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이 돌아왔다 11회] 폭군에 대하여, '안녕 주정뱅이'

새털
2019-06-04 04:42
655

[플라톤이 돌아왔다 11회]

폭군에 대하여, '안녕 주정뱅이'

-국가』 9

 

 

 

 

 

 

 

문탁에서 공부하고 생활한 지 어느새 9년째다. 시간은 정말 자~알 간다. 정신없이 후딱 지나갔다

세미나에서 오고간 말들을 모아서 ‘10주년 자축이벤트를 준비중이다. 거기엔 분명 당신의 생각도

단팥빵의 앙꼬처럼 들어있다는 사실을 이 연재를 통해 확인해보시라 

 

 

 

새털 프로필02.jpg

 

:  새 털

 

 

 

 

문탁샘도 아닌데 문탁에 왔더니 쪼는인간으로 살고 있다

요즘 먹고 사는 시름에 젖어 쪼는 각이 좀 둔탁해졌다

예리해져서 돌아갈 그날을 꿈꾸며 옥수수수염차를 장복하고 있다

 

 

 

 

 

 

 

 

1. 음주의 법칙, 쉽게 끝나지 않는다

 

 

잠자코 앉아 있는 규 대신 훈이 소주 한병을 더 시켰다. 소주가 오자 주란이 턱을 받친 손을 내려 소주잔을 집었다. 나도 줘. 훈이 주란의 잔에 소주를 따르고 규와 자기 잔도 채웠다. 셋은 잔을 부딪치고 그대로 비워냈다. 다시 한순배가 돌았다. 이번에는 규가 잔을 채웠다.

눈은 내리고, 술은 들어가고, 이러고 앉아 있으니까 말야, 규가 초조하게 술잔을 빙빙 돌리며 말했다.

우리 다시는 서울로 못 돌아가도 괜찮을 것 같지 않냐?

그들은 말없이 소주잣을 비우고 창밖을 내다보았다. 굵어진 눈발이 쉼 없이 쏟아지고 있었다. 옅은 취기로도 그들은 위태했다.

-권여선, 삼인행, 안녕 주정뱅이, 72~73

 

 

해가 한낮의 쨍한 높이에서 서쪽으로 기우는 속도로 숲은 조금씩 어두워졌다. 그들은 주종을 소주에서 맥주로 바꾸었고 안주로는 에스프레소에 가까운 진한 커피를 음미하듯 입에 물고 있다 마셨다. 아주 가까이에서 새 우는 소리가 들렸다.

(중략) 그가 그녀에게 위스키를 마셔도 좋을 만큼 충분히 어두워진 것 같지 않느냐고 물었을 때 그녀는 그렇다고 대답했다. 그는 변압기처럼 아주 적절한 순간에 술의 종류와 도수를 바꾸었고 그녀는 기꺼이 그의 제안에 따랐다.

      -권여선, 역광, 안녕 주정뱅이, 169~171

 

 

권여선의 소설집 안녕 주정뱅이(창비, 2016)를 읽으며 나에게 가장 와닿는 장면은 소설 속 인물들이 주종을 바꿔가며 파장에 이른 술자리를 끈질기게 이어가고 있는 순간들이다. 그들은 웬만해서는 술자리를 끝내지 않는다. 나는 이것을 리얼리즘이라고 생각한다. 술자리는 쉽게 끝나지 않는다. 가볍게 혹은 기분 좋게 시작된 술자리가 고성이 오가고 사람이 네 발로 기어 다니고 망각과 해방의 절정까지 치달아 오르려면 무수한 술병들이 쓰러지는 시간이 필요하다. 술꾼들이 해장술을 마시며 헤어지는 건 그러다보니 어느새 해가 떠버렸기 때문이다. 물론 해장술이 낮술로 이어지는 무림의 고수들도 허다하다. 그러나 내공이 부족한 범인(凡人)들은 외부원인에 의해 강제적으로 술자리를 종료한다. 나는 강제적으로 종료되지 않으면 도무지 끝날 기미가 보이지 않는 게 음주의 법칙이라고 생각한다. 술은 술을 부르고, 술이 사람을 마신다는 말은 빈말이 아니다.

