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연재 읽기 한뼘 양생
  몸무게가 많이 줄었다. 올해 초 54에서 53킬로그램 정도 나가던 몸무게가 이제 50에서 49킬로그램 정도이니, 5킬로그램 정도 감량했다. ‘신장병환우회카페’에 올라오는 빠른 회복에 대한 간증들 가운데 빠지지 않는 항목이 체중감량이었다. 하루 2만보에서 3만보쯤 걷고, 하루 두 끼 저염저단백식단을 칼같이 지켰더니 체중이 10킬로그램 이상 빠졌고 콜레스테롤, 혈당, 혈압 등등 모든 수치가 좋아졌다는 내용이었다. 이 간증의 주인공들은 대개 중년 남성들이다(10킬로그램을 감량하고도 괜찮으려면 과체중 상태여야 한다). 불규칙적인 생활과 스트레스, 음주와 흡연으로 이어졌던 중년 남성들에게 질병은 체중감량을 요구했고, 그 결과는 모두 대만족이었다. 몸이 가벼워지고 성인병의 두려움으로부터 자유로워졌다는 것이다.           나는 체중감량을 위해 일단 국물을 포기했다. 김치찌개, 된장찌개, 순두부, 미역국, 육개장, 감자탕, 순댓국……이 밥상에서 떠나갔다. 국물 없이 마른 밥을 먹는 일이 뻑뻑하기는 했지만 염분은 확실히 줄여줬다. 염분을 줄이니 몸의 붓기는 저절로 빠졌다. 그 다음 저염저단백 식단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다. 어려웠다. 아예 소금과 단백질을 먹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줄여서’ 먹으라는 것인데 도대체 얼마를 줄여야 할까? 물론 병원에서 나눠준 책자에는 하루 적정 소금의 양을 5그램(티스푼 1개), 단백질의 양을 40그램으로 알려줬지만, 그게 어느 정도의 양인지 실제로 감을 잡기는 어려웠다. 그걸 또 세 끼에 나누어 먹으려면 어느 정도여야 할까? 이제는 안다. 그 소금의 양은 거의 무염에 가깝다. 한 끼에 먹을 수 있는 단백질의 양은 소고기와 돼지고기의 경우 손바닥 하나 정도의 크기이고, 두부는 1/6모, 달걀 1개 정도다....
  몸무게가 많이 줄었다. 올해 초 54에서 53킬로그램 정도 나가던 몸무게가 이제 50에서 49킬로그램 정도이니, 5킬로그램 정도 감량했다. ‘신장병환우회카페’에 올라오는 빠른 회복에 대한 간증들 가운데 빠지지 않는 항목이 체중감량이었다. 하루 2만보에서 3만보쯤 걷고, 하루 두 끼 저염저단백식단을 칼같이 지켰더니 체중이 10킬로그램 이상 빠졌고 콜레스테롤, 혈당, 혈압 등등 모든 수치가 좋아졌다는 내용이었다. 이 간증의 주인공들은 대개 중년 남성들이다(10킬로그램을 감량하고도 괜찮으려면 과체중 상태여야 한다). 불규칙적인 생활과 스트레스, 음주와 흡연으로 이어졌던 중년 남성들에게 질병은 체중감량을 요구했고, 그 결과는 모두 대만족이었다. 몸이 가벼워지고 성인병의 두려움으로부터 자유로워졌다는 것이다.           나는 체중감량을 위해 일단 국물을 포기했다. 김치찌개, 된장찌개, 순두부, 미역국, 육개장, 감자탕, 순댓국……이 밥상에서 떠나갔다. 국물 없이 마른 밥을 먹는 일이 뻑뻑하기는 했지만 염분은 확실히 줄여줬다. 염분을 줄이니 몸의 붓기는 저절로 빠졌다. 그 다음 저염저단백 식단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다. 어려웠다. 아예 소금과 단백질을 먹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줄여서’ 먹으라는 것인데 도대체 얼마를 줄여야 할까? 물론 병원에서 나눠준 책자에는 하루 적정 소금의 양을 5그램(티스푼 1개), 단백질의 양을 40그램으로 알려줬지만, 그게 어느 정도의 양인지 실제로 감을 잡기는 어려웠다. 그걸 또 세 끼에 나누어 먹으려면 어느 정도여야 할까? 이제는 안다. 그 소금의 양은 거의 무염에 가깝다. 한 끼에 먹을 수 있는 단백질의 양은 소고기와 돼지고기의 경우 손바닥 하나 정도의 크기이고, 두부는 1/6모, 달걀 1개 정도다....
