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카메오 열전 14회] 제 경공, 임금답다는 것

진달래
2023-12-05 20:04
300

제경공이 공자에게 정치에 대해 물었다. 공자께서 대답하셨다. “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다우며, 아버지는 아버지답고 아들은 아들다워야 합니다.” 제경공이 말했다. “훌륭하십니다! 진실로 임금이 임금답지 못하고 신하가 신하답지 못하며, 아버지가 아버지답지 못하고 아들이 아들답지 못하다면, 비록 곡식이 있더라도 제가 그것을 먹을 수 있겠습니까?”(齊景公問政於孔子 孔子對曰 君君 臣臣 父父 子子 公曰 善哉 信如君不君 臣不臣 父不父 子不子 雖有粟 吾得而食諸) 「안연,11」

 

  1. 공자가 만난 제 경공

 

제나라 26대 군주인 경공(景公/재위 기원전 548~기원전490)은 대부인 최저에게 시해된 장공(莊公)의 이복동생으로 장공이 시해된 후 최저에 의해 옹립되었다. 최저의 권력은 끝이 없을 것 같았지만 얼마 뒤 그는 그의 측근인 경봉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 경봉 역시 얼마 못가 그의 수하에 의해 죽임을 당한다. 그 뒤에 제나라의 권력은 네 집안, 국(國)씨, 고(高)씨, 포(鮑)씨, 전(田)씨가 힘의 균형을 이루면서 안정되게 되었다.

공자와 같은 시기를 살았던 제 경공은 공자와 세 번 정도 만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먼저 공자가 30대 초반일 때 노나라에 온 제 경공과 안자를 만났다고 한다. 다음에는 30대 중반의 공자가 제나라로 가 경공을 만났다. 마지막으로 50대에 이르러 대사구의 직책을 맡게 된 공자가 제 경공과 노 정공의 회담을 주관하면서 만나게 되었다.

『논어』에도 제 경공에 대한 기록이 세 차례 보인다. 그 중 두 개가 30대 중반의 공자가 제나라에 갔을 때, 경공을 만나는 장면이다. 공자를 만난 제 경공은 그에게 ‘정치’에 대해 물어본다. 이 때 공자는 “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다우며, 아버지는 아버지답고 아들은 아들다워야 합니다.”라고 대답했다. 어쩌면 『논어』 가운데 가장 유명한 문장이라고 할 수 있는 이 말을 듣고 제 경공은 몹시 기뻤다. 마음에 쏙 들었기 때문이다. 경공은 공자를 바로 등용하겠다고 말했다.

 

제나라 경공이 공자를 대우하는 일에 대해 말했다.

“계씨와 같이 대우할 수는 없지만, 계씨와 맹씨의 중간으로 대우하겠습니다.”

나중에 다시 경공이 말했다.

“내가 늙어서 그대를 등용할 수 없습니다.”

이 말을 듣고 공자께서 제나라를 떠나셨다. (齊景公待孔子曰 若季氏 則吾不能 以季·孟之間待之 曰 吾老矣 不能用也 孔子行) 「미자,3」

 

당시 노나라의 권력자였던 계씨만큼은 안 되지만 계씨와 맹씨의 중간 정도는 대우해 주겠노라고 약속까지 한 경공, 하지만 그는 공자를 등용하지 못했다. 경공의 최측근인 안자(晏子)가 반대했기 때문이다. 머쓱해진 경공은 공자를 만나 자기가 늙어서 그렇다며 말을 돌린다.

 

영화 '공자, 춘추전국시대' 중 제 경공의 모습

 

  1. 패셔니스타, 제 경공

 

제 경공에 대한 기록은 『사기』나, 『춘추좌전』보다 『안자춘추(晏子春秋)』에서 자세하게 볼 수 있다. 『안자춘추』는 안자(晏嬰)에 대한 기록이지만 안자가 제 경공의 최측근이었던 만큼 경공에 대한 기록도 적지 않게 볼 수 있다. 특히 경공에게 안자가 간언하는 내용 등을 통해 경공의 됨됨이를 유추해 볼 수 있다.

『안자춘추』 앞부분에는 연달아 술과 관련된 이야기가 나온다. 아마도 경공은 술꾼이었던 것 같다. 대부들의 집까지 찾아가 밤늦도록 술을 마시고 아침 조회에 늦는가 하면, 술자리에서 신하들과 너무 허물없이 어울리자, 안자가 경공에게 잔소리(?)를 한다.

