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연재 읽기 한뼘 양생
  믿어지지 않겠지만 나는 집순이다. “둥글레가 집순이라니 믿어지지 않아!”라고 말하는 소리가 들리는 것 같다. 어려서부터 집안에서 뽀시락 거리며 뭘 만드는 걸 좋아했다. 움직이는 걸 싫어해서 집안에서 걷지 않고 굴러다닌 적도 있다. 한마디로 말해서 운동하기를 싫어했다. 그런데 형제들도 그렇고 운동신경은 발달한 편이어서 운동을 하면 곧 잘 배운다. 스노보드도 하루 만에 뒤로 내려오는 것까지 마스터했다. 이런 나의 성향들이 합해져 나오는 결과는 늘 정해졌다. 어떤 운동에 꽂히면 빨리 배워서 오버하다 금방 질리고 만다. 결국 운동이 루틴이 되질 못한다.    운동을 하지 않아도 그럭저럭 버티다가 작년에 문제가 생겼다. 작년이 운기적으로 폐나 기관지에 염증이 생기기 쉬운 해였다. 코로나 유행만큼이나 내 기관지 염증도 계속되었다. 기관지가 좁아져서 나오는 천명음에 잠을 깨다 보니 푹 잘 수가 없었다. 54일간 지속된 장마에 기관지 상태는 더욱 악화되었다. 기침과 가래를 달고 살았다. 운동을 해서 습을 말리고 기운을 돌리지 않으면 천식은 더욱 심해질 거라는 판단이 섰다. 해서 큰맘 먹고 필라테스 PT를 시작했다. 인도 여행을 하겠다고 모아 둔 목돈이 들어갔다. 스스로 만들지 못한 운동 루틴을 남들처럼 돈의 힘을 빌어서 시도해본 거다.    처음에 돈의 힘은 효과가 있었다. 운동을 하니 호흡을 깊게 하게 되었고 몸의 순환이 좋아졌다. 하지만 주 2회로 한정된 운동 횟수와 비싼 기구와 트레이너에 의존적인 상황은 내게 자율성을 만들어 내지 못했다. 운동이 일상화가 되지 못하고 이벤트가 되었다. 게다가 코로나 상황에 따라 운동 센터가...
  믿어지지 않겠지만 나는 집순이다. “둥글레가 집순이라니 믿어지지 않아!”라고 말하는 소리가 들리는 것 같다. 어려서부터 집안에서 뽀시락 거리며 뭘 만드는 걸 좋아했다. 움직이는 걸 싫어해서 집안에서 걷지 않고 굴러다닌 적도 있다. 한마디로 말해서 운동하기를 싫어했다. 그런데 형제들도 그렇고 운동신경은 발달한 편이어서 운동을 하면 곧 잘 배운다. 스노보드도 하루 만에 뒤로 내려오는 것까지 마스터했다. 이런 나의 성향들이 합해져 나오는 결과는 늘 정해졌다. 어떤 운동에 꽂히면 빨리 배워서 오버하다 금방 질리고 만다. 결국 운동이 루틴이 되질 못한다.    운동을 하지 않아도 그럭저럭 버티다가 작년에 문제가 생겼다. 작년이 운기적으로 폐나 기관지에 염증이 생기기 쉬운 해였다. 코로나 유행만큼이나 내 기관지 염증도 계속되었다. 기관지가 좁아져서 나오는 천명음에 잠을 깨다 보니 푹 잘 수가 없었다. 54일간 지속된 장마에 기관지 상태는 더욱 악화되었다. 기침과 가래를 달고 살았다. 운동을 해서 습을 말리고 기운을 돌리지 않으면 천식은 더욱 심해질 거라는 판단이 섰다. 해서 큰맘 먹고 필라테스 PT를 시작했다. 인도 여행을 하겠다고 모아 둔 목돈이 들어갔다. 스스로 만들지 못한 운동 루틴을 남들처럼 돈의 힘을 빌어서 시도해본 거다.    처음에 돈의 힘은 효과가 있었다. 운동을 하니 호흡을 깊게 하게 되었고 몸의 순환이 좋아졌다. 하지만 주 2회로 한정된 운동 횟수와 비싼 기구와 트레이너에 의존적인 상황은 내게 자율성을 만들어 내지 못했다. 운동이 일상화가 되지 못하고 이벤트가 되었다. 게다가 코로나 상황에 따라 운동 센터가...