겸목
2021.11.22 | 조회 398
지난 연재 읽기 한뼘 양생
      두세 달 전 친구 S가 인슐린 저항성과 혈압에 대해 물어온 적이 있었다. S는 자신이 왜 고혈압인지 그 원인을 알고 싶어 한다. 자신이 비만도 아니고 그렇다고 짜게 먹지도 않는데 왜 고혈압이냐며 약간의 분통을 터트리곤 했다. 사실 고혈압의 경우는 원인이 확실치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S의 고혈압도 그러려니 생각했다. 그런데 그녀가 우연히 방문한 한 약국에서 인슐린 저항성이 고혈압의 원인이라며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키는 건강식품을 권해서 먹고 있다는 것이었다. 인슐린 저항성이란 간단히 말해 인슐린의 기능이 떨어져서 세포 속으로 포도당을 넣어주지 못하게 된 상태를 말한다. 결국 당뇨가 생긴다. S가 당뇨는 아니고 해서 난 알아본다고 하고 잊어버렸다.      그러다 <일리치약국에 놀러와> 갱년기 편에서 실시한 세미나를 하다 그녀의 질문이 문득 생각났다. 세미나 텍스트였던 크리스티안 노스럽의 『폐경기 여성의 몸 여성의 지혜』에는 갱년기의 다양한 심리적, 신체적 증상들 및 대처법 등이 상세하게 설명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전국에서 세미나에 참여한 여러 여성들의 갱년기에 대한 ‘간증’을 들으면서, 훨씬 입체적으로 갱년기를 생각할 수 있게 되었다. 나를 비롯해 많은 여성들이 갱년기나 폐경으로 몸의 증상들을 퉁쳐버리고 자세히 알려고 하지 않았구나! 하는 생각도 들었다.          이번 갱년기 세미나를 통해서 내가 주목하게 된 점이 몇 가지 있다. 첫 번째는 에스트로겐 저하뿐만 아니라 프로게스테론의 저하가 가져오는 몸의 변화에도 주목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두 번째는 갱년기에 늘어나는 체지방이 갖는 장단점을 같이 고려해야 한다는 점....
      두세 달 전 친구 S가 인슐린 저항성과 혈압에 대해 물어온 적이 있었다. S는 자신이 왜 고혈압인지 그 원인을 알고 싶어 한다. 자신이 비만도 아니고 그렇다고 짜게 먹지도 않는데 왜 고혈압이냐며 약간의 분통을 터트리곤 했다. 사실 고혈압의 경우는 원인이 확실치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S의 고혈압도 그러려니 생각했다. 그런데 그녀가 우연히 방문한 한 약국에서 인슐린 저항성이 고혈압의 원인이라며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키는 건강식품을 권해서 먹고 있다는 것이었다. 인슐린 저항성이란 간단히 말해 인슐린의 기능이 떨어져서 세포 속으로 포도당을 넣어주지 못하게 된 상태를 말한다. 결국 당뇨가 생긴다. S가 당뇨는 아니고 해서 난 알아본다고 하고 잊어버렸다.      그러다 <일리치약국에 놀러와> 갱년기 편에서 실시한 세미나를 하다 그녀의 질문이 문득 생각났다. 세미나 텍스트였던 크리스티안 노스럽의 『폐경기 여성의 몸 여성의 지혜』에는 갱년기의 다양한 심리적, 신체적 증상들 및 대처법 등이 상세하게 설명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전국에서 세미나에 참여한 여러 여성들의 갱년기에 대한 ‘간증’을 들으면서, 훨씬 입체적으로 갱년기를 생각할 수 있게 되었다. 나를 비롯해 많은 여성들이 갱년기나 폐경으로 몸의 증상들을 퉁쳐버리고 자세히 알려고 하지 않았구나! 하는 생각도 들었다.          이번 갱년기 세미나를 통해서 내가 주목하게 된 점이 몇 가지 있다. 첫 번째는 에스트로겐 저하뿐만 아니라 프로게스테론의 저하가 가져오는 몸의 변화에도 주목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두 번째는 갱년기에 늘어나는 체지방이 갖는 장단점을 같이 고려해야 한다는 점....
