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연재 읽기 고은의 걸헤이 유고걸
    *[걸 헤이 유교걸]은 길드다 김고은의 북&톡 연재글입니다. 한때 유교를 사회악이라고 생각했던 20대 청년이 <논어>를 읽으며 유교걸로 거듭나는 과정을 담습니다.       미련하고 성실하게 질문하기                     불안정한 하루하루      새 향수를 샀다. 플라워 계열 중에서도 부담스럽지 않기로 유명한 향수였다. 얼핏 이모 화장품 냄새가 나는 것 같기도 했지만, 낯선 향이기만 하면 괜찮았다. 향수를 즐겨 뿌리고 다녔던 적이 없었기에 신경을 좀 썼다. 옷장을 열면 잘 보이는 곳에 향수를 뒀다. 작은 향수 공병을 사서 늘 가지고 다니는 파우치에 넣어두었다. 다음날 입을 옷을 생각해 두었을 땐 미리 옷에다 향수를 뿌려놓고 잠들기도 했다.      리프레쉬가 필요했다. 코로나바이러스가 몇 달째 기승을 부리면서 일에 차질이 생겼다. 기대했던 공부도, 오래 준비했던 활동도 접을 수밖에 없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길드다에 멤버변동까지 생겼다. 나는 상황을 정리하고 다음 스텝을 밟기 위해 친구들을 살폈다. 한 명 한 명 찾아가 생각을 물었고, 다 같이 이야기하는 자리에서 말을 아끼고 듣는 일에 집중했다. 그런데 거기서 문제가 생겼다. 친구들의 어떤 말은 이해할 수 없었고, 어떤 행동엔 약간 불쾌함도 느꼈다. 모든 상황이 제자리걸음을 반복하는 것 같아 갑갑했다.     얼마 간 리프레시를 선물해준 어메이징 그레이스에게 감사를        향수 뿌리기 규칙은 실제로 효과가 있었다. 시간이 흐르며 향이 조금씩 마음에 들기 시작했다. 탑노트의...
    *[걸 헤이 유교걸]은 길드다 김고은의 북&톡 연재글입니다. 한때 유교를 사회악이라고 생각했던 20대 청년이 <논어>를 읽으며 유교걸로 거듭나는 과정을 담습니다.       미련하고 성실하게 질문하기                     불안정한 하루하루      새 향수를 샀다. 플라워 계열 중에서도 부담스럽지 않기로 유명한 향수였다. 얼핏 이모 화장품 냄새가 나는 것 같기도 했지만, 낯선 향이기만 하면 괜찮았다. 향수를 즐겨 뿌리고 다녔던 적이 없었기에 신경을 좀 썼다. 옷장을 열면 잘 보이는 곳에 향수를 뒀다. 작은 향수 공병을 사서 늘 가지고 다니는 파우치에 넣어두었다. 다음날 입을 옷을 생각해 두었을 땐 미리 옷에다 향수를 뿌려놓고 잠들기도 했다.      리프레쉬가 필요했다. 코로나바이러스가 몇 달째 기승을 부리면서 일에 차질이 생겼다. 기대했던 공부도, 오래 준비했던 활동도 접을 수밖에 없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길드다에 멤버변동까지 생겼다. 나는 상황을 정리하고 다음 스텝을 밟기 위해 친구들을 살폈다. 한 명 한 명 찾아가 생각을 물었고, 다 같이 이야기하는 자리에서 말을 아끼고 듣는 일에 집중했다. 그런데 거기서 문제가 생겼다. 친구들의 어떤 말은 이해할 수 없었고, 어떤 행동엔 약간 불쾌함도 느꼈다. 모든 상황이 제자리걸음을 반복하는 것 같아 갑갑했다.     얼마 간 리프레시를 선물해준 어메이징 그레이스에게 감사를        향수 뿌리기 규칙은 실제로 효과가 있었다. 시간이 흐르며 향이 조금씩 마음에 들기 시작했다. 탑노트의...