둥글레
2021.09.06 | 조회 373
지난 연재 읽기 한뼘 양생
  올 여름 폭염이 기승을 부렸다.(자료에 의하면 37일간 폭염경보가 계속되었다고 한다) 아침부터 에어컨을 트는 파지사유에서는 그런대로 견딜만했다. 그러나 집에 오면 온 집안 기물들이 전부 열기를 뿜었다. 서향이라 오후 세시쯤부터 넘어가는 햇빛이 쏟아져 들어오기 때문이었다. 집안의 창문을 다 열어 놓고 찬물로 샤워를 하고 선풍기를 풀가동해도 열이 식지 않았다. 저절로 냉커피를 찾게 되었다. 그래도 잠자리에 들면 열기 때문에 뒤척이기 일쑤였다. 이런 여름엔 어떻게 일상을 지내는 것이 몸을 잘 보살피는 양생일까 궁금해서 요즘 공부하고 있는 『동의보감』을 펼쳤다.       네 계절 중 여름철이 가장 조섭하게 힘드네 묵은 추위 몸 안에 숨어 있어 배가 차네 보신할 탕약이 없어서는 안 될 것 싸늘하게 식은 음식 입에 대지 말지어다 심장 기운 왕성함과 신장 기운 쇠약함을 금해야 하지만 특히 정(精)과 기(氣)의 유설을 꺼려야 할 것 자는 곳은 삼가 문을 꼭꼭 문을 닫고 생각을 가라앉혀 마음을 평화로이 하라 얼음물과 찬 과실도 몸에 좋지 않아 가을철 반드시 학질을 일으킨다네 『한 권으로 읽는 동의보감』 536쪽 「위생가(衛生歌)」    위의 노래에서는 여름의 더위를 찬 기운으로 다스리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 몸 안이 차지면 오장육부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보다는 여름의 더위를 피하지 말고 땀을 내서 기운을 밖으로 보내는 것이 양생의 도라고 한다. 하지만 올 여름의 폭염은 여름의 양생의 도를 따르기에는 너무 심했다. 양산 없이 밖을 나가는 것은 엄두도 못 냈고, 잠깐만 나갔다와도...
  올 여름 폭염이 기승을 부렸다.(자료에 의하면 37일간 폭염경보가 계속되었다고 한다) 아침부터 에어컨을 트는 파지사유에서는 그런대로 견딜만했다. 그러나 집에 오면 온 집안 기물들이 전부 열기를 뿜었다. 서향이라 오후 세시쯤부터 넘어가는 햇빛이 쏟아져 들어오기 때문이었다. 집안의 창문을 다 열어 놓고 찬물로 샤워를 하고 선풍기를 풀가동해도 열이 식지 않았다. 저절로 냉커피를 찾게 되었다. 그래도 잠자리에 들면 열기 때문에 뒤척이기 일쑤였다. 이런 여름엔 어떻게 일상을 지내는 것이 몸을 잘 보살피는 양생일까 궁금해서 요즘 공부하고 있는 『동의보감』을 펼쳤다.       네 계절 중 여름철이 가장 조섭하게 힘드네 묵은 추위 몸 안에 숨어 있어 배가 차네 보신할 탕약이 없어서는 안 될 것 싸늘하게 식은 음식 입에 대지 말지어다 심장 기운 왕성함과 신장 기운 쇠약함을 금해야 하지만 특히 정(精)과 기(氣)의 유설을 꺼려야 할 것 자는 곳은 삼가 문을 꼭꼭 문을 닫고 생각을 가라앉혀 마음을 평화로이 하라 얼음물과 찬 과실도 몸에 좋지 않아 가을철 반드시 학질을 일으킨다네 『한 권으로 읽는 동의보감』 536쪽 「위생가(衛生歌)」    위의 노래에서는 여름의 더위를 찬 기운으로 다스리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 몸 안이 차지면 오장육부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보다는 여름의 더위를 피하지 말고 땀을 내서 기운을 밖으로 보내는 것이 양생의 도라고 한다. 하지만 올 여름의 폭염은 여름의 양생의 도를 따르기에는 너무 심했다. 양산 없이 밖을 나가는 것은 엄두도 못 냈고, 잠깐만 나갔다와도...
