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카메오 열전 6회] 이윤, 사람을 알아보는 능력

진달래
2022-05-29 17:13
318
  1. 안다는 것은 무엇인가

 

하루는 번지가 공자에게 인(仁)이 무엇인지 물었다. 공자는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다.(愛人)’라고 알려 주었다. 번지는 다시 안다는 것(知)은 무엇인지 물었다. 공자는 ‘사람을 아는 것(知人)’이라고 알려 주었다. 그런데 번지의 얼굴을 얼핏 보니, 자기가 해 준 말이 무슨 말인지 영 감을 못 잡은 듯하였다. 공자는 “정직한 사람을 등용하여 모든 부정한 사람을 버리면, 부정한 사람을 바르게 만들 수 있다.”고 다시 한 번 말해주고 그 자리를 떠났다. 하지만 번지는 그 말이 무슨 뜻인지 알 수가 없었다. 그래서 마침 지나가고 있던 자하를 불러 물어보았다. 내가 이러이러한 것을 물었더니 스승님께서 이렇게 대답하셨는데 이게 무슨 뜻일까? 그 말을 듣고 자하가 말했다.

 

“훌륭한 말씀이군요! 순임금이 천하를 다스리실 때 많은 사람 중에 선발하여 고요를 등용하시니 어질지 못한 사람이 멀리 사라졌습니다. 탕임금이 천하를 다스릴 때 많은 사람 중에 선발하여 이윤을 등용하시니 어질지 못한 사람이 멀리 사라졌습니다.” (樊遲問仁 子曰 愛人 問知 子曰 知人 樊遲未達 子曰 擧直錯諸枉 能使枉者直 樊遲退 見子夏 曰 鄕也吾見於夫子而問知 子曰 擧直錯諸枉 能使枉者直 何謂也 子夏曰 富哉言乎 舜有天下 選於衆 擧皐陶 不仁者遠矣 湯有天下 選於衆 擧伊尹 不仁者遠矣) 『논어』 「안연,22」

 

번지가 안다는 것(知)이 무엇인지를 물었을 때 공자가 대답한 ‘사람을 안다는 것(知人)’은 『논어』의 가장 중요한 주제 중 하나이다. 그래서인지 1편인 「학이(學而)」에는 첫 장에 “다른 사람이 알아주지 않아도 노여워하지 않는다.(人不知而不慍)”라는 문장이, 마지막 장에는 “다른 사람이 알아주지 않는 것을 걱정하지 말고 내가 다른 사람을 알지 못함을 걱정해라.(不患人之不其知 患不知人也)”는 문장이 함께 나온다. 게다가 『논어』 마지막 편인 「요왈(堯曰」은 “말을 알지 못하면 사람을 알 수 없다(不知言 無以知人也)”로 끝을 맺고 있다. ‘사람을 안다는 것’이 유가(儒家)에서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는 문제인가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유가(儒家)에서 사람을 안다는 것은 두 가지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하나는 다른 사람이 나를 알아주는 것, 또 하나는 내가 다른 사람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는 현실적으로 군주의 눈에 들어 관직에 나가야 했던 사(士)들에게 매우 중요한 문제였다. 뿐만 아니라 군주의 입장에서도 뛰어난 인재를 알아보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 갈수록 중요해졌다. 능력이 있는 신하를 얻은 군주가 천하를 얻거나 패자(覇者)가 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훌륭한 군주는 반드시 훌륭한 신하와 함께 하는데 대표적으로 순임금과 고요, 탕임금과 이윤, 제 환공과 관중, 진 목공과 백리해 등등이 있다.

 

  1. 탕임금을 도운 이윤

 

이 중에서 이윤(伊尹)은 탕(湯)임금이 하(夏)나라의 마지막 왕인 걸(桀)을 정벌하고 은(殷)나라를 세울 때 큰 공을 세운 인물이다. 이윤의 이름은 아형(阿衡)으로 유신씨(有莘氏)의 사람이다. 이윤에 대한 기록은 이곳저곳에서 조금씩 볼 수 있는데 그에 대한 견해가 달라서 그가 어떤 인물이었는지 쉽게 알기 어렵다. ‘사서(四書)’에서의 이윤은 탕임금을 도운 충신(忠臣)으로 대체로 이야기 되고 있는데 『여씨춘추』와 같은 곳에서 본 이윤은 또 다른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여씨춘추』를 보면 먼저 이윤의 출생에 관한 흥미로운 이야기가 있다.

