 凶(초구 사이영귀 관아타이 흉) 초구는 너의 신령스러운 거북을 버리고 나를 보고서 턱을 늘어뜨리니, 흉하다 六二 顚頤 拂經 于丘頤 征 凶(육이 전이 불경 우구이 정 흉) 육이는 거꾸로 길러주기를 구하니 바른 도리에 위배되고, 언덕에서 길러주기를 구하여 가면 흉하리라 六三 拂頤貞 凶 十年勿用 无攸利(육삼 불이정 흉 십년물용 무유리) 육삼은 기르는 곧은 도에 위배되기 때문에 흉하여 십년이 되어도 쓰지 못하니, 이로운 바가 없다 六四 顚頤 吉 虎視耽耽 其欲逐逐 无咎(육사 전이 길 호시탐탐 기욕축축 무구) 육사는 거꾸로 길러주기를 구하나 길하니, 호시탐탐하여 하고자함을 좇고 좇으면 허물이 없으리라 六五 拂經 居貞 吉 不可涉大川(육오  불경 거정 길 불가섭대천) 육오는 바른 도리에 위배되나 곧음에 거하면 길하지만, 큰 내를 건너서는 안 된다 上九 由頤 厲 吉 利涉大川(상구 유이 려 길 이섭대천) 상구는 자신으로 말미암아 길러지므로 위태롭게 여기면 길하니, 큰 내를 건너는 것이 이롭다   호랑이의 눈으로 엑스텐을 쏘다 무관중이라는 전대미문의 도쿄 올림픽이 끝났다. 운동경기 외의 모든 접촉은 금지되었고, 관중의 뜨거운...
** 주역공부 4년차. 여전히 해석도 어렵고 뜻을 알아내는 것도 어렵다. 하지만 읽을 때마다 나와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실천을 추동하는 주역은 매력적인 텍스트가 아닐 수 없다. 그 감동을 함께 나누려 용기내어 글을 쓴다. 봄날이 픽(pick)한 주역의 말들!   頤, 貞吉 觀頤 自求口實(이 정길 관이 자구구실) 이(頤)는 곧게 하면 길하니, 길러주며 스스로 음식[口實]을 구하는 것을 살펴보아야 한다 初九 舍爾靈龜 觀我朶頤 凶(초구 사이영귀 관아타이 흉) 초구는 너의 신령스러운 거북을 버리고 나를 보고서 턱을 늘어뜨리니, 흉하다 六二 顚頤 拂經 于丘頤 征 凶(육이 전이 불경 우구이 정 흉) 육이는 거꾸로 길러주기를 구하니 바른 도리에 위배되고, 언덕에서 길러주기를 구하여 가면 흉하리라 六三 拂頤貞 凶 十年勿用 无攸利(육삼 불이정 흉 십년물용 무유리) 육삼은 기르는 곧은 도에 위배되기 때문에 흉하여 십년이 되어도 쓰지 못하니, 이로운 바가 없다 六四 顚頤 吉 虎視耽耽 其欲逐逐 无咎(육사 전이 길 호시탐탐 기욕축축 무구) 육사는 거꾸로 길러주기를 구하나 길하니, 호시탐탐하여 하고자함을 좇고 좇으면 허물이 없으리라 六五 拂經 居貞 吉 不可涉大川(육오  불경 거정 길 불가섭대천) 육오는 바른 도리에 위배되나 곧음에 거하면 길하지만, 큰 내를 건너서는 안 된다 上九 由頤 厲 吉 利涉大川(상구 유이 려 길 이섭대천) 상구는 자신으로 말미암아 길러지므로 위태롭게 여기면 길하니, 큰 내를 건너는 것이 이롭다   호랑이의 눈으로 엑스텐을 쏘다 무관중이라는 전대미문의 도쿄 올림픽이 끝났다. 운동경기 외의 모든 접촉은 금지되었고, 관중의 뜨거운...