기린
2021.08.24 | 조회 379
지난 연재 읽기 한뼘 양생
     최악의 여름을 보내고 있다. 코로나와 무더위 때문만이 아니라 이것을 견딜 수 있는 나의 체력, 면역력이 바닥을 치고 있기 때문이다. 본투비 저질체력임에도 불구하고 나름 적절히 관리하면서 버텨왔다고 생각했는데 이번엔 달랐다. 한번 놓친 리듬은 돌아오지 않았다. 내 몸의 회복탄성지수가 거의 제로수준으로 떨어진 것 같았다. 친구들은 나에게 제발 좀 쉬라고, 절대적으로 휴식이 필요하다고 충고했다. 의사들은 산책도 등산도, 그 어떤 운동도 멈추고 겨울잠을 자는 개구리처럼 남아있는 에너지를 보존하면서 움츠려 있으라고 경고했다. 그런데 어떻게? 잡혀진 강의, 회의, 세미나는 다 어쩌구? 함께 모시고 살며 돌봐드려야 하는 어머니는 또 어쩌구?        동생은 강의 따위가 대수냐고, 죽을병에 걸렸다고 생각하고 모든 것을 중단하고 쉬어야 제대로 쉴 수 있다고 잔소리를 해댔다. 그러면서도 그 애는 이사 갈 집에 페인트칠한 게 아직 마르지 않았다며, 또 짐정리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며, 자잘한 수리들이 아직도 남았다면서 우리 집에서 한 달 넘게 게기고 있었다. 웬수가 따로 없었다. 성질 같아서는 그래, 네가 집에 있는 동안 엄마 좀 돌봐드려. 장도 보고, 간병인 아주머니 업무 지시도 하고, 엄마 짜증도 받아내. 그리고 어디론가 확 떠나고 싶었다. 사실 휴식과 관련해서 가장 유명한 카피는 “열심히 일한 당신, 떠나라!” 라는 2000년대 초 모 카드회사 광고가 아니었던가?        당장의 과업들을 중단하기 어려운 것도 문제지만 과업들을 중단한다손 치더라도 그래서 늘어난 휴식 시간을 어찌 보내야 하는지도 좀 애매했다. 평상시 같으면...
     최악의 여름을 보내고 있다. 코로나와 무더위 때문만이 아니라 이것을 견딜 수 있는 나의 체력, 면역력이 바닥을 치고 있기 때문이다. 본투비 저질체력임에도 불구하고 나름 적절히 관리하면서 버텨왔다고 생각했는데 이번엔 달랐다. 한번 놓친 리듬은 돌아오지 않았다. 내 몸의 회복탄성지수가 거의 제로수준으로 떨어진 것 같았다. 친구들은 나에게 제발 좀 쉬라고, 절대적으로 휴식이 필요하다고 충고했다. 의사들은 산책도 등산도, 그 어떤 운동도 멈추고 겨울잠을 자는 개구리처럼 남아있는 에너지를 보존하면서 움츠려 있으라고 경고했다. 그런데 어떻게? 잡혀진 강의, 회의, 세미나는 다 어쩌구? 함께 모시고 살며 돌봐드려야 하는 어머니는 또 어쩌구?        동생은 강의 따위가 대수냐고, 죽을병에 걸렸다고 생각하고 모든 것을 중단하고 쉬어야 제대로 쉴 수 있다고 잔소리를 해댔다. 그러면서도 그 애는 이사 갈 집에 페인트칠한 게 아직 마르지 않았다며, 또 짐정리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며, 자잘한 수리들이 아직도 남았다면서 우리 집에서 한 달 넘게 게기고 있었다. 웬수가 따로 없었다. 성질 같아서는 그래, 네가 집에 있는 동안 엄마 좀 돌봐드려. 장도 보고, 간병인 아주머니 업무 지시도 하고, 엄마 짜증도 받아내. 그리고 어디론가 확 떠나고 싶었다. 사실 휴식과 관련해서 가장 유명한 카피는 “열심히 일한 당신, 떠나라!” 라는 2000년대 초 모 카드회사 광고가 아니었던가?        당장의 과업들을 중단하기 어려운 것도 문제지만 과업들을 중단한다손 치더라도 그래서 늘어난 휴식 시간을 어찌 보내야 하는지도 좀 애매했다. 평상시 같으면...