둥글레
2021.11.09 | 조회 443
지난 연재 읽기 한뼘 양생
올해 초 인문약방 활동의 확장으로 일리치 약국을 열었다. 상담을 주로 하는 약국에서 한약처방전일 경우 계량하고 달이고 포장하는 일 등을 내가 맡기로 했다. 약국 영업시간인 화요일부터 금요일까지는 매일 오전 열 시부터 저녁 일곱 시까지 근무시간도 정해졌다. 이십 대 초반에 정규직으로 일했던 이십 개월 이후 삼십 여년 만에 다시 사대보험이 되는 정규직에 취업을 한 셈이다. 약국을 개업하기 이전에도 대부분 열시 전에 공동체 안에 있는 공부방으로 출근했다. 밥벌이는 물론 공동체에서 벌이는 다종다양한 일에 연루되어 정신없이 보내다 보면 하루가 금방 지나갔다. 그러다보니 시간은 모자라고 세미나 준비는 미흡해서 전전긍긍하기 일쑤였다.     약국으로 출근하게 되면서 아홉 시간의 근무시간이 정해졌다. 약국의 일상과 인문약방의 활동, 세미나 공부 등으로 활용해야 했다. 출근해서 닥치는 일부터 해내다보면 책 한번 펼쳐보지 못하고 퇴근시간을 맞았다. 게다가 약국이 있는 파지사유는 에코와 관련 활동이 펼쳐지고 용기내 가게가 열려 있고 약국에 용무가 있는 사람들이 수시로 드나드는 공간이었다. 여기서 공부방에서처럼 책을 읽는 일은 그야말로 미션임파서블이었다. 공간을 함께 쓰는 친구들과 공부 좀 하자, 공부만 하는 공간이 아니다 등등 언쟁까지 붙으니 피곤이 점점 가중되었다. 환경이 바뀌었는데도 몸은 여전히 예전 공부방의 환경을 원했다. 더구나 그 시절에도 시간이 부족하다고 여겼는데, 지금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하니 왜 이러고 사는지 나 자신한테 불쑥불쑥 짜증이 치솟기도 했다. 그렇게 정념에 휩싸이면 일상에서의 집중력은 더 떨어졌다.     예전이라면 해야 할 일을 끝내면 공부방에 자리 잡고 세미나...
올해 초 인문약방 활동의 확장으로 일리치 약국을 열었다. 상담을 주로 하는 약국에서 한약처방전일 경우 계량하고 달이고 포장하는 일 등을 내가 맡기로 했다. 약국 영업시간인 화요일부터 금요일까지는 매일 오전 열 시부터 저녁 일곱 시까지 근무시간도 정해졌다. 이십 대 초반에 정규직으로 일했던 이십 개월 이후 삼십 여년 만에 다시 사대보험이 되는 정규직에 취업을 한 셈이다. 약국을 개업하기 이전에도 대부분 열시 전에 공동체 안에 있는 공부방으로 출근했다. 밥벌이는 물론 공동체에서 벌이는 다종다양한 일에 연루되어 정신없이 보내다 보면 하루가 금방 지나갔다. 그러다보니 시간은 모자라고 세미나 준비는 미흡해서 전전긍긍하기 일쑤였다.     약국으로 출근하게 되면서 아홉 시간의 근무시간이 정해졌다. 약국의 일상과 인문약방의 활동, 세미나 공부 등으로 활용해야 했다. 출근해서 닥치는 일부터 해내다보면 책 한번 펼쳐보지 못하고 퇴근시간을 맞았다. 게다가 약국이 있는 파지사유는 에코와 관련 활동이 펼쳐지고 용기내 가게가 열려 있고 약국에 용무가 있는 사람들이 수시로 드나드는 공간이었다. 여기서 공부방에서처럼 책을 읽는 일은 그야말로 미션임파서블이었다. 공간을 함께 쓰는 친구들과 공부 좀 하자, 공부만 하는 공간이 아니다 등등 언쟁까지 붙으니 피곤이 점점 가중되었다. 환경이 바뀌었는데도 몸은 여전히 예전 공부방의 환경을 원했다. 더구나 그 시절에도 시간이 부족하다고 여겼는데, 지금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하니 왜 이러고 사는지 나 자신한테 불쑥불쑥 짜증이 치솟기도 했다. 그렇게 정념에 휩싸이면 일상에서의 집중력은 더 떨어졌다.     예전이라면 해야 할 일을 끝내면 공부방에 자리 잡고 세미나...