고은
2020.08.17 | 조회 676
지난 연재 읽기 지원의 만드는 사람입니다
*[저는 만드는 사람입니다]는 인문학을 공부하는 목수 김지원의 북&톡 연재글입니다. 일상에서 마주하는 사건 사고들, 생생한 현장의 이야기들을 전합니다. 매달 한 편의 글을 연재합니다.     프롤로그 : 저는 만드는 사람입니다     아니고…아니고….   나는 보통 다음 두 문장 중 하나로 나를 소개한다.   “인문학을 공부하는 목수입니다.”   “가구를 만들며, 인문학을 공부합니다.”   이 문장들에 대해 사람들은 보통 다음과 같이 이해한다. “아, 목공으로 밥벌이를 하고, [조금 진지한] 취미로 인문학 공부를 하는구나?” 이렇게 생각하게 되는 것은 자연스러워 보인다. 한편으로 이 두 가지 활동이 하나는 몸을 쓰는 일, 다른 하나는 머리를 쓰는 일처럼 보인다는 점에서, 다른 한편 많은 사람들에게 일과 여가가 분리되어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그런데 나에겐 그렇지가 않다. 우선 나는 함께 인문학을 공부하는 친구들과 ‘길드다’라는 인문학 스타트업을 만들어, 적은 돈이긴 해도 본격적으로 인문학 세미나와 강의를 진행하며 돈을 번다. 그것을 준비하는 시간은 가구를 만드는 것만큼이나 고되고 지난하다. 심지어 어떤 때에는 수업이나 글쓰기 준비를 위해 주문 건을 줄이거나 받지 않는 경우도 많다. 반대로 목공도 때때로 그 즐거움에 비춰볼 때 밥벌이처럼 느껴지지 않을 때가 있다. 물론 그렇다고 인문학 공부가 밥벌이이고 목공이 취미냐 하면 그것도 아니다. 이처럼 상식적인 궁금증들에 나는 조금 소심한 목소리로 “그건 아니고….”라고 말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전공자도 아니고, 목수가 직업인 것만도 아니고, 공부가 취미도 아니고, 아니고…아니고…. “그럼 집에 돈이 많은 거야?”…그건 진짜...
*[저는 만드는 사람입니다]는 인문학을 공부하는 목수 김지원의 북&톡 연재글입니다. 일상에서 마주하는 사건 사고들, 생생한 현장의 이야기들을 전합니다. 매달 한 편의 글을 연재합니다.     프롤로그 : 저는 만드는 사람입니다     아니고…아니고….   나는 보통 다음 두 문장 중 하나로 나를 소개한다.   “인문학을 공부하는 목수입니다.”   “가구를 만들며, 인문학을 공부합니다.”   이 문장들에 대해 사람들은 보통 다음과 같이 이해한다. “아, 목공으로 밥벌이를 하고, [조금 진지한] 취미로 인문학 공부를 하는구나?” 이렇게 생각하게 되는 것은 자연스러워 보인다. 한편으로 이 두 가지 활동이 하나는 몸을 쓰는 일, 다른 하나는 머리를 쓰는 일처럼 보인다는 점에서, 다른 한편 많은 사람들에게 일과 여가가 분리되어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그런데 나에겐 그렇지가 않다. 우선 나는 함께 인문학을 공부하는 친구들과 ‘길드다’라는 인문학 스타트업을 만들어, 적은 돈이긴 해도 본격적으로 인문학 세미나와 강의를 진행하며 돈을 번다. 그것을 준비하는 시간은 가구를 만드는 것만큼이나 고되고 지난하다. 심지어 어떤 때에는 수업이나 글쓰기 준비를 위해 주문 건을 줄이거나 받지 않는 경우도 많다. 반대로 목공도 때때로 그 즐거움에 비춰볼 때 밥벌이처럼 느껴지지 않을 때가 있다. 물론 그렇다고 인문학 공부가 밥벌이이고 목공이 취미냐 하면 그것도 아니다. 이처럼 상식적인 궁금증들에 나는 조금 소심한 목소리로 “그건 아니고….”라고 말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전공자도 아니고, 목수가 직업인 것만도 아니고, 공부가 취미도 아니고, 아니고…아니고…. “그럼 집에 돈이 많은 거야?”…그건 진짜...