문탁
2021.08.10 | 조회 395
지난 연재 읽기 한뼘 양생
평소 내가 좋아하는 산책코스는 집 근처에 있는 백운호수였다. 그런데 지난 5월부터는 이 코스가 청계산으로 바뀌었다. 청계산은 집에서 차로 20분 정도 가야 해서, 백운호수보다 접근성이 떨어진다. 그래서일까? 청계산은 주말에 등산객들이 몰려올 때 빼고는, 어느 시간대에 가도 사람이 적고 한적했다. 아니 사람이 적다기보다는 산자락이 넉넉해 아파트 평수나 따지는 우리의 눈에는 언제나 널찍하고 텅 비어 보였다. 나 하나쯤 왔단 간 흔적조차 남지 않을 만큼 청계산은 ‘쏘쿨’했다.   올해 초, 나는 만성 신부전 진단을 받고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을 병행하고 있었다. 소금이 덜 들어간 식단은 입에 맞지 않았고, 하루 일과 가운데 1만보씩 걷는 시간을 규칙적으로 넣는 일도 쉽지 않았다. 낮에 바빠서 걷지 못한 날에는 하는 수 없이 달밤에 산책을 했다. 이런 강박이 스트레스가 되고 피로가 되었는지, 4월과 5월 검사결과가 좋지 못했다. 한다고 하는데도 검사결과가 나쁘게 나오니 실망이 컸다. ‘한 번 나빠진 신장은 돌이킬 수 없다더니, 진짜구나!’, ‘이제는 더 나빠지는 일만 남은 건가?’. 다시 식단조절을 하고 운동을 할 의욕이 생기지 않았다. 그러니까 내가 이름만 들어봤던 청계산에 가봐야겠다는 생각이 불현 듯 들었을 때, 나는 의욕부진과 자포자기의 심정이었다.   뭔가 일이 안 풀릴 때 산에 가는 일에 대해 나는 TV프로그램 ‘자연인’을 떠올리며 썩 내켜하지 않았다. ‘아재’나 ‘루저’스럽다고 생각했다. 이런 시큰둥한 마음과 달리, 청계산에 도착했을 때 내 발걸음은 빨라졌다. 코는 벌렁거리며 산 냄새를 맡고, 폐는 크게 심호흡을 하고, 머릿속은 단박에...
평소 내가 좋아하는 산책코스는 집 근처에 있는 백운호수였다. 그런데 지난 5월부터는 이 코스가 청계산으로 바뀌었다. 청계산은 집에서 차로 20분 정도 가야 해서, 백운호수보다 접근성이 떨어진다. 그래서일까? 청계산은 주말에 등산객들이 몰려올 때 빼고는, 어느 시간대에 가도 사람이 적고 한적했다. 아니 사람이 적다기보다는 산자락이 넉넉해 아파트 평수나 따지는 우리의 눈에는 언제나 널찍하고 텅 비어 보였다. 나 하나쯤 왔단 간 흔적조차 남지 않을 만큼 청계산은 ‘쏘쿨’했다.   올해 초, 나는 만성 신부전 진단을 받고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을 병행하고 있었다. 소금이 덜 들어간 식단은 입에 맞지 않았고, 하루 일과 가운데 1만보씩 걷는 시간을 규칙적으로 넣는 일도 쉽지 않았다. 낮에 바빠서 걷지 못한 날에는 하는 수 없이 달밤에 산책을 했다. 이런 강박이 스트레스가 되고 피로가 되었는지, 4월과 5월 검사결과가 좋지 못했다. 한다고 하는데도 검사결과가 나쁘게 나오니 실망이 컸다. ‘한 번 나빠진 신장은 돌이킬 수 없다더니, 진짜구나!’, ‘이제는 더 나빠지는 일만 남은 건가?’. 다시 식단조절을 하고 운동을 할 의욕이 생기지 않았다. 그러니까 내가 이름만 들어봤던 청계산에 가봐야겠다는 생각이 불현 듯 들었을 때, 나는 의욕부진과 자포자기의 심정이었다.   뭔가 일이 안 풀릴 때 산에 가는 일에 대해 나는 TV프로그램 ‘자연인’을 떠올리며 썩 내켜하지 않았다. ‘아재’나 ‘루저’스럽다고 생각했다. 이런 시큰둥한 마음과 달리, 청계산에 도착했을 때 내 발걸음은 빨라졌다. 코는 벌렁거리며 산 냄새를 맡고, 폐는 크게 심호흡을 하고, 머릿속은 단박에...
