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연재 읽기 사기-인생극장
환공을 패자로 만든 관중과 포숙    노(魯)나라 환공이 제(齊)나라를 방문하면서 제 양공의 여동생인 부인을 대동했다. 결혼하기 전부터 연인관계였던 양공과 여동생은 환공의 눈을 피해 몰래 만났다. 환공이 그것을 알게 되어 부인에게 화를 냈고 양공은 사람을 시켜 환공을 죽여 버렸다. 양공의 동생들이었던 규와 소백은 형의 이러한 행실 때문에 화가 자신들에게도 미칠까 염려하여 주변국으로 도망쳤다. 관중은 둘째 왕자인 규를 모시고 노나라로, 포숙은 소백을 모시고 거나라로 갔다.      결국 양공은 자신의 부하였던 무지에게 목숨을 잃었다. 무지가 제 스스로 왕위에 오르자 그에게 원한이 있던 무리들이 일어나 그를 처단해 버렸다. 그리고 규와 소백 가운데 한 사람에게 왕위를 계승하기로 했다. 이 소식을 들은 두 왕자는 각각 노나라와 거나라에서 출발했고, 누가 먼저 제 왕실에 도착할 것인지를 두고 각축을 벌였다. 제나라로 향하는 길목에서 소백의 무리를 마주친 관중은 소백을 향하여 화살을 쏘아 맞혔다. 소백이 쓰러지는 것을 확인한 관중은 뒤따라오던 규 왕자에게 이 사실을 알렸고 일행은 느긋하게 귀국길에 올랐다.      그 시각, 소백은 재빨리 정신을 차리고 귀국을 재촉하여 먼저 제 왕실에 도착해 왕위를 차지했으니 바로 제 환공이다. 그는 복대에 화살을 맞은 후 죽은 시늉을 하며 관중을 속였던 것이다. 이후 환공은 노나라를 협박해 규 왕자를 처단했고 관중은 제나라로 불러들여 죽이겠다고 호송시켰다. 환공을 모셨던 포숙이 나섰다.   -임금께서 제나라를 다스리겠다면 지금의 신하들로 충분합니다. 하지만 천하를 차지하겠다는 뜻이 있다면 관중 없이는 안...
환공을 패자로 만든 관중과 포숙    노(魯)나라 환공이 제(齊)나라를 방문하면서 제 양공의 여동생인 부인을 대동했다. 결혼하기 전부터 연인관계였던 양공과 여동생은 환공의 눈을 피해 몰래 만났다. 환공이 그것을 알게 되어 부인에게 화를 냈고 양공은 사람을 시켜 환공을 죽여 버렸다. 양공의 동생들이었던 규와 소백은 형의 이러한 행실 때문에 화가 자신들에게도 미칠까 염려하여 주변국으로 도망쳤다. 관중은 둘째 왕자인 규를 모시고 노나라로, 포숙은 소백을 모시고 거나라로 갔다.      결국 양공은 자신의 부하였던 무지에게 목숨을 잃었다. 무지가 제 스스로 왕위에 오르자 그에게 원한이 있던 무리들이 일어나 그를 처단해 버렸다. 그리고 규와 소백 가운데 한 사람에게 왕위를 계승하기로 했다. 이 소식을 들은 두 왕자는 각각 노나라와 거나라에서 출발했고, 누가 먼저 제 왕실에 도착할 것인지를 두고 각축을 벌였다. 제나라로 향하는 길목에서 소백의 무리를 마주친 관중은 소백을 향하여 화살을 쏘아 맞혔다. 소백이 쓰러지는 것을 확인한 관중은 뒤따라오던 규 왕자에게 이 사실을 알렸고 일행은 느긋하게 귀국길에 올랐다.      그 시각, 소백은 재빨리 정신을 차리고 귀국을 재촉하여 먼저 제 왕실에 도착해 왕위를 차지했으니 바로 제 환공이다. 그는 복대에 화살을 맞은 후 죽은 시늉을 하며 관중을 속였던 것이다. 이후 환공은 노나라를 협박해 규 왕자를 처단했고 관중은 제나라로 불러들여 죽이겠다고 호송시켰다. 환공을 모셨던 포숙이 나섰다.   -임금께서 제나라를 다스리겠다면 지금의 신하들로 충분합니다. 하지만 천하를 차지하겠다는 뜻이 있다면 관중 없이는 안...