 

그의 어머니가 이윤을 잉태하고 있을 때 꿈을 꾸었는데 신이 ‘절구에서 물이 나오면 절대 돌아보지 말고 도망가라’고 하였다. 다음날 진짜 그런 일이 일어나서 이웃 사람들을 대피시키고 함께 도망가고 있었다. 그런데 언뜻 마을이 어떻게 되었는지 궁금하여 돌아보았더니 그녀의 몸이 뽕나무 숲으로 변하였다. 그 뒤에 어떤 여자가 뽕나무 숲에서 갓난아기를 얻어 주인에게 데리고 갔더니 그 주인이 아기를 요리사에게 기르도록 하고 이름을 이윤이라고 지었다. 『여씨춘추』 「효행람」 발췌

 

 

아마도 후대에 만들어진 이야기이겠지만 그가 평민출신으로 비범한 인물이었음을 알 수 있다. 나중에 탕임금이 훌륭하다는 이야기를 들은 이윤은 유신씨의 딸이 탕임금에게 시집갈 때 잉신(媵臣)으로 따라갔다. 잉신은 귀족들이 결혼할 때 함께 보내는 신하 혹은 몸종을 말하는데 이윤이 이 때 솥(鼎)과 도마(俎)를 메고 갔다고 하니 요리사의 신분으로 따라간 모양이다. 그의 요리가 마음에 들었던 탕임금은 이윤을 만났고, 이윤은 음식의 맛을 예로 들어 정치를 이야기하며 왕도를 실행하도록 하였다. 그 후 함께 걸왕을 정벌하고 은나라를 세웠다.

이윤은 탕임금이 죽은 후에 그의 손자 태갑(太甲)을 즉위시킨 이야기로도 유명하다. 태자였던 태정(太丁)이 일찍 죽었기 때문에 탕이 죽고 난 후에 태정의 동생인 외병(外丙)이 즉위했다. 그런데 2년 뒤 외병이 죽었다. 다시 동생인 중임(中壬)이 왕이 되었는데 즉위한 지 4년 만에 또 죽었다. 이에 이윤이 태정의 아들인 태갑을 왕위에 올렸다. 그런데 태갑이 즉위하고 얼마 되지 않았는데 법령을 지키지 않고 문란한 생활을 하자, 이윤은 그를 내쫓고 동궁(桐宮)에 가두어 버렸다. 3년 동안 이윤이 섭정(攝政)을 했고, 그 사이에 태갑이 자기 죄를 뉘우치자 이윤은 정권을 돌려주었다.

『맹자』는 이런 이윤을 ‘임무를 자임한 성인(聖之任者)’으로 칭했다. 이윤은 누구든 섬기면 군주이고 부리면 백성이 되니 혼란한 때나 평화로울 때나 ‘하늘이 먼저 깨달은 자로 하여금 뒤늦게 깨닫는 자를 깨우치도록 하였다’고 하며 스스로 이런 역할을 자임(自任)했다고 여겼다. 특히 태갑을 어진 군주로 이끌기 위해 이윤이 그의 자리를 빼앗았다가 돌려준 것에 대해서 『맹자』에는 그런 일은 오로지 ‘이윤의 뜻(伊尹之志)’을 가지고 있을 때만 가능한 일이라고 했다.

 

  1. 요리사에서 재상으로

 

하지만 『논어』에서는 이윤이 번지의 질문에 대한 답으로 딱 한 번 등장한다. 이윤은 『맹자』에서 자주 볼 수 있는데 맹자의 말과 다르게 제자들의 질문 속에 보이는 이윤은 과연 어떤 사람이었을지 고개를 갸웃하게 만든다.

 

맹자의 제자인 만장이 묻는다. “이윤이 요리사가 되어 탕임금을 만나 벼슬자리를 구했다는데 그런 일이 있습니까?” (萬章問曰 人有言 伊尹以割烹要湯 有諸) 『맹자』 「만장 상,7」

 