가끔 술꾼들은 끝이 확실히 보이는 술자리를 이어가기 위해 연기를 한다. “! 니가 그러고 가면 내 마음이 편하겠어?”라고 회유책을 펴기도 하고, “잘 알지도 못하면서 나대지 마라!”로 강경책을 구사하기도 하다. 이 정치적 화법들과 제스처들은 어떻게든 술을 더 마시기 위한 . 감성코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비가 오니…… 바람이 부니…… 꽃이 피니…… 꽃이 지니…….’ 나의 연기력은 명배우 수준은 못돼도, 중년에 이르러 주목 받는 조연배우급은 되지 않을까 싶다. 소주병을 기울이는 각도와 술잔을 바라보는 시선 하나로 모든 상황을 표현하는 생활연기가 묻어나는 배우쯤은 되리라 자부한다. 연기인지 실제인지 모르겠다는 평판이 따라다니는 믿고 보는 음주연기의 리베로’. 그러려면 어떤 계기든 불씨를 잘 살려 술 마실 기회를 만들고 판을 벌이고 선수들을 모으는 기술을 숙련해야 한다. 혹은 이 모든 게 무산되었을 때, 편의점에서 들러 네 개에 만원하는 맥주를 사들고 귀가하는 마음수련또한 겸비하고 있어야 한다. 슬퍼하거나 노여워하지 않고 그날그날의 음주에 감사해야 한다.

 

 

안녕주정뱅이.jpg

 

권여선의 에세이집 오늘 뭐 먹지(한겨레, 2018)는 사실 오늘 안주 뭐 먹지?’이다. 나는 모든 음식을 안주화하는 배포에서 권여선의 작가로서의 진정성을 확인한다. 권여선은 술꾼들의 이야기를 무언가를 말하기 위해 우회하는 수단이나 가공해야 할 재료가 아니라, 삶 그 자체로 다루고 있다. 권여선이야말로 작가인지 술꾼이지 분간이 안가는 홀림의 경지를 보여준다. ‘=소설=인생권여선의 삼위일체는 모든 것이 연기이고 낭비이고 거짓이며 진실인, 하나의 삶의 형식을 뚝심 있게 보여준다. “매초 매초 알코올의 메시아가 들어오는 게 느껴집니다.”(역광)<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font-family:

댓글 8
  • 2019-06-04 08:56

    음주라는 윤리적 태도 - 공감됩니다 ㅋㅋ 우정과 지성의 공동체 알콜 윤리학을 탐사해보고 싶어지네요

  • 2019-06-04 21:36

    술주정꾼인 폭군에게는 우정도 지성도 자유도 없다고 단언 한 뒤에

    애주의 취향을 빌어 우정과 지성과 자유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그대의 글을 읽다보니

    애주가든 아니든 상관없이 어느 누군들 품격있는 예의를 접하고 싶지 않은 이가 있을까,

    잠시나마 가면을 벗고 서로의 진실을 만나는 틈새를 어디선가 발견하고 싶지 않은 이가 있을까 싶구려.^^

    아무튼 새털의 음주 윤리학, 퍽이나 유쾌하게 읽었소이다. ㅋ

  • 2019-06-06 11:35

    술은 생존의 방편처럼 단련시킨 기만과 결별하는 지름길이 될 수도 있다


    : 사실... 이런 철학으로 그렇게 말술을 마시지는 못했다




    꽉 조였던 나사가 돌돌 풀리면서 유쾌하고 나른한 생명감이 충만해졌다. 


    : 대부분... 이런 기분이 되고 싶어서 벌컥 벌컥 마신 적은 많았다




    그리고.... 새털의 글을 읽었다.

    술... 마시면서 살고 싶어졌다




    이런 글을 쓰는 새털과 술을 마시지 않는다면...



    내 삶은 훨씬 더 강팍할 것이다.



    새털^^ 간이 쫌만 회복되면 또 마십시다~



    혼자 마시면 뭔 재미겠수~ ㅋㅋㅋ

  • 2019-06-06 14:21

    이 글을 읽고 나니 쫌 슬퍼지는 군.