지원
2020.08.10 | 조회 576
지난 연재 읽기 아젠다 사장칼럼
   소위 ‘조국 사태’ 때였다. 딸의 대학 입학문제가 불거졌고 한쪽에서는 마녀사냥이라고 다른 쪽에서는 ‘내로남불’이라고 난리가 났다. 그때는 일부 대학교에서 반(反)조국 촛불시위가 일어나기도 했다. 최순실과 정유라에게 분노한 것과 비슷한 것일까? 주변의 청년들에게 의견을 물었다. 지방대에 다니는 조카는 “저랑 상관없는 일이잖아요? 우리는 그 이야기 거의 안 해요.” 직장생활을 하는 20대 딸에게 물었다. 그 반응도 의외였다. “우리는 예능 나부랭이나 만드는 사람들이야. 조국 이야기 같은 건 한 마디도 안 해.” 길드다 청년들은? 다섯 명 중 두 명은 대화 내내 핸드폰만 만지작거렸다. 관심도 없고 아는 것도 없고 그러니 할 이야기도 없다는 것이었다.      ‘정의연 사태’ 때도 비슷했다. 이번엔 후원금 문제가 불거졌는데 싱글이고 대학교수인 여동생은 ‘배신감’을 호소하고 당장 시민단체에 대한 모든 후원을 끊겠다고 펄펄 뛰었다. 반면 대안학교 학부모인 남동생은 ‘가짜뉴스’에 분노하며 정의연 30년 활동은 어떤 경우에도 폄하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시작한지 얼마 안 된 페이스북에서는 이런 양극단의 주장이 거의 분, 초 단위로 올라오고 있었고 서로가 서로에 대해 서슬 퍼렇게 ‘페삭’을 날리고 있었다. 그때도 청년들의 의견이 궁금했던 나는 스무 살 언저리 청년들과의 모임에서 “너넨 어떻게 생각해?”라고 물었다. 이번에도 대부분은 묵묵부답. 역시 관심도 없고 아는 것도 없다고 했다.      그런데 이번엔 좀 달랐다. 이번 ‘박원순 사태’ 때 주변 청년들은 즉각적으로 반응했고 직관적으로 분노했다. 누군가는 이런 사회에서 절대 아이 같은 건 낳을 수 없다고 했고, 또 누군가는...
   소위 ‘조국 사태’ 때였다. 딸의 대학 입학문제가 불거졌고 한쪽에서는 마녀사냥이라고 다른 쪽에서는 ‘내로남불’이라고 난리가 났다. 그때는 일부 대학교에서 반(反)조국 촛불시위가 일어나기도 했다. 최순실과 정유라에게 분노한 것과 비슷한 것일까? 주변의 청년들에게 의견을 물었다. 지방대에 다니는 조카는 “저랑 상관없는 일이잖아요? 우리는 그 이야기 거의 안 해요.” 직장생활을 하는 20대 딸에게 물었다. 그 반응도 의외였다. “우리는 예능 나부랭이나 만드는 사람들이야. 조국 이야기 같은 건 한 마디도 안 해.” 길드다 청년들은? 다섯 명 중 두 명은 대화 내내 핸드폰만 만지작거렸다. 관심도 없고 아는 것도 없고 그러니 할 이야기도 없다는 것이었다.      ‘정의연 사태’ 때도 비슷했다. 이번엔 후원금 문제가 불거졌는데 싱글이고 대학교수인 여동생은 ‘배신감’을 호소하고 당장 시민단체에 대한 모든 후원을 끊겠다고 펄펄 뛰었다. 반면 대안학교 학부모인 남동생은 ‘가짜뉴스’에 분노하며 정의연 30년 활동은 어떤 경우에도 폄하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시작한지 얼마 안 된 페이스북에서는 이런 양극단의 주장이 거의 분, 초 단위로 올라오고 있었고 서로가 서로에 대해 서슬 퍼렇게 ‘페삭’을 날리고 있었다. 그때도 청년들의 의견이 궁금했던 나는 스무 살 언저리 청년들과의 모임에서 “너넨 어떻게 생각해?”라고 물었다. 이번에도 대부분은 묵묵부답. 역시 관심도 없고 아는 것도 없다고 했다.      그런데 이번엔 좀 달랐다. 이번 ‘박원순 사태’ 때 주변 청년들은 즉각적으로 반응했고 직관적으로 분노했다. 누군가는 이런 사회에서 절대 아이 같은 건 낳을 수 없다고 했고, 또 누군가는...