이윤이 요리사가 되어 탕임금을 만났다는 것은 『사기』에도 나와 있는 것으로 아마도 만장이 실제 이런 일이 있었는지 아닌지를 묻고 있는 것은 아닌 듯하다. 그러니 이는 요리사로 들어간 이윤이 탕임금을 맛있는 음식으로 꾀어내어 관직을 얻은 것이 아니냐는 질문이다. 정당한 방법으로 관리가 된 것이 아니라 요즘으로 치면 비선이나 낙하산식 등용이지 않느냐를 묻는 것이다. 맹자가 살던 전국시대에 왕의 주치의나 요리사, 환관과 같이 최측근에 있는 사람들이 권력을 쥐는 경우가 종종 있었기 때문에 만장이 이윤 역시 그런 류의 사람이 아니었는지 의심한 것이다. 물론 맹자는 그가 요순의 도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 그런 사람이 아니라는 등등의 말을 하지만 보기에 따라서는 이윤이 관직을 얻기 위해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이윤의 모습은 『여씨춘추』에 드물게 볼 수 있는데, 그 중 하나가 걸왕을 염탐하러 가는 이윤이다. 탕임금이 걸왕을 정벌하려는 뜻은 오래 전에 가지고 있었지만 섣불리 군사를 일으키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자 이윤이 하나라의 사정을 알아보기 위해 걸왕에게 나아갔다. 이 때 탕임금은 행여 걸왕이 이윤을 의심할까봐 이윤을 향해 직접 활을 쏘았다고 한다. 마치 죄를 짓고 도망을 간 것처럼 보이게 한 것이다. 3년 동안 하나라에 있던 이윤이 돌아와 보고를 마치자, 탕임금은 그제야 정벌에 나섰다. 흥미로운 것은 이윤이 하나라에 있을 때 그를 도운 사람으로 걸왕이 가장 총애하던 말희가 등장하는 것이다. 말희가 하루는 이윤에게 걸왕의 꿈 이야기를 들려주는데 그 내용이 ‘서쪽의 해와 동쪽의 해가 서로 싸워서, 서쪽의 해가 이겼다.’는 것이었다. 이를 전해들은 탕임금은 그해 심한 가뭄이 들었음에도 군대를 일으켰다.

이런 이야기들 속의 이윤은 우리가 흔히 가지고 있던 충신의 이미지와는 조금 다른 면모를 보여준다. 인의(仁義)를 고집한다거나, 자기 뜻을 굽히지 않는다거나 하는 것이 아니라 목적한 바를 이루기 위해서는 자기를 낮추는 일을 스스럼없이 하고 상대를 속이는 일도 마다하지 않고, 남에게 비난 받을 만한 일도 거침없이 해 내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탕임금이 걸왕을 치기로 마음먹고 자기를 도와 줄 사람을 구하는데 주변에서 이윤을 추천하면서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그는 힘이 세고 부끄러움을 참는 사람입니다.”(彊力忍訽) 『여씨춘추』「이속람」

 

  1. 사람을 아는 것이란

 

그런데 이윤의 이런 저런 이야기에서 중요한 점 중에 하나는 이윤을 알아 본 탕임금이 있었다는 것이다. 탕임금과 이윤의 만남에 대한 다른 이야기에서는 탕임금이 이윤을 만나기 위해 일부러 유신씨의 딸과 결혼을 하고, 이를 빌미로 이윤을 잉신으로 삼아 자기 옆으로 데리고 왔다고 한다. 또 탕임금이 이윤을 다섯 번이나 찾아간 끝에 이윤이 탕임금에게 갔다고도 한다. 자기를 알아봐주는 군주를 찾아간 이윤뿐 아니라 자기를 도와 줄 능력 있는 신하를 알아보고 그를 얻기 위해 노력하는 탕임금이 있었기 때문에 은나라는 하나라의 자리를 대신 할 수 있었다. 이러한 탕임금이 가지고 있던 ‘사람을 알아보는 능력’은 어쩌면 그가 죽고 더 빛을 발했다고 볼 수 있다. 건국 초 불안정한 정국을 안정시키고, 왕위 세습을 공고히 할 수 있도록 만든 이가 이윤이기 때문이다.