기린
2020.03.16 | 조회 534
지난 연재 읽기 사기-인생극장
 벌써 작년이다. ‘동백꽃 필 무렵’이라는 드라마가 장안의 화제였다.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주인공들의 로맨스도 한 몫을 했다. 여주인공인 동백에게 첫 눈에 반해서 순정을 바치는 용식의 ‘폭격형’ 로맨스가 묘하게 마음이 끌리는 구석이 있었다. 드라마가 방영되는 내내 그 로맨스는 동백과 그 주변 인물들에게 재미와 감동을 동시에 선사했다.     『사기』에서 남녀의 로맨스를 주로 다룬 편은 아예 없을뿐더러 여성을 주인공으로 삼은 편도 「본기」에서 유방의 아내였던 여치의 일대기를 다룬 「여태후 본기」가 유일하다. 다만 부부로 연을 맺은 이들의 소소한 이야기가 가물에 콩 나듯 발견된다. 이들의 이야기는 드라마처럼 흥미진진하지는 않지만 나름의 반전이 숨어 있다. 무엇보다 아내의 활약이 돋보이는 이들의 로맨스 속으로 들어가 보자.   어리석은 남편을 일깨운 로맨스  안영은 춘추 시대 제나라의 재상이다. 오랑캐 출신으로 제나라 조정에 발탁된 후 세 명의 제후를 섬기면서 재상을 지냈다. 그러나 집안에서의 살림살이는 소박하기 그지없었다. 밥상에는 한 가지 이상의 육류가 오르지 못하게 했고, 첩에게는 비단옷을 입지 못하게 했다. 이러한 안영의 성품을 흠모하는 이가 있었으니 안영의 마부 아내였다. 어느 날, 안영이 외출하려고 마차를 대령시켰다. 마부는 재상을 모시는 자신의 처지에 우쭐하여 어깨에 한껏 힘이 들어갔다. 마부의 아내가 보기에 그런 남편이 영 마뜩찮아 보였다. 저녁이 되어 남편과 마주앉은 아내가 말했다.   -당신과 헤어지겠어요.   -그게 무슨 말이오?   -재상님은 당신보다 덩치가 작아서 여섯 자밖에 안 되는데도 재상자리에 올랐어요. 근데 당신은 키는 여덟 자나 되는데도 남의...
 벌써 작년이다. ‘동백꽃 필 무렵’이라는 드라마가 장안의 화제였다.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주인공들의 로맨스도 한 몫을 했다. 여주인공인 동백에게 첫 눈에 반해서 순정을 바치는 용식의 ‘폭격형’ 로맨스가 묘하게 마음이 끌리는 구석이 있었다. 드라마가 방영되는 내내 그 로맨스는 동백과 그 주변 인물들에게 재미와 감동을 동시에 선사했다.     『사기』에서 남녀의 로맨스를 주로 다룬 편은 아예 없을뿐더러 여성을 주인공으로 삼은 편도 「본기」에서 유방의 아내였던 여치의 일대기를 다룬 「여태후 본기」가 유일하다. 다만 부부로 연을 맺은 이들의 소소한 이야기가 가물에 콩 나듯 발견된다. 이들의 이야기는 드라마처럼 흥미진진하지는 않지만 나름의 반전이 숨어 있다. 무엇보다 아내의 활약이 돋보이는 이들의 로맨스 속으로 들어가 보자.   어리석은 남편을 일깨운 로맨스  안영은 춘추 시대 제나라의 재상이다. 오랑캐 출신으로 제나라 조정에 발탁된 후 세 명의 제후를 섬기면서 재상을 지냈다. 그러나 집안에서의 살림살이는 소박하기 그지없었다. 밥상에는 한 가지 이상의 육류가 오르지 못하게 했고, 첩에게는 비단옷을 입지 못하게 했다. 이러한 안영의 성품을 흠모하는 이가 있었으니 안영의 마부 아내였다. 어느 날, 안영이 외출하려고 마차를 대령시켰다. 마부는 재상을 모시는 자신의 처지에 우쭐하여 어깨에 한껏 힘이 들어갔다. 마부의 아내가 보기에 그런 남편이 영 마뜩찮아 보였다. 저녁이 되어 남편과 마주앉은 아내가 말했다.   -당신과 헤어지겠어요.   -그게 무슨 말이오?   -재상님은 당신보다 덩치가 작아서 여섯 자밖에 안 되는데도 재상자리에 올랐어요. 근데 당신은 키는 여덟 자나 되는데도 남의...