경공은 옷차림에도 관심이 많았다. 요즘으로 치면 패셔니스타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좀 과한 패션으로 안자에게 또 잔소리를 듣는다. 영화 『공자, 춘추전국시대』에도 모피를 잔뜩 두른 제 경공이 노 정공과 회담을 하러 오는 장면을 볼 수 있다. 『안자춘추』에 따르면 경공은 호백구(狐白裘)를 즐겨 입었다고 한다. 지금으로 치면 여우 가죽으로 만든 흰 무스탕으로 이 당시에도 무척 고급 의상이었다. 어느 추운 날, 다들 추위에 떨고 있는데 호백구를 입은 경공이 자긴 하나도 안 춥다고 했다. 그러자 옆에 있던 안자가 백성들은 추위에 떨고 있는데 군주가 좋은 옷을 입고 안 춥다고 하는 건 군주가 가질 태도가 아니라고 간언한다. 그럼에도 경공의 패션에 대한 관심은 좀체 사라지지 않았던 모양이다. 다른 날에는 걸어 다니지 못할 정도로 무거운 옷을 입고, 때로는 옥 장식을 잔뜩 한 금으로 만든 신발을 신고 이번에는 발이 시리다고 했다.

경공의 사치스러움은 비단 옷에만 국한 된 것은 아니었다. 그는 궁전의 건물을 새로 짓고, 사냥개나 말을 기르는 것을 좋아했다. 경공이 즉위한지 32년이 되던 해, 혜성이 나타났다. 경공이 대신들이 모인 자리에서 탄식하며 말했다. “아, 이렇게 훌륭하고 당당한 나라를 누가 가지게 될까?” 이 말을 듣고 대신들이 다들 울고 있는데 안자 혼자 웃었다. 경공이 화를 내며 혜성이 나타나 제나라에 무슨 변고라도 생길까 걱정이 되어서 한 말인데 왜 웃느냐고 물었다. 안자가 이에 이렇게 높은 건물이나 짓고 연못을 만들면서 세금을 못 걷을까 걱정하니 혜성이 나타난 게 무슨 대수이겠냐며, 백성들의 원망이 이렇게 높으니 뭐가 재앙이겠냐며 핀잔을 줬다.

술 좋아하고 사치스러운 제 경공은 정치에 그닥 관심이 없는 듯하고, 군주가 지녀야 하는 위엄 같은 것도 별로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그의 즉위 과정을 보면 이런 태도가 아주 이해가 안 되는 건 아니다. 자기 의지로 군주가 되었다기보다, 최저에 의해 옹립된 그는 아마도 별달리 할 수 있는 일이 없었을 것이다. 당시 제나라는 대부들의 권력이 군주를 능가했고, 심지어 군주를 갈아치우는 일도 빈번하게 일어났기 때문이다.

 

  1. 환공을 닮고 싶었던 제 경공

 

그러나 『논어』에 보이는 공자와의 대화를 보면 경공이 정치에 아주 관심이 없었던 것 같진 않다. 또 제 경공의 재위 기간이 58년이나 되고, 그 사이 별 다른 큰 사건이 없었던 것으로 보아 정치를 잘했다고 할 수는 없지만 정치를 잘못했다고 할 수도 없을 듯하다. 제 경공의 치적은 여러 모로 제 환공과 비견되는데, 제 환공과 관중, 제 경공과 안자는 100여년을 사이에 두고 가장 안정된 국력과 위상을 자랑했기 때문이다.

정치가 무엇이냐고 묻는 경공에게 공자가 한 대답, 즉 군주는 군주다워야 하고, 신하는 신하다워야 한다고 하는 이 말은 당시 군주 노릇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고 스스로 생각하고 있던 제 경공에게 속이 시원한 말이었을 수 있다. 혹 공자의 대답을 듣고 경공은 명군(名君)까지는 아니어도 제대로 군주 노릇을 한 번 해 볼 수 있지 않을까 내심 기대하지 않았을까? 아니 제 환공과 같은 패자가 되어보고 싶지 않았을까? 그래서 공자의 등용을 흔쾌히 약속했을 것이다. 그러나 이는 공자와 같은 유자(儒者)의 정치를 번거롭게 여긴 안자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한편 여기에는 공자와 같은 외부 세력이 들어오면 간신히 유지되고 있는 대부들 간의 세력 균형이 무너져, 나라가 위태로워질지 모른다는 안자의 걱정도 들어 있었다.