    술의 맛도 모르고, 그래서 술 마시기를 좋아하지 않는 나로서는

    새털과 기린, 뚜버기가  공감하는 그 세계, 그 묘미  혹은 그 윤리학을 영영 모를 수도 있겠구나 싶어서....

    어딘가 모르게 신비스러운 ,스스로 가면을 벗고 진실을 대면하는 그 순간, 그 틈새를 탐사해 보고 싶다면,  

    ..... 이제라도 술을 배워야 할까나?

  • 2019-06-06 21:59

    그냥 술꾼이 아닌...진정한 '술-되기'군요! ^^

    플라톤보다는, '안녕 주정뱅이'가 몹시도 궁금해지네요.

    건강도 잘 챙겨서...계속 즐거운 '술-되기' 철학 지속하시기를 바랍니다!! ㅋㅋ

  • 2019-06-08 17:36

    폭군을 술주정뱅이라고 하는 플라톤을 이용해서 술을 옹호하다니...

    플라톤이 이 글을 읽으면 기가 막힐지도...

    기가 막힌 글솜씨요!!!

    아니 사실 내가 이 글을 읽고 이 글을 쓴 새털에게 '졌다!'를 외치고 싶달까? ㅋㅋㅋ

    그나저나 

    술이 진짜 기만과 결별하는 지름길이 될 수 있소?

    믿음이 안가는구만... .

    나두 기린샘처럼 나사가 돌돌 풀리는 그 기분 땜에 마셨는데...

    참 그리고 숙취는 아직 대사가 되지 않은 알콜 때문이 아니라

    알콜의 대사체인 아세트알데하이드 때문이라오~

  • 2019-06-09 00:19

    저도 ‘안녕 주정뱅이’를 읽고 저의 음주에 대해 어느 정도의 정당성을 찾았는데 새털씨도 마찬가지시네요ㅎㅎ 역시 유전이 이렇게나 무섭습니다~ 앞으로도 아주 즐겁고 가끔은 좀 속상하기도한  윤리적인 술자리 꾸준히 이어나가봅시다~~ 집에 갈 때마다 아주 맛있는 와인을 양 손에 쥐고 가겠소~~ 허허허~~❤️

  • 2019-06-16 13:28

    예전에.... 술을 좋아하는 친구와 밤 늦게 까지 술을 먹고

    다시 아침에 만나 도서관에서 2프로를 마시며 "우린 왜 이럴까?"라고 푸념을 늘어놓다가...

    점심 먹으러 가서 다시 해장술로 시작해서 밤늦도록 들이키고 살던 그 때...

    하루는 그 친구가 물었죠. "야!!! 내가 만약에 알콜 중독이 되어 (손을 벌벌 떨며) 너한테 술 한잔만 사달라고 하면 넌 어떻할래?"

    잠시도 주저하지 않고 "사줘야지!!"라고 대답했죠...

    그렇게 사랑했던 술을...

    이젠 떠나보내야지... 했는데

    글을 읽으면서 꼴깍꼴깍 침이 넘어간다.