기린
2021.10.26 | 조회 463
지난 연재 읽기 한뼘 양생
"타고난 기혈이 약해요. 허약체질이에요. 비위가 약해서 잘 못 먹어서 그런 건데, 그러다 보니 에너지를 쓸 수가 없죠. 게다가 내성적이고 치밀해서 스트레스에 약하군요." 얼마 전 동네 한의원에서 들은 이야기이다. 피곤이 쌓이고 기력이 바닥을 쳐 거의 좀비처럼 며칠을 지낸 후 죽지 않으려면 산에라도 가야겠다고 집을 나섰다가 맘을 바꿔 아무 데나 가장 가까운 한의원으로 간 날이었다. 그날 난 부황, 뜸, 침, 3종 세트의 치료를 받고 겨우 회생했다.   타고난 기혈이 약하다는 것은 이미 알고 있었다. 그런 상태로도 오랫동안 꽤 많은 일을 감당하며 살아왔다. 아니 그런 상태였기 때문에 많은 일을 할 수 있었는지도 모른다. 순간순간 에너지를 폭발시키고 그다음에 번아웃되는 식의 삶은 나에게는 이념이 아니라 생물학적으로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대신 나는 기운을 정미롭게 쓰는 방식을 터득해왔다. 인간관계는 단순하고 쇼핑, 관광 같은 번다한 일에도 힘을 쏟지 않는다. 지인의 생일 등 기념일을 챙기는 이벤트 따위는 거의 안 한다. 잘한 일도 잘못한 일도 바로바로 잊어버리는 성격도 한몫했을 것이다. 불필요한 동선을 만들지 않는 것, 감정의 잉여를 남기지 않는 것, 이것이 저질 체력에도 불구하고 내가 하고 싶은 일을 양껏 하면서 살 수 있었던 방법이었다.   그런데 올해 ‘삑사리’가 났다. 부실하나마 수십 년간 잘 지탱해온 삼발이의 한쪽 다리가 부러진 느낌이다. 자주 열이 났고 두통이 왔으며, 몸을 움직일 때마다 “아이고~ 아이고~” 소리가 절로 나왔다. 눈의 알레르기가 심해졌고, 잇몸은 ‘맛이 갔다’. 별 것 아닌...
"타고난 기혈이 약해요. 허약체질이에요. 비위가 약해서 잘 못 먹어서 그런 건데, 그러다 보니 에너지를 쓸 수가 없죠. 게다가 내성적이고 치밀해서 스트레스에 약하군요." 얼마 전 동네 한의원에서 들은 이야기이다. 피곤이 쌓이고 기력이 바닥을 쳐 거의 좀비처럼 며칠을 지낸 후 죽지 않으려면 산에라도 가야겠다고 집을 나섰다가 맘을 바꿔 아무 데나 가장 가까운 한의원으로 간 날이었다. 그날 난 부황, 뜸, 침, 3종 세트의 치료를 받고 겨우 회생했다.   타고난 기혈이 약하다는 것은 이미 알고 있었다. 그런 상태로도 오랫동안 꽤 많은 일을 감당하며 살아왔다. 아니 그런 상태였기 때문에 많은 일을 할 수 있었는지도 모른다. 순간순간 에너지를 폭발시키고 그다음에 번아웃되는 식의 삶은 나에게는 이념이 아니라 생물학적으로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대신 나는 기운을 정미롭게 쓰는 방식을 터득해왔다. 인간관계는 단순하고 쇼핑, 관광 같은 번다한 일에도 힘을 쏟지 않는다. 지인의 생일 등 기념일을 챙기는 이벤트 따위는 거의 안 한다. 잘한 일도 잘못한 일도 바로바로 잊어버리는 성격도 한몫했을 것이다. 불필요한 동선을 만들지 않는 것, 감정의 잉여를 남기지 않는 것, 이것이 저질 체력에도 불구하고 내가 하고 싶은 일을 양껏 하면서 살 수 있었던 방법이었다.   그런데 올해 ‘삑사리’가 났다. 부실하나마 수십 년간 잘 지탱해온 삼발이의 한쪽 다리가 부러진 느낌이다. 자주 열이 났고 두통이 왔으며, 몸을 움직일 때마다 “아이고~ 아이고~” 소리가 절로 나왔다. 눈의 알레르기가 심해졌고, 잇몸은 ‘맛이 갔다’. 별 것 아닌...