제 경공의 치세에 가장 큰 역할을 한 것은 안자였다. 그는 다른 대부들에게 휩쓸리지 않았고, 경공의 칭찬이나, 비난에도 별로 영향을 받지 않았다. 군주에게도 하고 싶은 말을 다 했던 안자는 경공이 자기 말을 안 들어주면 심지어 그만두겠다는 협박(?)도 서슴지 않았다. 그러면 경공이 가장 잘 한일은 무엇일까? 그건 안자의 말을 잘 들은 것이다.

이는 제 환공과 제 경공의 공통점이라고 할 수 있는데 관중의 말을 잘 들은 환공, 안자의 말을 잘 들은 경공. 공교롭게도 이 두 사람은 관중과 안자가 죽은 이후에 후계자를 제대로 세우지 못하였고, 그들 사후에 제나라를 큰 혼란에 빠뜨렸다.

 

 

  1. 임금답다는 것

 

한편 제 경공이 공자의 말을 듣고 좋아했다고 했으나, 정말 그가 공자가 한 말을 제대로 이해한 것인지는 따져 볼 필요가 있다. 그러면 ‘임금이 임금답다’는 말은 무엇일까? 『대학』에 왕의 도성에는 백성들이 살고, 울창한 산언덕에는 꾀꼬리가 산다는 말이 있다. 새도 자기가 머물 곳을 아는데 하물며 사람이 자기가 있을 곳을 알지 못하겠느냐고 하면서 성왕(聖王)으로 알려진 주(周)나라의 문왕(文王)의 처신에 대해 말한다.

 

“다른 사람의 군주가 되어서는 인에 머물렀고 다른 사람의 신하가 되어서는 경에 머물렀고, 다른 사람의 자식이 되어서는 효에 머물렀고, 다른 사람의 아버지가 되어서는 자애에 머물렀으며, 나라 사람들과 사귐에는 신에 머무르셨도다”(爲人君止於仁 爲人臣止於敬 爲人子止於孝 爲人父止於慈 與國人交止於信) 『대학』 전3장

 

포인트는 문왕이라고 하더라도 자기가 어떤 자리에 있느냐에 따라 해야 할 일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그러면 안자의 말을 잘 들은 것이 제 경공의 처지에서 보자면 ‘임금다움’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니 58년이나 되는 재위 기간을 별 탈 없이 보낸 것은 아닐까. 하지만 ‘00이 00답기’ 위해서는 ‘절차탁마(切磋琢磨)’의 자세가 필요하다. 즉 자기 수양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하는 것이다. 군주답다는 것은 어떤 고정된 것이 아니라 스스로 군주답기 위해서 꾸준히 고민하고 노력해야 하는 것이다. 사실 안자가 꾸준히 경공에게 한 간언이 모두 그를 군주답게 만들어 주는 말들이었다. 신하들과 허물없이 술을 마시지 말고, 백성들은 춥고 배고파하는데 혼자 잘 먹고 잘 입는 것을 과시하지 말고, 세금을 많이 걷지 말고, 등등. 그러나 제 경공은 안자가 말을 하면 자기 태도를 반성하고 고치기는 하였으나 그것을 자기 것으로 내면화하지는 못했다.

그러한 제 경공에 대하여 『논어』에 공자의 한 줄 평이 남았다.

 

“제나라 경공이 말을 사천 필이나 가지고 있었지만, 그가 죽었을 때 백성들이 그의 덕을 칭송하지 않았다.”(齊景公有馬千駟, 死之日, 民無德而稱焉.)「계씨,12」

댓글 3
  • 2023-12-06 09:16

    제경공이 패셔니스타였군요. ㅎㅎㅎ

    그러게요....제 경공은 어떤 임금이었을까요?
    아니, 그 시절에 어떤 종류의 임금이 가능했을까요?

    다시 춘추전국시대 왕노릇이 궁금해집니다.

  • 2023-12-07 15:08

    춘추전국시대에는 군주보다 재상이 더 중요했을 것도 같네요.
    그럼에도 경공이 그리 오랫동안 왕자리를 지킨 것도 참 신기하기도 해요.
    대부들의 세력이 균형을 이루는게 그만큼 중요했었나봐요.