    그런생각을 하다니... 미안하다

    정말 난 너를 사랑하나보다

지난 연재 읽기 플라톤이 돌아왔다
[플라톤이 돌아왔다 12회] 『국가』의 ‘엔딩 요정’은 BTS -『국가』 10권     문탁에서 공부하고 생활한 지 어느새 9년째다. 시간은 정말 자~알 간다. 정신없이 후딱 지나갔다 세미나에서 오고간 말들을 모아서 ‘10주년 자축이벤트’를 준비중이다. 거기엔 분명 당신의 생각도 단팥빵의 앙꼬처럼 들어있다는 사실을 이 연재를 통해 확인해보시라          글 :  새 털   문탁샘도 아닌데 문탁에 왔더니 ‘쪼는’ 인간으로 살고 있다 요즘 먹고 사는 시름에 젖어 ‘쪼는 각’이 좀 둔탁해졌다 예리해져서 돌아갈 그날을 꿈꾸며 옥수수수염차를 장복하고 있다       1. 영혼, 뷰티인사이드 (beauty inside) 『국가』10권에서 우리는 ‘이데아’ ‘이상국가’와 함께 플라톤의 주요개념 가운데 하나인 ‘영혼 불멸’을 만나게 된다. 아킬레우스, 오뒷세우스, 이아손, 테세우스, 헤라클레스 등 그리스의 영웅들은 전쟁과 괴물과 맞서 싸우는 데 자신의 목숨을 던졌다. 그리고 명예를 얻어 오늘날까지 신화와 전설로 살아남는 불멸의 존재가 되었다. 명예와 불멸은 그리스 사람들에게 표준이 되는 생활양식의 전범(典範)이었다. 이 말은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는 말과 다르지 않다. 플라톤 철학의 혁신은 ‘이름’을 ‘영혼’으로 교체했다는 점이다. 플라톤의 도식에 따르면 ‘사람은 죽어도 영혼은 남는다’. 플라톤은 가시적이고 가변적인 감각의 세계와 비가시적이고 불변적인 지성의 세계로 이분법적 인식론을 체계화했던 공식대로, 인간의 삶도 가시적이고 파괴적인 육체와 비가시적이고 불변하는 영혼으로 이분법적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변덕스러운 감각세계에 휘둘릴 것이 아니라 불변하는 지성의 세계를 알고자 힘써야 하는 것과 같이, 언젠가는 파괴되는 육체를 보살피는 삶이 아니라 불변하는 영혼을 돌보는 삶이 되어야...
[플라톤이 돌아왔다 12회] 『국가』의 ‘엔딩 요정’은 BTS -『국가』 10권     문탁에서 공부하고 생활한 지 어느새 9년째다. 시간은 정말 자~알 간다. 정신없이 후딱 지나갔다 세미나에서 오고간 말들을 모아서 ‘10주년 자축이벤트’를 준비중이다. 거기엔 분명 당신의 생각도 단팥빵의 앙꼬처럼 들어있다는 사실을 이 연재를 통해 확인해보시라          글 :  새 털   문탁샘도 아닌데 문탁에 왔더니 ‘쪼는’ 인간으로 살고 있다 요즘 먹고 사는 시름에 젖어 ‘쪼는 각’이 좀 둔탁해졌다 예리해져서 돌아갈 그날을 꿈꾸며 옥수수수염차를 장복하고 있다       1. 영혼, 뷰티인사이드 (beauty inside) 『국가』10권에서 우리는 ‘이데아’ ‘이상국가’와 함께 플라톤의 주요개념 가운데 하나인 ‘영혼 불멸’을 만나게 된다. 아킬레우스, 오뒷세우스, 이아손, 테세우스, 헤라클레스 등 그리스의 영웅들은 전쟁과 괴물과 맞서 싸우는 데 자신의 목숨을 던졌다. 그리고 명예를 얻어 오늘날까지 신화와 전설로 살아남는 불멸의 존재가 되었다. 명예와 불멸은 그리스 사람들에게 표준이 되는 생활양식의 전범(典範)이었다. 이 말은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는 말과 다르지 않다. 플라톤 철학의 혁신은 ‘이름’을 ‘영혼’으로 교체했다는 점이다. 플라톤의 도식에 따르면 ‘사람은 죽어도 영혼은 남는다’. 플라톤은 가시적이고 가변적인 감각의 세계와 비가시적이고 불변적인 지성의 세계로 이분법적 인식론을 체계화했던 공식대로, 인간의 삶도 가시적이고 파괴적인 육체와 비가시적이고 불변하는 영혼으로 이분법적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변덕스러운 감각세계에 휘둘릴 것이 아니라 불변하는 지성의 세계를 알고자 힘써야 하는 것과 같이, 언젠가는 파괴되는 육체를 보살피는 삶이 아니라 불변하는 영혼을 돌보는 삶이 되어야...