겸목
2021.07.27 | 조회 454
지난 연재 읽기 한뼘 양생
  조금이라도 일어나서 돌아다녀야 한다     문탁에서 공부를 시작하면서 가장 많이 들은 말 중 하나가 “공부는 엉덩이의 힘으로 한다”이다. 그만큼 책상 위에 앉아 있는 시간이 공부에는 절대적이라는 말이다. 처음에 이 말을 들었을 때 머리가 좋아야 공부를 잘한다는 말이 아니어서 좋았다. 누구나 엉덩이의 힘만 있다면 공부를 해나갈 수 있는 거구나! 희망이 생기는 말이었다. 실제 루쉰을 공부할 때는 루쉰에 푹 빠져서 고3 때보다 오래 책상에 앉아 시간을 보내기도 했다. 그럼에도 내 엉덩이 힘이 진짜 발휘될 때는 따로 있다. 그것은 바로 동영상(영화나 드라마 등)을 시청할 때다. 인생에 도움이 안 된다며 30대 초에 TV를 없앴지만 외국어 공부를 핑계로 일드, 미드를 보느라 컴퓨터 앞에서 밤을 새우기 일쑤였다. 지금은 OTT 스트리밍 서비스를 보기 위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들고 침대로 향한다. 이젠 엉덩이의 힘도 필요 없는 시절이 되었다. 침대 위에서 누워서 보거나 비스듬히 앉아서 보거나.          이렇게 움직이지 않고 의자 위에서나 침대 위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고 나면 몸 컨디션이 급속히 저하되곤 한다. 공부도 몰아서 하고 나면 몸이 안 좋아진다. 처음엔 이런 습관이 안 좋은 이유는 단지 밤 시간에 잠을 푹 못 자서라 생각했다. 그러다 ‘인문의역학 세미나’에서 읽은 빌 브라이슨의 『바디, 우리 몸 안내서』에서 뭔가를 발견했다. 그는 여러 래퍼런스를 종합해 아래와 같이 적고 있다. “놀랍게도, 그리고 우려스럽게도, 나머지 시간에 운동을 얼마나 하느냐는 중요하지 않은 듯하다....
  조금이라도 일어나서 돌아다녀야 한다     문탁에서 공부를 시작하면서 가장 많이 들은 말 중 하나가 “공부는 엉덩이의 힘으로 한다”이다. 그만큼 책상 위에 앉아 있는 시간이 공부에는 절대적이라는 말이다. 처음에 이 말을 들었을 때 머리가 좋아야 공부를 잘한다는 말이 아니어서 좋았다. 누구나 엉덩이의 힘만 있다면 공부를 해나갈 수 있는 거구나! 희망이 생기는 말이었다. 실제 루쉰을 공부할 때는 루쉰에 푹 빠져서 고3 때보다 오래 책상에 앉아 시간을 보내기도 했다. 그럼에도 내 엉덩이 힘이 진짜 발휘될 때는 따로 있다. 그것은 바로 동영상(영화나 드라마 등)을 시청할 때다. 인생에 도움이 안 된다며 30대 초에 TV를 없앴지만 외국어 공부를 핑계로 일드, 미드를 보느라 컴퓨터 앞에서 밤을 새우기 일쑤였다. 지금은 OTT 스트리밍 서비스를 보기 위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들고 침대로 향한다. 이젠 엉덩이의 힘도 필요 없는 시절이 되었다. 침대 위에서 누워서 보거나 비스듬히 앉아서 보거나.          이렇게 움직이지 않고 의자 위에서나 침대 위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고 나면 몸 컨디션이 급속히 저하되곤 한다. 공부도 몰아서 하고 나면 몸이 안 좋아진다. 처음엔 이런 습관이 안 좋은 이유는 단지 밤 시간에 잠을 푹 못 자서라 생각했다. 그러다 ‘인문의역학 세미나’에서 읽은 빌 브라이슨의 『바디, 우리 몸 안내서』에서 뭔가를 발견했다. 그는 여러 래퍼런스를 종합해 아래와 같이 적고 있다. “놀랍게도, 그리고 우려스럽게도, 나머지 시간에 운동을 얼마나 하느냐는 중요하지 않은 듯하다....
둥글레
2021.07.13 | 조회 368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