기린
2020.01.28 | 조회 404
지난 연재 읽기 사기-인생극장
 많으면 많을수록 좋은 것은 뭘까? 시세차익, 좋아요 구독자수, 맛집 리스트. 그럼 많으면 많을수록 나쁜 것은? 내 뱃살, 미세먼지. 이런 것들은 그나마 좋고 나쁨을 가볍게 가늠해 볼 수 있다. 하지만 과연 우리가 살아가는데 맞닥뜨리는 수많은 사건을 좋고 나쁨으로 판가름할 수 있을까? 또 그런 선택이 늘 좋기만 하고 혹은 늘 나쁘기만 할까?  초한(楚漢)시대 한신은 유방의 휘하에 들어간 후 항우 진영을 상대로 거듭 승리를 거두면서 두각을 드러냈다. 그 결과 유방이 천하를 통일하는데 혁혁한 공을 세웠고 천하에서 한신의 이름이 드날렸다. 유방도 경계심을 품을 만큼이었다. 한신 스스로도 자신감에 차서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고 거리낌 없이 말했다. 다다익선(多多益善)이라는 사자성어의 원출전이 바로 한신의 열전이다. 또 하나의 유명한 사자성어 토사구팽(兔死狗烹)도 나온다. 그렇게 자신만만했던 한신이 토끼 사냥이 끝나 쓸모없는 사냥개로 삶겨지는 처지가 되었다. 한신에게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그의 인생역전을 따라 가보자.   한신의 병법, 배수진   한고조 유방이 공신들과 이런 저런 대화를 나누던 어느 날, 한신과 마주 앉게 되었다. 한고조가 물었다.   -나 같은 사람은 얼마나 되는 군대를 이끌 수 있겠소? -폐하는 10만 정도의 군대를 이끌 수 있겠습니다. -그대는 어떻소? -저는 많으면 많을수록 좋습니다. -그런 그대가 왜 내 밑에 있소? -폐하께서는 군대는 이끌 수는 없습니다만, 장수를 거느릴 수 있습니다. 이것이 제가 폐하의 밑에 있는 까닭입니다. 또 폐하는 하늘이 내리신 분이지 사람 힘으로 이룰 수 있는 일이 아닙니다.    한신이...
 많으면 많을수록 좋은 것은 뭘까? 시세차익, 좋아요 구독자수, 맛집 리스트. 그럼 많으면 많을수록 나쁜 것은? 내 뱃살, 미세먼지. 이런 것들은 그나마 좋고 나쁨을 가볍게 가늠해 볼 수 있다. 하지만 과연 우리가 살아가는데 맞닥뜨리는 수많은 사건을 좋고 나쁨으로 판가름할 수 있을까? 또 그런 선택이 늘 좋기만 하고 혹은 늘 나쁘기만 할까?  초한(楚漢)시대 한신은 유방의 휘하에 들어간 후 항우 진영을 상대로 거듭 승리를 거두면서 두각을 드러냈다. 그 결과 유방이 천하를 통일하는데 혁혁한 공을 세웠고 천하에서 한신의 이름이 드날렸다. 유방도 경계심을 품을 만큼이었다. 한신 스스로도 자신감에 차서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고 거리낌 없이 말했다. 다다익선(多多益善)이라는 사자성어의 원출전이 바로 한신의 열전이다. 또 하나의 유명한 사자성어 토사구팽(兔死狗烹)도 나온다. 그렇게 자신만만했던 한신이 토끼 사냥이 끝나 쓸모없는 사냥개로 삶겨지는 처지가 되었다. 한신에게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그의 인생역전을 따라 가보자.   한신의 병법, 배수진   한고조 유방이 공신들과 이런 저런 대화를 나누던 어느 날, 한신과 마주 앉게 되었다. 한고조가 물었다.   -나 같은 사람은 얼마나 되는 군대를 이끌 수 있겠소? -폐하는 10만 정도의 군대를 이끌 수 있겠습니다. -그대는 어떻소? -저는 많으면 많을수록 좋습니다. -그런 그대가 왜 내 밑에 있소? -폐하께서는 군대는 이끌 수는 없습니다만, 장수를 거느릴 수 있습니다. 이것이 제가 폐하의 밑에 있는 까닭입니다. 또 폐하는 하늘이 내리신 분이지 사람 힘으로 이룰 수 있는 일이 아닙니다.    한신이...