새털
2019.08.02 | 조회 751
지난 연재 읽기 플라톤이 돌아왔다
[플라톤이 돌아왔다 11회] 폭군에 대하여, '안녕 주정뱅이' -『국가』 9권               문탁에서 공부하고 생활한 지 어느새 9년째다. 시간은 정말 자~알 간다. 정신없이 후딱 지나갔다 세미나에서 오고간 말들을 모아서 ‘10주년 자축이벤트’를 준비중이다. 거기엔 분명 당신의 생각도 단팥빵의 앙꼬처럼 들어있다는 사실을 이 연재를 통해 확인해보시라          글 :  새 털         문탁샘도 아닌데 문탁에 왔더니 ‘쪼는’ 인간으로 살고 있다 요즘 먹고 사는 시름에 젖어 ‘쪼는 각’이 좀 둔탁해졌다 예리해져서 돌아갈 그날을 꿈꾸며 옥수수수염차를 장복하고 있다                 1. 음주의 법칙, 쉽게 끝나지 않는다     잠자코 앉아 있는 규 대신 훈이 소주 한병을 더 시켰다. 소주가 오자 주란이 턱을 받친 손을 내려 소주잔을 집었다. 나도 줘. 훈이 주란의 잔에 소주를 따르고 규와 자기 잔도 채웠다. 셋은 잔을 부딪치고 그대로 비워냈다. 다시 한순배가 돌았다. 이번에는 규가 잔을 채웠다. 눈은 내리고, 술은 들어가고, 이러고 앉아 있으니까 말야, 규가 초조하게 술잔을 빙빙 돌리며 말했다. 우리 다시는 서울로 못 돌아가도 괜찮을 것 같지 않냐? 그들은 말없이 소주잣을 비우고 창밖을 내다보았다. 굵어진 눈발이 쉼 없이 쏟아지고 있었다. 옅은 취기로도 그들은 위태했다. -권여선, 「삼인행」, 『안녕 주정뱅이』, 72~73쪽     해가 한낮의 쨍한 높이에서 서쪽으로 기우는 속도로 숲은 조금씩 어두워졌다. 그들은 주종을 소주에서 맥주로...
[플라톤이 돌아왔다 11회] 폭군에 대하여, '안녕 주정뱅이' -『국가』 9권               문탁에서 공부하고 생활한 지 어느새 9년째다. 시간은 정말 자~알 간다. 정신없이 후딱 지나갔다 세미나에서 오고간 말들을 모아서 ‘10주년 자축이벤트’를 준비중이다. 거기엔 분명 당신의 생각도 단팥빵의 앙꼬처럼 들어있다는 사실을 이 연재를 통해 확인해보시라          글 :  새 털         문탁샘도 아닌데 문탁에 왔더니 ‘쪼는’ 인간으로 살고 있다 요즘 먹고 사는 시름에 젖어 ‘쪼는 각’이 좀 둔탁해졌다 예리해져서 돌아갈 그날을 꿈꾸며 옥수수수염차를 장복하고 있다                 1. 음주의 법칙, 쉽게 끝나지 않는다     잠자코 앉아 있는 규 대신 훈이 소주 한병을 더 시켰다. 소주가 오자 주란이 턱을 받친 손을 내려 소주잔을 집었다. 나도 줘. 훈이 주란의 잔에 소주를 따르고 규와 자기 잔도 채웠다. 셋은 잔을 부딪치고 그대로 비워냈다. 다시 한순배가 돌았다. 이번에는 규가 잔을 채웠다. 눈은 내리고, 술은 들어가고, 이러고 앉아 있으니까 말야, 규가 초조하게 술잔을 빙빙 돌리며 말했다. 우리 다시는 서울로 못 돌아가도 괜찮을 것 같지 않냐? 그들은 말없이 소주잣을 비우고 창밖을 내다보았다. 굵어진 눈발이 쉼 없이 쏟아지고 있었다. 옅은 취기로도 그들은 위태했다. -권여선, 「삼인행」, 『안녕 주정뱅이』, 72~73쪽     해가 한낮의 쨍한 높이에서 서쪽으로 기우는 속도로 숲은 조금씩 어두워졌다. 그들은 주종을 소주에서 맥주로...
새털
2019.06.04 | 조회 655
지난 연재 읽기 플라톤이 돌아왔다