  • 2023-12-08 11:03

    패셔니스타 제경공^^ 재밋게 잘 읽었어용~*

우현의 독서가 테크트리
  “아 테스형!” 삶의 지혜를 소크라테스에게 묻는 것은 합당할까? : <철학 입문> 세미나를 들어야 하는 이유       ‘깨달은 자’의 대명사 소크라테스  “아 테스형!” ‘까’와 ‘빠’를 모두 미치게 만드는 ‘슈퍼스타’ 나훈아는 3년 전 자신의 신곡에서 이렇게 외쳤다. 살아가기 힘겨운 세상을 어떻게 견뎌낼 수 있냐는 질문을 소크라테스 ‘형’에게 물은 것이다. 오랜만에 컴백한 나훈아이기도 했지만, 재미있는 가사로 더욱 이슈가 됐었다. 특히 가사가 ‘철학적’이라는 반응과 함께, 힘든 세상에 대해 한탄하는 내용이 많은 공감을 불러일으킨 것 같다. 그렇다고 이 곡에 ‘소크라테스’의 철학이라던가, <독서가 테크트리>에서 다룰만한 ‘철학적’인 내용이 있는 건 아니다. 그저 소크라테스는 ‘철학자’의 전형으로, 머나먼 인생의 선배이자 ‘진리를 깨달은 자’의 의미의 ‘테스형’으로 쓰였을 뿐이다.  ‘소크라테스’의 이런 사용법은 흔한 편이다. 나도 온라인 대전 게임을 하다보면, 드물게 ‘소크라테스 컨셉’을 잡고 행동하는 유저를 만나곤 한다. 닉네임을 ‘Socrates’로 짓고, 칭호를 ‘철학가’나 ‘깨달은 자’로 달고, 게임 내내 채팅으로 ‘너 자신을 알라’고만 하는 식이다. 이처럼 소크라테스는 세상 만사를 깨달은 ‘철학자’의 아이콘이며, 근엄하고 흔들리지 않는 캐릭터로 인식되는 듯하다. 하지만 정말 소크라테스는 그러한 일반적 이미지와 같은 사람이었을까? 철학사에서 다뤄지는 ‘소크라테스’는 우리가 아는 소크라테스와 어떤 점이 다를까?     나훈아의 <테스형!> 무대. 배경 이미지로 올림푸스 신전과 소크라테스의 그래픽이 나타나는 게 나의 '웃음벨'이었다.     ‘철학의 아버지’, 그리고 ‘슈퍼스타’  우선 소크라테스가 ‘철학자’의 아이콘이라는 것에 대해 반론할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실제로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은 ‘자연...
  “아 테스형!” 삶의 지혜를 소크라테스에게 묻는 것은 합당할까? : <철학 입문> 세미나를 들어야 하는 이유       ‘깨달은 자’의 대명사 소크라테스  “아 테스형!” ‘까’와 ‘빠’를 모두 미치게 만드는 ‘슈퍼스타’ 나훈아는 3년 전 자신의 신곡에서 이렇게 외쳤다. 살아가기 힘겨운 세상을 어떻게 견뎌낼 수 있냐는 질문을 소크라테스 ‘형’에게 물은 것이다. 오랜만에 컴백한 나훈아이기도 했지만, 재미있는 가사로 더욱 이슈가 됐었다. 특히 가사가 ‘철학적’이라는 반응과 함께, 힘든 세상에 대해 한탄하는 내용이 많은 공감을 불러일으킨 것 같다. 그렇다고 이 곡에 ‘소크라테스’의 철학이라던가, <독서가 테크트리>에서 다룰만한 ‘철학적’인 내용이 있는 건 아니다. 그저 소크라테스는 ‘철학자’의 전형으로, 머나먼 인생의 선배이자 ‘진리를 깨달은 자’의 의미의 ‘테스형’으로 쓰였을 뿐이다.  ‘소크라테스’의 이런 사용법은 흔한 편이다. 나도 온라인 대전 게임을 하다보면, 드물게 ‘소크라테스 컨셉’을 잡고 행동하는 유저를 만나곤 한다. 닉네임을 ‘Socrates’로 짓고, 칭호를 ‘철학가’나 ‘깨달은 자’로 달고, 게임 내내 채팅으로 ‘너 자신을 알라’고만 하는 식이다. 이처럼 소크라테스는 세상 만사를 깨달은 ‘철학자’의 아이콘이며, 근엄하고 흔들리지 않는 캐릭터로 인식되는 듯하다. 하지만 정말 소크라테스는 그러한 일반적 이미지와 같은 사람이었을까? 철학사에서 다뤄지는 ‘소크라테스’는 우리가 아는 소크라테스와 어떤 점이 다를까?     나훈아의 <테스형!> 무대. 배경 이미지로 올림푸스 신전과 소크라테스의 그래픽이 나타나는 게 나의 '웃음벨'이었다.     ‘철학의 아버지’, 그리고 ‘슈퍼스타’  우선 소크라테스가 ‘철학자’의 아이콘이라는 것에 대해 반론할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실제로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은 ‘자연...