문탁
2020.07.20 | 조회 157
지난 연재 읽기 뚜벅뚜벅 마을경제학
  [뚜벅뚜벅 마을경제학개론 #8] 공유지는 살아있다   생소한 단어 ‘공유지’는 어느 날 갑자기 내게 훅 들어왔다. 작업장을 만들고 일년쯤 지나서이다. 좁은 공간에서 어느 날은 빵을 굽고 어느 날엔 미싱을 돌리면서 복작복작 거리다보니 공간부족에 대한 어려움이 하나둘 늘어났다. 거기에 더해 다양한 꿈들이 새록 새록 생겨나고 있었다. 청년들이 공연도 하고 아지트를 벌일 수 있는 곳, 다양한 활동을 벌이고 더 많은 이들고 만나 친구가 될 수 있는 그런 장소에 대한 꿈이 커져 갔다. 문탁네트워크 맞은 편에는 걸핏하면 간판이 바뀌는 음식점이 하나 있었다. 새로 개업하고 좀 지나면 문 닫는 날이 점점 늘어나는 패턴이 반복되는 그런 가게자리였다. 아마도 짐작컨대 넓은 홀을 다 채울 만큼 장사가 잘 되지 않으니 차라리 영업을 안 하는게 덜 손해인 상황이 반복되는 듯 했다. 장사가 지지리도 안 되는 그 자리에 문탁의 세 번째 활동공간을 만들자고 누군가 제안했다. 보증금이며 공사비용까지 따져보면 이제껏 벌여온 일들과는 규모가 다른 일이 될 게 뻔했다. 월세며 각종 공간유지비용만 해도 만만치 않을 텐데 과연 우리가 감당할 수 있을까. 그래도 넓은 공간에 마음껏 활동을 펼치고 사람들이 모여드는 걸 상상하니 어떻게든 해보고 싶다는 마음이 더 컸다. 공간을 계약한 뒤 준비단계에서 마을카페, 마을쌀롱 등으로 칭해지던 공간은 언제부턴가 공유지라 불리게 되었다. 그리고 마침내 2013년 가을, <마을공유지 파지사유>는 문탁네트워크 사람들의 삶에 끼어들었다.     공유지 X – file   개업 이후 파지사유에서는 가지각색의...
  [뚜벅뚜벅 마을경제학개론 #8] 공유지는 살아있다   생소한 단어 ‘공유지’는 어느 날 갑자기 내게 훅 들어왔다. 작업장을 만들고 일년쯤 지나서이다. 좁은 공간에서 어느 날은 빵을 굽고 어느 날엔 미싱을 돌리면서 복작복작 거리다보니 공간부족에 대한 어려움이 하나둘 늘어났다. 거기에 더해 다양한 꿈들이 새록 새록 생겨나고 있었다. 청년들이 공연도 하고 아지트를 벌일 수 있는 곳, 다양한 활동을 벌이고 더 많은 이들고 만나 친구가 될 수 있는 그런 장소에 대한 꿈이 커져 갔다. 문탁네트워크 맞은 편에는 걸핏하면 간판이 바뀌는 음식점이 하나 있었다. 새로 개업하고 좀 지나면 문 닫는 날이 점점 늘어나는 패턴이 반복되는 그런 가게자리였다. 아마도 짐작컨대 넓은 홀을 다 채울 만큼 장사가 잘 되지 않으니 차라리 영업을 안 하는게 덜 손해인 상황이 반복되는 듯 했다. 장사가 지지리도 안 되는 그 자리에 문탁의 세 번째 활동공간을 만들자고 누군가 제안했다. 보증금이며 공사비용까지 따져보면 이제껏 벌여온 일들과는 규모가 다른 일이 될 게 뻔했다. 월세며 각종 공간유지비용만 해도 만만치 않을 텐데 과연 우리가 감당할 수 있을까. 그래도 넓은 공간에 마음껏 활동을 펼치고 사람들이 모여드는 걸 상상하니 어떻게든 해보고 싶다는 마음이 더 컸다. 공간을 계약한 뒤 준비단계에서 마을카페, 마을쌀롱 등으로 칭해지던 공간은 언제부턴가 공유지라 불리게 되었다. 그리고 마침내 2013년 가을, <마을공유지 파지사유>는 문탁네트워크 사람들의 삶에 끼어들었다.     공유지 X – file   개업 이후 파지사유에서는 가지각색의...