[플라톤이 돌아왔다 10회] 출구없는 사회의 EXIT,  화살표를 따라가세요 -『국가』 8권               문탁에서 공부하고 생활한 지 어느새 9년째다. 시간은 정말 자~알 간다. 정신없이 후딱 지나갔다 세미나에서 오고간 말들을 모아서 ‘10주년 자축이벤트’를 준비중이다. 거기엔 분명 당신의 생각도 단팥빵의 앙꼬처럼 들어있다는 사실을 이 연재를 통해 확인해보시라          글 :  새 털         문탁샘도 아닌데 문탁에 왔더니 ‘쪼는’ 인간으로 살고 있다 요즘 먹고 사는 시름에 젖어 ‘쪼는 각’이 좀 둔탁해졌다 예리해져서 돌아갈 그날을 꿈꾸며 옥수수수염차를 장복하고 있다                               1. 은유로서의 질병, 폐소공포증 순전히 제목 때문이다. 내가 프랑스 경제학자 다니엘 코엔의 『출구 없는 사회』(글항아리, 2019년)를 인터넷서점에서 구입하고 순식간에 읽어 내려간 까닭은. 요즘 나는 ‘살맛’이 나지 않는다. 오늘보다 내일이 나아질 거라는 ‘거짓말’에 속아 넘어갈 가능성이 전혀 없기 때문이다. 현재 나는 나이는 많고 돈은 없다. 어쩔 수 없이 하루하루 충실하게 살아간다. 생각이 많아지고 철학자가 될 확률은 높아지는데, 우울, 분노, 자책의 감정도 요동쳐 예술가가 될 확률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약사인 친구는 내가 간기능이 떨어져서 화를 잘 내는 것 같다며 종종 영양제를 가져다준다. 그러나 종합비타민제와 간장약을 복용해도 상태는 호전되지 않는다. 현재의 무력감과 미래에 대한 불확실함이 평온한 호흡을 가로막는다. 미세먼지의 농도와 상관없이 숨을 쉬기 힘들다. 다니엘...
[플라톤이 돌아왔다 10회] 출구없는 사회의 EXIT,  화살표를 따라가세요 -『국가』 8권               문탁에서 공부하고 생활한 지 어느새 9년째다. 시간은 정말 자~알 간다. 정신없이 후딱 지나갔다 세미나에서 오고간 말들을 모아서 ‘10주년 자축이벤트’를 준비중이다. 거기엔 분명 당신의 생각도 단팥빵의 앙꼬처럼 들어있다는 사실을 이 연재를 통해 확인해보시라          글 :  새 털         문탁샘도 아닌데 문탁에 왔더니 ‘쪼는’ 인간으로 살고 있다 요즘 먹고 사는 시름에 젖어 ‘쪼는 각’이 좀 둔탁해졌다 예리해져서 돌아갈 그날을 꿈꾸며 옥수수수염차를 장복하고 있다                               1. 은유로서의 질병, 폐소공포증 순전히 제목 때문이다. 내가 프랑스 경제학자 다니엘 코엔의 『출구 없는 사회』(글항아리, 2019년)를 인터넷서점에서 구입하고 순식간에 읽어 내려간 까닭은. 요즘 나는 ‘살맛’이 나지 않는다. 오늘보다 내일이 나아질 거라는 ‘거짓말’에 속아 넘어갈 가능성이 전혀 없기 때문이다. 현재 나는 나이는 많고 돈은 없다. 어쩔 수 없이 하루하루 충실하게 살아간다. 생각이 많아지고 철학자가 될 확률은 높아지는데, 우울, 분노, 자책의 감정도 요동쳐 예술가가 될 확률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약사인 친구는 내가 간기능이 떨어져서 화를 잘 내는 것 같다며 종종 영양제를 가져다준다. 그러나 종합비타민제와 간장약을 복용해도 상태는 호전되지 않는다. 현재의 무력감과 미래에 대한 불확실함이 평온한 호흡을 가로막는다. 미세먼지의 농도와 상관없이 숨을 쉬기 힘들다. 다니엘...
새털
2019.05.14 | 조회 489
지난 연재 읽기 플라톤이 돌아왔다