문탁
2021.10.12 | 조회 412
지난 연재 읽기 한뼘 양생
  그때의 내 심정을 기록하고 싶은 마음이었을까? 아니면 관심을 끌기 위한 어그로였을까? 한동안 페이스북에 심란한 문장들을 올렸다. “오르막길 내리막길마다 생각이 바뀌고 지금 나는 뭔가를 비우는 중인가 채우는 중인가?”, “눈물이 났다. 이 슬픔은 뭔가? 생각해보니 아쉬움이다. 이제 뭔가 좀 해볼만하다는 감이 왔는데, 속도를 늦춰야 한다는 게 아쉽다.” 이런 글이 올라간 다음엔 주변 사람들의 걱정 어린 눈빛을 의식할 수 있었다. 그게 불편하기도 하고 위로가 되기도 했다.   청계산을 오르내리며 내가 너무 ‘인간적으로’ 자연을 해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경사진 오르막길을 걸을 땐 숨이 차고 다리가 뻐근했다. 발에 차이는 돌멩이들이 미끄러워서 짜증이 났고, 내 인생은 오르막길의 연속이라는 자학적인 감정에 사로잡혔다. 수월히 내리막길을 내려올 땐 인생의 내리막길은 참 빠르구나! 하는 허무한 감정에 빠져들었다. 이런 구질구질한 생각을 하고 있으면, 울창한 나무와 푸르른 잎사귀, 철 따라 피고 지는 꽃들이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아름다운 풍경 한가운데에서 내 마음은 홀로 재난을 겪고 있었다. 누군가에 대한 질투와 스스로에 대한 자책과 세상에 대한 원망이 불쑥불쑥 찾아왔다. 뾰족하게 튀어나오는 감정에 당황스럽기도 하고 부끄럽기도 해서 그 마음을 내심 모르는 척하려고도 했다.   국사봉에서 이수봉으로 넘어가는 고갯길에서 돗자리를 펴고 누었을 때 쏴아악 쏴아악 들려오는 바람소리에 나는 눈물을 흘렸다. 쏴아악 쏴아악 나뭇잎들이 서로 몸을 비비며 내는 바람소리가 너무 좋아서 눈물을 참을 수 없었다. 나뭇가지들이 기우뚱 휘청이며 내는 바람소리는 죽비소리처럼 시원하게 들려왔다. ‘별거 아냐’,...
  그때의 내 심정을 기록하고 싶은 마음이었을까? 아니면 관심을 끌기 위한 어그로였을까? 한동안 페이스북에 심란한 문장들을 올렸다. “오르막길 내리막길마다 생각이 바뀌고 지금 나는 뭔가를 비우는 중인가 채우는 중인가?”, “눈물이 났다. 이 슬픔은 뭔가? 생각해보니 아쉬움이다. 이제 뭔가 좀 해볼만하다는 감이 왔는데, 속도를 늦춰야 한다는 게 아쉽다.” 이런 글이 올라간 다음엔 주변 사람들의 걱정 어린 눈빛을 의식할 수 있었다. 그게 불편하기도 하고 위로가 되기도 했다.   청계산을 오르내리며 내가 너무 ‘인간적으로’ 자연을 해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경사진 오르막길을 걸을 땐 숨이 차고 다리가 뻐근했다. 발에 차이는 돌멩이들이 미끄러워서 짜증이 났고, 내 인생은 오르막길의 연속이라는 자학적인 감정에 사로잡혔다. 수월히 내리막길을 내려올 땐 인생의 내리막길은 참 빠르구나! 하는 허무한 감정에 빠져들었다. 이런 구질구질한 생각을 하고 있으면, 울창한 나무와 푸르른 잎사귀, 철 따라 피고 지는 꽃들이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아름다운 풍경 한가운데에서 내 마음은 홀로 재난을 겪고 있었다. 누군가에 대한 질투와 스스로에 대한 자책과 세상에 대한 원망이 불쑥불쑥 찾아왔다. 뾰족하게 튀어나오는 감정에 당황스럽기도 하고 부끄럽기도 해서 그 마음을 내심 모르는 척하려고도 했다.   국사봉에서 이수봉으로 넘어가는 고갯길에서 돗자리를 펴고 누었을 때 쏴아악 쏴아악 들려오는 바람소리에 나는 눈물을 흘렸다. 쏴아악 쏴아악 나뭇잎들이 서로 몸을 비비며 내는 바람소리가 너무 좋아서 눈물을 참을 수 없었다. 나뭇가지들이 기우뚱 휘청이며 내는 바람소리는 죽비소리처럼 시원하게 들려왔다. ‘별거 아냐’,...
겸목
2021.09.27 | 조회 505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