이윤 역시 그가 이런 일들을 할 수 있는 바탕에는 그의 ‘사람을 알아보는 능력’이 있다. 이윤의 모습이 때로는 우리가 흔히 아는 절의를 지닌 신하로, 혹은 권모술수의 대가로 상반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탕임금, 혹은 태갑이 어떤 능력을 가진 인물인지 알아보는 능력이 있었기 때문에 하나라에 스파이로 가기도 하고, 태갑을 내쫓고 섭정을 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후대에 유가는 이렇듯 서로의 능력을 알아보는 군주와 신하가 만났을 때 제대로 된 정치를 펼 수 있음을 강조한다. 정치를 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람을 잘 쓰는 것이다. 이렇게 ‘사람을 알아보는 능력’은 단지 군주와 신하, 두 사람의 능력뿐만이 아니라 주변 사람들에게까지 영향을 주게 되고 이것이 결국 ‘좋은 정치’로 백성들을 편안히 살 수 있도록 만드는 것으로까지 연결된다. 이것이 공자가 “정직한 사람을 등용하여 모든 부정한 사람을 버리면, 부정한 사람을 바르게 만들 수 있다.”것의 의미로 볼 수 있다.

그럼에도 이윤에 대한 이런 저런 의혹들이 끊임없이 거론되는 것을 보면 단지 겉으로 보이는 언행(言行)만으로 ‘사람을 알아본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를 깨닫게 한다. 태갑을 가두고 3년 동안 섭정한 이윤의 행동은 오랫동안 찬탈(簒奪)이라는 의혹을 받았다. 아니, 실제 그의 마음이 어땠는지, 왕의 자리를 빼앗을 정도의 권력을 쥐고 있었으면서 왜 다시 정권을 돌려주었는지는 알 수 없는 일인 듯하다. 그럼에도 이윤을 통해 곧고, 올바르고, 현명한 사람이 자리에 있음으로 드러나는 좋은 영향을 생각한다면 “정직한 사람을 등용한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일인지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한다.

새로운 대통령의 인선문제로 연일 시끄럽다. 어떤 사람이 자리에 오르는지가 어떤 정치를 하고자하는가를 보여주는 것일 것이다. 그래서인지 ‘지인(知人)’이라는 말이 더 무겁게 느껴진다.

 

댓글 4
  • 2022-05-31 10:47

    '지인'이라는 말의 무게를 느껴봅니다. 지인이란 말 쓰기 쉽지 않은 말이네요

  • 2022-05-31 11:29

    <여씨춘추>를 읽어보고 싶네요.

    확실히 사기나 논어, 맹자와 다른 결의 이윤이 등장하나봐요.

    이런 차이를 우리는 어찌 해석해야 하는 걸까?

    갑자기 지적 호기심이 막 생기네유. ㅎㅎㅎ

  • 2022-05-31 16:54

    겉으로 보이는 언행에서 비롯되어 그 사람을 '제대로' 알아보게 되기까지 필요한 시간을 생각해보게 되네요~

     