      [플라톤이 돌아왔다 9회] 시(詩), 호메로스에서 문학레이블 '공전'까지 -『국가』 7권               문탁에서 공부하고 생활한 지 어느새 9년째다. 시간은 정말 자~알 간다. 정신없이 후딱 지나갔다 세미나에서 오고간 말들을 모아서 ‘10주년 자축이벤트’를 준비중이다. 거기엔 분명 당신의 생각도 단팥빵의 앙꼬처럼 들어있다는 사실을 이 연재를 통해 확인해보시라          글 :  새 털         문탁샘도 아닌데 문탁에 왔더니 ‘쪼는’ 인간으로 살고 있다 요즘 먹고 사는 시름에 젖어 ‘쪼는 각’이 좀 둔탁해졌다 예리해져서 돌아갈 그날을 꿈꾸며 옥수수수염차를 장복하고 있다                               1. 철인왕 사관학교의 커리큘럼 『국가』7권에서는 동굴의 비유를 통해 이데아와 현실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하고 있는 플라톤의 인식론이 설명되고 있고, 이것을 철인왕의 교육방법에 적용한 커리큘럼이 제시되고 있다. 어떤 교육을 거쳐 철인왕이 탄생하게 되는 것인가? 철인왕 후보자들은 어떤 교육을 받게 되는 것인가? ‘철인왕 사관학교’의 커리큘럼을 알아보자. 이 사관학교에 들어오려면, 음악과 체육 수업으로 이루어진 예비학교에서 철인왕(수호자)에 적합한 학생이라는 인증을 받아야 한다. 예비학교에서는 10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음악교육을 통해 부드러움과 조화, 그리고 균형의 감각을 몸에 익힌 다음 체력 단련으로 들어간다. 체력 단련으로 근육이 단단해지면 그것을 교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단단해지는 수업을 유연해지는 수업 다음에 배치하고 있다. 음악교육은 오늘날의 구분에 따르면 역사교육이며 문학교육이기도 하다. 음악교육의 내용이 호메로스의 서사시와 당대 유행한...
      [플라톤이 돌아왔다 9회] 시(詩), 호메로스에서 문학레이블 '공전'까지 -『국가』 7권               문탁에서 공부하고 생활한 지 어느새 9년째다. 시간은 정말 자~알 간다. 정신없이 후딱 지나갔다 세미나에서 오고간 말들을 모아서 ‘10주년 자축이벤트’를 준비중이다. 거기엔 분명 당신의 생각도 단팥빵의 앙꼬처럼 들어있다는 사실을 이 연재를 통해 확인해보시라          글 :  새 털         문탁샘도 아닌데 문탁에 왔더니 ‘쪼는’ 인간으로 살고 있다 요즘 먹고 사는 시름에 젖어 ‘쪼는 각’이 좀 둔탁해졌다 예리해져서 돌아갈 그날을 꿈꾸며 옥수수수염차를 장복하고 있다                               1. 철인왕 사관학교의 커리큘럼 『국가』7권에서는 동굴의 비유를 통해 이데아와 현실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하고 있는 플라톤의 인식론이 설명되고 있고, 이것을 철인왕의 교육방법에 적용한 커리큘럼이 제시되고 있다. 어떤 교육을 거쳐 철인왕이 탄생하게 되는 것인가? 철인왕 후보자들은 어떤 교육을 받게 되는 것인가? ‘철인왕 사관학교’의 커리큘럼을 알아보자. 이 사관학교에 들어오려면, 음악과 체육 수업으로 이루어진 예비학교에서 철인왕(수호자)에 적합한 학생이라는 인증을 받아야 한다. 예비학교에서는 10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음악교육을 통해 부드러움과 조화, 그리고 균형의 감각을 몸에 익힌 다음 체력 단련으로 들어간다. 체력 단련으로 근육이 단단해지면 그것을 교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단단해지는 수업을 유연해지는 수업 다음에 배치하고 있다. 음악교육은 오늘날의 구분에 따르면 역사교육이며 문학교육이기도 하다. 음악교육의 내용이 호메로스의 서사시와 당대 유행한...
새털
2019.04.09 | 조회 724
지난 연재 읽기 플라톤이 돌아왔다