우현
2024.02.05 | 조회 330
한문이예술
  한자에서 느껴지는 모든 것   동은       1. 한자의 느낌적인 느낌   알려진 바와 같이 우리 말 단어의 상당수는 한자어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1948년 정부수립 이후 서서히 한자어를 한글로 표기하게 되면서 이른바 우리나라 고유어와 한자어의 구분이 어려워졌다. 그래서 오늘날에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단어에 어떤 한자가 사용되었는지 알아차리기가 어려워졌다. 예를 들면 ‘유람’과 ‘유랑’은 ‘여유롭게 돌아다닌다’는 어감이 비슷해보이지만 각각 놀 유遊와 흐를 류流로 다른 한자가 사용되어 ‘놀면서 돌아다니다’와 ‘목적없이 물 흐르듯 다닌다’는 차이가 있다. 이런 경우도 있다. ‘사전’은 ‘단어들을 모아 그 의미를 밝혀놓은 책’으로 말씀 사辭와 책 전典을 쓰는데, ‘백과사전’은 ‘여러 분야의 지식을 압축해 분류하고 모아 현상과 상태 자체를 모아 설명해 놓은 것’이라 이 때는 일 사事자를 사용한다. 이 事는 원래 ‘어떤 사람’을 지칭하는 한자였는데 오늘날에는 어떤 사건이나 일 자체를 의미하기도 해서 ‘일事’이 포괄하는 용례를 살펴보면 한자 하나로 얼마나 다층적인 의미로 쓰이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아시아의 근대화와 함께 중국 철학은 서구에서 성립된 근대 학문 체계로 편입되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중국 철학을 중국 자체의 시선으로 바라보려 했던 마르셀 그라네는 『중국 사유』에서 한자에 대해 이렇게 얘기했다.   “중국의 단어는 하나의 개념에 부응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하나의 단순한 기호도 아니며, 문법이나 통사의 기교를 통해서 생명을 부여받은 추상적 기호도 아니다. 그것은 불변의 단음절 형식과 중성적 양상 속에 작용을 미치는 데 필요한...
  한자에서 느껴지는 모든 것   동은       1. 한자의 느낌적인 느낌   알려진 바와 같이 우리 말 단어의 상당수는 한자어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1948년 정부수립 이후 서서히 한자어를 한글로 표기하게 되면서 이른바 우리나라 고유어와 한자어의 구분이 어려워졌다. 그래서 오늘날에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단어에 어떤 한자가 사용되었는지 알아차리기가 어려워졌다. 예를 들면 ‘유람’과 ‘유랑’은 ‘여유롭게 돌아다닌다’는 어감이 비슷해보이지만 각각 놀 유遊와 흐를 류流로 다른 한자가 사용되어 ‘놀면서 돌아다니다’와 ‘목적없이 물 흐르듯 다닌다’는 차이가 있다. 이런 경우도 있다. ‘사전’은 ‘단어들을 모아 그 의미를 밝혀놓은 책’으로 말씀 사辭와 책 전典을 쓰는데, ‘백과사전’은 ‘여러 분야의 지식을 압축해 분류하고 모아 현상과 상태 자체를 모아 설명해 놓은 것’이라 이 때는 일 사事자를 사용한다. 이 事는 원래 ‘어떤 사람’을 지칭하는 한자였는데 오늘날에는 어떤 사건이나 일 자체를 의미하기도 해서 ‘일事’이 포괄하는 용례를 살펴보면 한자 하나로 얼마나 다층적인 의미로 쓰이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아시아의 근대화와 함께 중국 철학은 서구에서 성립된 근대 학문 체계로 편입되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중국 철학을 중국 자체의 시선으로 바라보려 했던 마르셀 그라네는 『중국 사유』에서 한자에 대해 이렇게 얘기했다.   “중국의 단어는 하나의 개념에 부응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하나의 단순한 기호도 아니며, 문법이나 통사의 기교를 통해서 생명을 부여받은 추상적 기호도 아니다. 그것은 불변의 단음절 형식과 중성적 양상 속에 작용을 미치는 데 필요한...