봄날
2021.09.27 | 조회 685
봄날의 주역이야기
** 주역공부 4년차. 여전히 해석도 어렵고 뜻을 알아내는 것도 어렵다. 하지만 읽을 때마다 나와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실천을 추동하는 주역은 매력적인 텍스트가 아닐 수 없다. 그 감동을 함께 나누려 용기내어 글을 쓴다. 봄날이 픽(pick)한 주역의 말들!   需, 有孚, 光亨, 貞吉, 利涉大川 수(需)가 믿음이 있으면 밝게 형통하고 곧으면 길하여, 큰 내를 건넘이 이롭다.   初九, 需于郊, 利用恒, 无咎 초구는 교외에서 기다린다. 일정함이 이로우니 허물이 없을 것이다. 九二, 需于沙, 小有言, 終吉 구이는 모래사장에서 기다림이다. 약간 말이 있으나, 마침내 길할 것이다. 九三, 需于泥, 致寇至 구삼은 진흙에서 기다리니, 도적이 옴을 초래할 것이다. 六四, 需于血, 出自穴 육사는 피에서 기다리나 구덩이로부터 나올 것이다. 九五, 需于酒食, 貞吉 구오는 술과 음식으로 기다리니 바르면 길할 것이다. 上六, 入于穴, 有不速之客三人來, 敬之, 終吉 상육은 구덩이에 들어가는데, 불청객 세 사람이 오니, 공경하면 마침내 길할 것이다.   기다리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나는 탁구를 좋아한다. 운동삼아 시작한 것이 십 년이 넘었으니 구력(球歷)으로 치자면 고전 공부보다도 오래된 셈이다. 하지만 그렇게 오랜 시간을 들인 것에 비해, 나의 탁구 실력은 지지부진하다. 나의 탁구가 신통찮은 가장 큰 원인은, 무게 2.7g, 지름 4cm에 불과한 그 작은 공을 확실하게 제압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가볍고 작은 공은 나의 기다림의 한계를 시험한다. 그리고 나는 기다리지 못하고 그 가볍고 작은 공에 늘 진다. 굳이 위로삼아 말하자면, 이것이 나만의 문제는 아니다. 같은 운동을 하는...
** 주역공부 4년차. 여전히 해석도 어렵고 뜻을 알아내는 것도 어렵다. 하지만 읽을 때마다 나와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실천을 추동하는 주역은 매력적인 텍스트가 아닐 수 없다. 그 감동을 함께 나누려 용기내어 글을 쓴다. 봄날이 픽(pick)한 주역의 말들!   需, 有孚, 光亨, 貞吉, 利涉大川 수(需)가 믿음이 있으면 밝게 형통하고 곧으면 길하여, 큰 내를 건넘이 이롭다.   初九, 需于郊, 利用恒, 无咎 초구는 교외에서 기다린다. 일정함이 이로우니 허물이 없을 것이다. 九二, 需于沙, 小有言, 終吉 구이는 모래사장에서 기다림이다. 약간 말이 있으나, 마침내 길할 것이다. 九三, 需于泥, 致寇至 구삼은 진흙에서 기다리니, 도적이 옴을 초래할 것이다. 六四, 需于血, 出自穴 육사는 피에서 기다리나 구덩이로부터 나올 것이다. 九五, 需于酒食, 貞吉 구오는 술과 음식으로 기다리니 바르면 길할 것이다. 上六, 入于穴, 有不速之客三人來, 敬之, 終吉 상육은 구덩이에 들어가는데, 불청객 세 사람이 오니, 공경하면 마침내 길할 것이다.   기다리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나는 탁구를 좋아한다. 운동삼아 시작한 것이 십 년이 넘었으니 구력(球歷)으로 치자면 고전 공부보다도 오래된 셈이다. 하지만 그렇게 오랜 시간을 들인 것에 비해, 나의 탁구 실력은 지지부진하다. 나의 탁구가 신통찮은 가장 큰 원인은, 무게 2.7g, 지름 4cm에 불과한 그 작은 공을 확실하게 제압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가볍고 작은 공은 나의 기다림의 한계를 시험한다. 그리고 나는 기다리지 못하고 그 가볍고 작은 공에 늘 진다. 굳이 위로삼아 말하자면, 이것이 나만의 문제는 아니다. 같은 운동을 하는...
봄날
2021.07.26 | 조회 480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