[플라톤이 돌아왔다 7회] 미투(MeToo) 없는 이상국가 -『국가』 5권 문탁에서 공부하고 생활한 지 어느새 9년째다. 시간은 정말 자~알 간다. 정신없이 후딱 지나갔다 세미나에서 오고간 말들을 모아서 ‘10주년 자축이벤트’를 준비중이다. 거기엔 분명 당신의 생각도 단팥빵의 앙꼬처럼 들어있다는 사실을 이 연재를 통해 확인해보시라    글 :  새 털 문탁샘도 아닌데 문탁에 왔더니 ‘쪼는’ 인간으로 살고 있다 요즘 먹고 사는 시름에 젖어 ‘쪼는 각’이 좀 둔탁해졌다 예리해져서 돌아갈 그날을 꿈꾸며 옥수수수염차를 장복하고 있다     1. ‘여가여배’, 여자가 가르치고 여자가 배운다 『국가』5권의 주요내용은 플라톤의 ‘남녀평등설’과 ‘처자공유설’로, 플라톤의 이론에서 가장 급진적이라 할 수 있는 부분이다. 플라톤은 남녀의 성차(性差)에 대해 아이를 생기게 하는 사람과 아이를 낳는 사람 정도의 차이가 있다고 생각했다. 그 밖의 차이에 대해서는 그것을 ‘성차’로 보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구두 장인의 일을 대머리냐 장발이냐 하는 헤어스타일의 차이에 따라 자격을 논할 수 없는 것처럼, 수호자의 자격도 남녀의 성차로 구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보았다. 즉 수호자의 자질과 교육에 적합한 사람이 있다면, 그가 남자든 여자든 상관하지 않겠다는 말이다. 그러니까 플라톤의 이상국가에는 여자에게만 차별적인 ‘유리천장’은 없다.   소크라테스 : 한 여자는 체육에도, 전쟁에도 능하나, 다른 한 여자는 비호전적이고 체육도 싫어하지 않겠는가?” 글라우콘 : 저로서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소크라테스 : 어떤가? 한 여자는 지혜를 사랑하나, 다른 여자는 지혜를 싫어하겠는가? 또한 한 여자는 격정적이나, 다른 여자는 소심하겠는가? 글라우콘 : 그 또한 그렇습니다....
[플라톤이 돌아왔다 7회] 미투(MeToo) 없는 이상국가 -『국가』 5권 문탁에서 공부하고 생활한 지 어느새 9년째다. 시간은 정말 자~알 간다. 정신없이 후딱 지나갔다 세미나에서 오고간 말들을 모아서 ‘10주년 자축이벤트’를 준비중이다. 거기엔 분명 당신의 생각도 단팥빵의 앙꼬처럼 들어있다는 사실을 이 연재를 통해 확인해보시라    글 :  새 털 문탁샘도 아닌데 문탁에 왔더니 ‘쪼는’ 인간으로 살고 있다 요즘 먹고 사는 시름에 젖어 ‘쪼는 각’이 좀 둔탁해졌다 예리해져서 돌아갈 그날을 꿈꾸며 옥수수수염차를 장복하고 있다     1. ‘여가여배’, 여자가 가르치고 여자가 배운다 『국가』5권의 주요내용은 플라톤의 ‘남녀평등설’과 ‘처자공유설’로, 플라톤의 이론에서 가장 급진적이라 할 수 있는 부분이다. 플라톤은 남녀의 성차(性差)에 대해 아이를 생기게 하는 사람과 아이를 낳는 사람 정도의 차이가 있다고 생각했다. 그 밖의 차이에 대해서는 그것을 ‘성차’로 보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구두 장인의 일을 대머리냐 장발이냐 하는 헤어스타일의 차이에 따라 자격을 논할 수 없는 것처럼, 수호자의 자격도 남녀의 성차로 구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보았다. 즉 수호자의 자질과 교육에 적합한 사람이 있다면, 그가 남자든 여자든 상관하지 않겠다는 말이다. 그러니까 플라톤의 이상국가에는 여자에게만 차별적인 ‘유리천장’은 없다.   소크라테스 : 한 여자는 체육에도, 전쟁에도 능하나, 다른 한 여자는 비호전적이고 체육도 싫어하지 않겠는가?” 글라우콘 : 저로서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소크라테스 : 어떤가? 한 여자는 지혜를 사랑하나, 다른 여자는 지혜를 싫어하겠는가? 또한 한 여자는 격정적이나, 다른 여자는 소심하겠는가? 글라우콘 : 그 또한 그렇습니다....
새털
2019.02.08 | 조회 633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