동은
2024.01.11 | 조회 264
봄날의 주역이야기
우리 사무실은 한 사람의 후원자 A씨가 거액의 전세 보증금을 빌려준 덕에 월세 없이 5년여를 버텨왔다. 그런데 그 후원자가 그것을 돌려받고 싶어했다. 실은 이런 뉘앙스의 말을 일년 전부터 들어왔다. 하지만 월세가 얼마가 되었건 새로운 고정지출을 만드는 건 회사 운영에 큰 위협이 된다는 점에서, 나는 듣고도 모른 체 해왔다. 할 수 없는 일이었다. 그러던 어느 날, ‘작은 동네서점’을 지향하며 청년 중심으로 운영되는 서점의 관리자 B씨로부터 연락이 왔다. “우리 서점이 0월말로 전세기간이 만료돼요. 조금 더 공간이 크고, 학교와 가까운 곳으로 옮길 생각인데...혹시 함께 공간을 얻을 생각이 있으신지요?”   한번도 이 문제에 대해 입밖에 낸 적도, B씨와 논의한 적도 없었는데, 나는 이상하게 그 제안에 끌렸다. 늘 마음 한 구석에 남아있던 A씨에 대한 부채를 해결하고픈 생각이 불쑥 고개를 내밀었다. 공간을 함께 나누면 월세의 부담도 덜고, 초기 위험부담도 적어질 거라는 생각에 이르렀다. 나는 덜컥 동의를 해버렸고, 하루 이틀 사이에 신축건물 2층 공간을 발견하고, 며칠 사이에 월세계약까지 해치워버렸다. 누가 떠민 것도 아닌데, ‘이렇게 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듯이, 정해진 수순처럼 나의 결정은 거침 없었다.   택천괘(澤天夬)는 바로 이런 결정의 순간을 가리킨다. ‘결단하다’, ‘결정하다’의 뜻을 가진 쾌(夬)라는 글자는 활시위를 당길 때 엄지에 끼는 깍지나, 깍지를 낀 손의 형상에서 나왔다. 활은 쏘아 맞히는 도구이고, 시위를 당긴 화살은 언젠가는 쏘아야 한다. 쾌괘는 목표를 겨누었다가 깍지를 풀어놓는 그 순간의 상황이다. 겨눌 만큼...
우리 사무실은 한 사람의 후원자 A씨가 거액의 전세 보증금을 빌려준 덕에 월세 없이 5년여를 버텨왔다. 그런데 그 후원자가 그것을 돌려받고 싶어했다. 실은 이런 뉘앙스의 말을 일년 전부터 들어왔다. 하지만 월세가 얼마가 되었건 새로운 고정지출을 만드는 건 회사 운영에 큰 위협이 된다는 점에서, 나는 듣고도 모른 체 해왔다. 할 수 없는 일이었다. 그러던 어느 날, ‘작은 동네서점’을 지향하며 청년 중심으로 운영되는 서점의 관리자 B씨로부터 연락이 왔다. “우리 서점이 0월말로 전세기간이 만료돼요. 조금 더 공간이 크고, 학교와 가까운 곳으로 옮길 생각인데...혹시 함께 공간을 얻을 생각이 있으신지요?”   한번도 이 문제에 대해 입밖에 낸 적도, B씨와 논의한 적도 없었는데, 나는 이상하게 그 제안에 끌렸다. 늘 마음 한 구석에 남아있던 A씨에 대한 부채를 해결하고픈 생각이 불쑥 고개를 내밀었다. 공간을 함께 나누면 월세의 부담도 덜고, 초기 위험부담도 적어질 거라는 생각에 이르렀다. 나는 덜컥 동의를 해버렸고, 하루 이틀 사이에 신축건물 2층 공간을 발견하고, 며칠 사이에 월세계약까지 해치워버렸다. 누가 떠민 것도 아닌데, ‘이렇게 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듯이, 정해진 수순처럼 나의 결정은 거침 없었다.   택천괘(澤天夬)는 바로 이런 결정의 순간을 가리킨다. ‘결단하다’, ‘결정하다’의 뜻을 가진 쾌(夬)라는 글자는 활시위를 당길 때 엄지에 끼는 깍지나, 깍지를 낀 손의 형상에서 나왔다. 활은 쏘아 맞히는 도구이고, 시위를 당긴 화살은 언젠가는 쏘아야 한다. 쾌괘는 목표를 겨누었다가 깍지를 풀어놓는 그 순간의 상황이다. 겨눌 만큼...