기린
2019.12.18 | 조회 500
지난 연재 읽기 사기-인생극장
“가장 많은 사람이 모일 수 있는 시간이 언제야?” 회의 할 수 있는 시간을 잡기 위해서다. 내가 속해 있는 공동체에는 최종 결정단위가 따로 없다. 그래서 결정 사안이 생기면 사람들이 모일 수 있는 회의 시간부터 잡아야 한다. 그 사안에 관심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참석할 수 있는데, 한 번의 회의로 결정 나는 경우가 거의 없다. 횟수를 거듭하면서 서로의 의견 차이를 좁혀 가는데 이게 쉽지 않다. 서로 오가는 말에서 좀처럼 접점을 찾지 못하기 때문이다. 말이 통하지 않으니 감응이 일어날 리 없고 회의 시간은 점점 피곤해지기 일쑤다. 『사기』에도 수많은 대화 장면이 기록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조정에서 오가는 대화가 많은데, 이 때 빛을 발하는 것은 말 잘 하는 신하들의 활약이다. 물론 그 말들이 모두 나라의 안위를 위한 것은 아니다. 속사정을 따져보면 각자의 실리를 좇을 때가 더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말들은 장차 닥쳐올 파국을 막게 되는 결정적 변화를 이끌어낸다. 변화를 초래하는 감응의 대화, 어떤 말들이 오고갔던 것일까. 위왕과 순우곤의 대화   전국 시대 제(齊)나라 위왕(魏王)은 술을 좋아하여 밤새 술 마시기를 즐겨하는가 하면 나랏일은 나 몰라라 하는 위인이었다. 그러자 신하들도 그에 발맞춰 흥청망청하니 나라의 안위가 점점 위태로워지는 형국이었다. 그런 어느 날 위왕이 순우곤이라는 신하와 함께 술을 마시게 되었다. 오고가는 잔에 술이 오른 왕은 순우곤에게 말했다. -그대는 주량이 어찌 되오? -신은 한 말을 마셔도 취하고 한 섬을 마셔도...
“가장 많은 사람이 모일 수 있는 시간이 언제야?” 회의 할 수 있는 시간을 잡기 위해서다. 내가 속해 있는 공동체에는 최종 결정단위가 따로 없다. 그래서 결정 사안이 생기면 사람들이 모일 수 있는 회의 시간부터 잡아야 한다. 그 사안에 관심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참석할 수 있는데, 한 번의 회의로 결정 나는 경우가 거의 없다. 횟수를 거듭하면서 서로의 의견 차이를 좁혀 가는데 이게 쉽지 않다. 서로 오가는 말에서 좀처럼 접점을 찾지 못하기 때문이다. 말이 통하지 않으니 감응이 일어날 리 없고 회의 시간은 점점 피곤해지기 일쑤다. 『사기』에도 수많은 대화 장면이 기록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조정에서 오가는 대화가 많은데, 이 때 빛을 발하는 것은 말 잘 하는 신하들의 활약이다. 물론 그 말들이 모두 나라의 안위를 위한 것은 아니다. 속사정을 따져보면 각자의 실리를 좇을 때가 더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말들은 장차 닥쳐올 파국을 막게 되는 결정적 변화를 이끌어낸다. 변화를 초래하는 감응의 대화, 어떤 말들이 오고갔던 것일까. 위왕과 순우곤의 대화   전국 시대 제(齊)나라 위왕(魏王)은 술을 좋아하여 밤새 술 마시기를 즐겨하는가 하면 나랏일은 나 몰라라 하는 위인이었다. 그러자 신하들도 그에 발맞춰 흥청망청하니 나라의 안위가 점점 위태로워지는 형국이었다. 그런 어느 날 위왕이 순우곤이라는 신하와 함께 술을 마시게 되었다. 오고가는 잔에 술이 오른 왕은 순우곤에게 말했다. -그대는 주량이 어찌 되오? -신은 한 말을 마셔도 취하고 한 섬을 마셔도...