뚜버기
2020.07.10 | 조회 558
지난 연재 읽기 둥글레의 인문약방
[둥글레의 인문약방 / 12화]     인문약방, 여기가 로두스다!     약사가 되기 싫었다 나는 약사라는 직업에 그다지 소명의식이 없었다. 약대 대신 미대에 가고 싶었다. 어릴 때부터 그림을 좋아했고 그 어떤 과목보다 미술 시간에 집중했다. 미술로 먹고 살 자신이 없어서 엄마가 권한 약대에 갔지만 미술은 내게 못다 이룬 꿈이었다. 약사가 되어서 돈을 벌게 되면 그 돈으로 미술을 공부하리라 마음먹었다. 실제로 스물아홉 되던 해에 국내 미술 대학원 두 곳에 지원했다. 한 곳은 무참하게 떨어졌고 다른 한 곳은 전문과 과정으로 합격했다. 서류전형인 곳에서는 인터뷰 내내 미술 전공이 아니라는 이유로 홀대받았고, 시험을 치른 곳은 탈락자가 한 명도 없어서 이건 뭔가 싶었다. 이럴 바에야 차라리 유학을 가서 제대로 공부하는 게 낫겠다는 결론이 났다. 학비가 비싼 미국에서 공부할 방법은 배운 게 도둑질이라고 미국 약사가 되는 것 밖에 별 수는 떠오르지 않았다. 미국 약사 면허를 따겠다고 세 가지 시험을 패스하고 일자리를 알아보고 인턴 약사에 지원하는 등 복잡하고 시간이 걸리는 일들을 하느라 미국을 세 번이나 다녀 왔다. 결국 미국에 가지 않게 되었지만 내가 그렇게까지 미술을 공부하려고 한 이유는 뭘까? 그렇게나 약사라는 일이 하기 싫었던 것일까? 한참 뒤에야 이런 질문을 스스로에게 해봤다. 생각해 보면 미술은 내게 현실을 부정하기 위한 ‘변명’ 같은 것이었다. ‘미술을 하지 못해서 내가 불행하구나!’라는 생각은 현실을 직시하지 못할 때면 떠오르곤 했다. 8년 전 오빠가 불의의...
[둥글레의 인문약방 / 12화]     인문약방, 여기가 로두스다!     약사가 되기 싫었다 나는 약사라는 직업에 그다지 소명의식이 없었다. 약대 대신 미대에 가고 싶었다. 어릴 때부터 그림을 좋아했고 그 어떤 과목보다 미술 시간에 집중했다. 미술로 먹고 살 자신이 없어서 엄마가 권한 약대에 갔지만 미술은 내게 못다 이룬 꿈이었다. 약사가 되어서 돈을 벌게 되면 그 돈으로 미술을 공부하리라 마음먹었다. 실제로 스물아홉 되던 해에 국내 미술 대학원 두 곳에 지원했다. 한 곳은 무참하게 떨어졌고 다른 한 곳은 전문과 과정으로 합격했다. 서류전형인 곳에서는 인터뷰 내내 미술 전공이 아니라는 이유로 홀대받았고, 시험을 치른 곳은 탈락자가 한 명도 없어서 이건 뭔가 싶었다. 이럴 바에야 차라리 유학을 가서 제대로 공부하는 게 낫겠다는 결론이 났다. 학비가 비싼 미국에서 공부할 방법은 배운 게 도둑질이라고 미국 약사가 되는 것 밖에 별 수는 떠오르지 않았다. 미국 약사 면허를 따겠다고 세 가지 시험을 패스하고 일자리를 알아보고 인턴 약사에 지원하는 등 복잡하고 시간이 걸리는 일들을 하느라 미국을 세 번이나 다녀 왔다. 결국 미국에 가지 않게 되었지만 내가 그렇게까지 미술을 공부하려고 한 이유는 뭘까? 그렇게나 약사라는 일이 하기 싫었던 것일까? 한참 뒤에야 이런 질문을 스스로에게 해봤다. 생각해 보면 미술은 내게 현실을 부정하기 위한 ‘변명’ 같은 것이었다. ‘미술을 하지 못해서 내가 불행하구나!’라는 생각은 현실을 직시하지 못할 때면 떠오르곤 했다. 8년 전 오빠가 불의의...
둥글레
2020.07.02 | 조회 611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