봄날
2024.01.08 | 조회 358
기린의 공동체가 양생이다
  1. 양생에 대한 오해       양생이라는 낱말을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병에 걸리지 않도록 건강관리를 잘 하여 오래 살기를 꾀함”이라는 뜻이 첫 번째로 실려 있다. 즉 양생은 오래 살기 위한 방편이라는 것이다. 내가 속해 있는 공동체에서도 양생과 관련한 공부를 하자고 했더니, 건강 챙기는 것도 공부해야 하느냐고 반문한 친구도 있었다. 하지만 양생(養生)의 출전으로 알려진 「양생주」에서는 병이라거나 건강, 장수에 대한 언급이 거의 없다. 다만 첫 장에 “시비선악을 넘어 중도의 도를 지키면 자기 자신을 지킬 수 있고, 삶을 온전히 할 수 있고, 부모님을 잘 모실 수 있고, 천수를 누릴 수 있습니다.”는 내용이 있다. 이 또한 오래 사는 것보다는 어떻게 살 것인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양생이 장수를 뜻하게 된 데는 진시황의 일화가 한 몫을 했다고 볼 수 있다.    「진시황본기」에는 불로장생에 꽂힌 진시황의 이야기가 나온다. 진시황이 천하통일을 이룬 후 천하를 순행하기 시작했는데, 제나라에 들렀을 때 서불 등의 방사들을 만나 신선에 대해 알게 되었다. 이후로 진시황은 방사들을 가까이 하며 죽지 않는 신선이 될 수 있는 약을 구하려고 막대한 비용을 댔다. 그 중의 노생이라는 방사는 진인(眞人)을 소개하며 “물에 들어가도 젖지 않으며 불에 들어가도 타지 않고(....) 천지와 더불어 영원합니다.” 라고 했다. 「대종사」편에 나오는 진인을 가리키는 내용과 같다. 하지만 진시황은 불사약을 얻지 못했고 순행 도중에 병을 얻어 객사하고 말았다. 이후에도 한무제 역시 말년에 불로장생에 몰두하였다는 등 진인이...
  1. 양생에 대한 오해       양생이라는 낱말을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병에 걸리지 않도록 건강관리를 잘 하여 오래 살기를 꾀함”이라는 뜻이 첫 번째로 실려 있다. 즉 양생은 오래 살기 위한 방편이라는 것이다. 내가 속해 있는 공동체에서도 양생과 관련한 공부를 하자고 했더니, 건강 챙기는 것도 공부해야 하느냐고 반문한 친구도 있었다. 하지만 양생(養生)의 출전으로 알려진 「양생주」에서는 병이라거나 건강, 장수에 대한 언급이 거의 없다. 다만 첫 장에 “시비선악을 넘어 중도의 도를 지키면 자기 자신을 지킬 수 있고, 삶을 온전히 할 수 있고, 부모님을 잘 모실 수 있고, 천수를 누릴 수 있습니다.”는 내용이 있다. 이 또한 오래 사는 것보다는 어떻게 살 것인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양생이 장수를 뜻하게 된 데는 진시황의 일화가 한 몫을 했다고 볼 수 있다.    「진시황본기」에는 불로장생에 꽂힌 진시황의 이야기가 나온다. 진시황이 천하통일을 이룬 후 천하를 순행하기 시작했는데, 제나라에 들렀을 때 서불 등의 방사들을 만나 신선에 대해 알게 되었다. 이후로 진시황은 방사들을 가까이 하며 죽지 않는 신선이 될 수 있는 약을 구하려고 막대한 비용을 댔다. 그 중의 노생이라는 방사는 진인(眞人)을 소개하며 “물에 들어가도 젖지 않으며 불에 들어가도 타지 않고(....) 천지와 더불어 영원합니다.” 라고 했다. 「대종사」편에 나오는 진인을 가리키는 내용과 같다. 하지만 진시황은 불사약을 얻지 못했고 순행 도중에 병을 얻어 객사하고 말았다. 이후에도 한무제 역시 말년에 불로장생에 몰두하였다는 등 진인이...
기린
2023.12.11 | 조회 388
논어 카메오 열전