기린
2019.11.12 | 조회 502
지난 연재 읽기 사기-인생극장
 도행역시(倒行逆施)는 도리에 어긋나는 일을 한다는 뜻이다. 춘추시대의 인물인 오자서가 아버지와 형의 복수를 하면서 나온 말이다. 그는 부모형제가 억울하게 죽은 것을 잊지 않고 오랜 세월을 기다린 끝에 원수의 시신을 훼손하기에 이르렀다. 무덤까지 파헤치며 사람이라면 차마 넘지 말아야할 선을 넘고 말았다. 그는 어떤 연유로 그 선을 넘었을까? 선을 넘어선 복수란 과연 무엇일까?   무덤을 파헤친 오자서   임금을 받드는 신하들은 크게 두 부류로 나눌 수 있는데 바른 말(諫言)을 하는 신하와 아첨하는 말(讒言)을 하는 신하이다. 초(楚)나라 평왕에게도 두 부류가 다 있었다. 비무기는 아첨형이었다. 어느 날, 평왕이 비무기에게 진(秦)나라로 가서 태자의 아내를 맞아 오라는 임무를 내렸다. 비무기는 이때를 놓치지 않았다. 마침 진나라의 공주가 미인이라는 정보도 입수했다. 임무 수행 길에 올랐던 말머리를 돌려 평왕 앞에 다시 섰다.   -소신이 알아보니 진나라의 공주는 빼어난 미인이라 합니다. 며느리로 삼기에는 너무 아깝다는 생각이 들어 이렇게 돌아왔습니다. 전하께서 직접 왕비로 맞이하시고 태자에게는 다른 아내를 얻어주십시오.   평왕으로 말하자면 미인을 마다할 인물은 아니었다. 당장 비무기의 참언을 실행에 옮겼다. 그 결과 비무기는 임금의 환심을 사게 되었다. 하지만 안심할 수는 없었다. 평왕이 하루아침에 죽고 태자가 즉위하게 되는 위험이 남아있었기 때문이다. 비무기는 태자에 대한 비방의 강도를 점점 높여 반란을 일으킬 것이라고 고해 바쳤다. 그 말을 믿은 평왕은 태자의 사부인 오사를 불러 추궁했다. 간언형인 오사는 강직하게 말했다.   -임금께서는 아첨을 일삼는 하찮은 신하 때문에...
 도행역시(倒行逆施)는 도리에 어긋나는 일을 한다는 뜻이다. 춘추시대의 인물인 오자서가 아버지와 형의 복수를 하면서 나온 말이다. 그는 부모형제가 억울하게 죽은 것을 잊지 않고 오랜 세월을 기다린 끝에 원수의 시신을 훼손하기에 이르렀다. 무덤까지 파헤치며 사람이라면 차마 넘지 말아야할 선을 넘고 말았다. 그는 어떤 연유로 그 선을 넘었을까? 선을 넘어선 복수란 과연 무엇일까?   무덤을 파헤친 오자서   임금을 받드는 신하들은 크게 두 부류로 나눌 수 있는데 바른 말(諫言)을 하는 신하와 아첨하는 말(讒言)을 하는 신하이다. 초(楚)나라 평왕에게도 두 부류가 다 있었다. 비무기는 아첨형이었다. 어느 날, 평왕이 비무기에게 진(秦)나라로 가서 태자의 아내를 맞아 오라는 임무를 내렸다. 비무기는 이때를 놓치지 않았다. 마침 진나라의 공주가 미인이라는 정보도 입수했다. 임무 수행 길에 올랐던 말머리를 돌려 평왕 앞에 다시 섰다.   -소신이 알아보니 진나라의 공주는 빼어난 미인이라 합니다. 며느리로 삼기에는 너무 아깝다는 생각이 들어 이렇게 돌아왔습니다. 전하께서 직접 왕비로 맞이하시고 태자에게는 다른 아내를 얻어주십시오.   평왕으로 말하자면 미인을 마다할 인물은 아니었다. 당장 비무기의 참언을 실행에 옮겼다. 그 결과 비무기는 임금의 환심을 사게 되었다. 하지만 안심할 수는 없었다. 평왕이 하루아침에 죽고 태자가 즉위하게 되는 위험이 남아있었기 때문이다. 비무기는 태자에 대한 비방의 강도를 점점 높여 반란을 일으킬 것이라고 고해 바쳤다. 그 말을 믿은 평왕은 태자의 사부인 오사를 불러 추궁했다. 간언형인 오사는 강직하게 말했다.   -임금께서는 아첨을 일삼는 하찮은 신하 때문에...
기린
2019.09.30 | 조회 533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