제경공이 공자에게 정치에 대해 물었다. 공자께서 대답하셨다. “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다우며, 아버지는 아버지답고 아들은 아들다워야 합니다.” 제경공이 말했다. “훌륭하십니다! 진실로 임금이 임금답지 못하고 신하가 신하답지 못하며, 아버지가 아버지답지 못하고 아들이 아들답지 못하다면, 비록 곡식이 있더라도 제가 그것을 먹을 수 있겠습니까?”(齊景公問政於孔子 孔子對曰 君君 臣臣 父父 子子 公曰 善哉 信如君不君 臣不臣 父不父 子不子 雖有粟 吾得而食諸) 「안연,11」   공자가 만난 제 경공   제나라 26대 군주인 경공(景公/재위 기원전 548~기원전490)은 대부인 최저에게 시해된 장공(莊公)의 이복동생으로 장공이 시해된 후 최저에 의해 옹립되었다. 최저의 권력은 끝이 없을 것 같았지만 얼마 뒤 그는 그의 측근인 경봉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 경봉 역시 얼마 못가 그의 수하에 의해 죽임을 당한다. 그 뒤에 제나라의 권력은 네 집안, 국(國)씨, 고(高)씨, 포(鮑)씨, 전(田)씨가 힘의 균형을 이루면서 안정되게 되었다. 공자와 같은 시기를 살았던 제 경공은 공자와 세 번 정도 만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먼저 공자가 30대 초반일 때 노나라에 온 제 경공과 안자를 만났다고 한다. 다음에는 30대 중반의 공자가 제나라로 가 경공을 만났다. 마지막으로 50대에 이르러 대사구의 직책을 맡게 된 공자가 제 경공과 노 정공의 회담을 주관하면서 만나게 되었다. 『논어』에도 제 경공에 대한 기록이 세 차례 보인다. 그 중 두 개가 30대 중반의 공자가 제나라에 갔을 때, 경공을 만나는 장면이다. 공자를 만난 제 경공은 그에게 ‘정치’에 대해 물어본다. 이 때 공자는 “임금은 임금답고...
제경공이 공자에게 정치에 대해 물었다. 공자께서 대답하셨다. “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다우며, 아버지는 아버지답고 아들은 아들다워야 합니다.” 제경공이 말했다. “훌륭하십니다! 진실로 임금이 임금답지 못하고 신하가 신하답지 못하며, 아버지가 아버지답지 못하고 아들이 아들답지 못하다면, 비록 곡식이 있더라도 제가 그것을 먹을 수 있겠습니까?”(齊景公問政於孔子 孔子對曰 君君 臣臣 父父 子子 公曰 善哉 信如君不君 臣不臣 父不父 子不子 雖有粟 吾得而食諸) 「안연,11」   공자가 만난 제 경공   제나라 26대 군주인 경공(景公/재위 기원전 548~기원전490)은 대부인 최저에게 시해된 장공(莊公)의 이복동생으로 장공이 시해된 후 최저에 의해 옹립되었다. 최저의 권력은 끝이 없을 것 같았지만 얼마 뒤 그는 그의 측근인 경봉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 경봉 역시 얼마 못가 그의 수하에 의해 죽임을 당한다. 그 뒤에 제나라의 권력은 네 집안, 국(國)씨, 고(高)씨, 포(鮑)씨, 전(田)씨가 힘의 균형을 이루면서 안정되게 되었다. 공자와 같은 시기를 살았던 제 경공은 공자와 세 번 정도 만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먼저 공자가 30대 초반일 때 노나라에 온 제 경공과 안자를 만났다고 한다. 다음에는 30대 중반의 공자가 제나라로 가 경공을 만났다. 마지막으로 50대에 이르러 대사구의 직책을 맡게 된 공자가 제 경공과 노 정공의 회담을 주관하면서 만나게 되었다. 『논어』에도 제 경공에 대한 기록이 세 차례 보인다. 그 중 두 개가 30대 중반의 공자가 제나라에 갔을 때, 경공을 만나는 장면이다. 공자를 만난 제 경공은 그에게 ‘정치’에 대해 물어본다. 이 때 공자는 “임금은 임금답고...
진달래
2023.12.05 | 조회 300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