  • 2022-06-03 18:10

    유가외에 다른 제자백가 책을 읽는 재미는 이런데 있는것 같아요. 같은 사람인듯 아닌듯 제각기 입맛에 맞게 변주되는 느낌이랄까요 ㅎㅎ

기린의 공동체가 양생이다
    작년에 『장자』의 내편 중 「양생주」편을 읽으면서 다섯 편의 글을 썼다. 양생에 대한 장자의 문장을 조목조목 읽어보며 양생의 지혜를 찾아보았다. 어느 하나 수월하지 않았지만, 번다해진 일상을 정돈하고 싶을 때 그 지혜들이 도움이 되기도 했다. 그래서 올해는 남은 편들까지 양생의 지혜들을 찾아보기로 했다. 『장자』는 내편⸱외편⸱잡편의 3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내편은 7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남은 여섯 편들에서 펼쳐지는 이야기들이 품고 있는 양생의 면면들을 살펴보려고 한다. 이번에는 「대종사」편을 읽어보기로 했다.     사서(四書)에는 훌륭한 인격을 갖춘 군자를 가리키는 문장들이 나온다. “군자는 의(義)에 밝고, 소인은 리(利)에 밝다.” 이런 문장을 읽으면 사소한 리에 전전긍긍하는 내가 소인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군자의 풍모를 본받고 싶어지기도 한다. 『장자』에는 그보다 급이 더 높은 진인(眞人)에 대한 내용들이 나온다. 「대종사」편에는 특히 많다. “깊은 물에 들어가도 빠지지 않았으며, 활활 타는 불속에서도 뜨거워지지 않는” 급이기 때문에, 땅에 발을 딛고 다니는 범인으로서는 근접이 불가능한 경지이다. 그래서 『장자』에 나오는 이야기는 일상과 괴리되어 터무니없게 읽히기도 한다. 하지만 정말 그럴까? 일상에서 볼 수 없다는 핑계로 그 이야기 너머가 가리키는 것을 찾지 못하는 것은 아닐까?   1. 고요히 무심하게 일상을 사는 진인   옛날의 진인은, 그 모습이 우뚝 솟았으나 무너지는 일이 없었고, 뭔가 부족하지만 받는 일이 없었고, 홀로 서 있지만 완고하지 않았고, 크고 넓었으나 겉치레가 없었습니다. 밝고 당당한 듯했지만 어쩔 수 없이 부득이한 듯도 했습니다. 환하게 기쁨을 드러내기도...
    작년에 『장자』의 내편 중 「양생주」편을 읽으면서 다섯 편의 글을 썼다. 양생에 대한 장자의 문장을 조목조목 읽어보며 양생의 지혜를 찾아보았다. 어느 하나 수월하지 않았지만, 번다해진 일상을 정돈하고 싶을 때 그 지혜들이 도움이 되기도 했다. 그래서 올해는 남은 편들까지 양생의 지혜들을 찾아보기로 했다. 『장자』는 내편⸱외편⸱잡편의 3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내편은 7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남은 여섯 편들에서 펼쳐지는 이야기들이 품고 있는 양생의 면면들을 살펴보려고 한다. 이번에는 「대종사」편을 읽어보기로 했다.     사서(四書)에는 훌륭한 인격을 갖춘 군자를 가리키는 문장들이 나온다. “군자는 의(義)에 밝고, 소인은 리(利)에 밝다.” 이런 문장을 읽으면 사소한 리에 전전긍긍하는 내가 소인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군자의 풍모를 본받고 싶어지기도 한다. 『장자』에는 그보다 급이 더 높은 진인(眞人)에 대한 내용들이 나온다. 「대종사」편에는 특히 많다. “깊은 물에 들어가도 빠지지 않았으며, 활활 타는 불속에서도 뜨거워지지 않는” 급이기 때문에, 땅에 발을 딛고 다니는 범인으로서는 근접이 불가능한 경지이다. 그래서 『장자』에 나오는 이야기는 일상과 괴리되어 터무니없게 읽히기도 한다. 하지만 정말 그럴까? 일상에서 볼 수 없다는 핑계로 그 이야기 너머가 가리키는 것을 찾지 못하는 것은 아닐까?   1. 고요히 무심하게 일상을 사는 진인   옛날의 진인은, 그 모습이 우뚝 솟았으나 무너지는 일이 없었고, 뭔가 부족하지만 받는 일이 없었고, 홀로 서 있지만 완고하지 않았고, 크고 넓었으나 겉치레가 없었습니다. 밝고 당당한 듯했지만 어쩔 수 없이 부득이한 듯도 했습니다. 환하게 기쁨을 드러내기도...
기린
2024.05.10 | 조회 58
영화대로 42길
    언제 어디서나 영화를 볼 수 있지만, 정작 영화에 대해 묻지 않는 시대. 우리는 영화와 삶의 사이길, 영화대로 사는 길에 대한 질문으로, 산업과 자본의 도구가 아닌 영화로서의 영화를 보고 읽습니다.   *본 리뷰에 사용된 이미지에 대한 저작권은 해당 영화에 있습니다.     나무를 닮은 사람   다르덴 형제의 <아들(Le Fils/2002>     아들 살해범을 만났다   주인공 올리비에의 아들은 5년 전에 살해당했다. 그 후 올리비에는 아내와 헤어졌고 하던 일도 그만두었다. 지금은 청소년 재활센터에서 아이들에게 목수 일을 가르친다. 아들을 잃은 그가 왜 범죄를 저지른 아이들의 갱생을 돕는지는 알 수 없다. 영화는 올리비에의 뒷모습으로 시작되는데, 그는 자기 아들을 살해한 프란시스가 재활센터에 왔다는 것을 확인하는 중이다. 그가 동요한다는 것은 근접 촬영하는 카메라로 인해 전달된다. 초점은 어긋나고 사각의 프레임 안의 이미지는 흔들린다. 우리에게도 질문이 던져진다. 만약 자신이 사랑하는 존재가 살해당했는데 그 살인범을 지금 만났다. 그렇다면, 이제 무엇을 하겠는가.     보통 관객들은 의식하지 않더라도 카메라 시점을 따라 감독이 의도한 바를 따라가게 마련이다. 그런데 이 영화는 너무 가까이, 너무 흔들리는 시점을 보여주기에 ‘영화 보기’에 있어서 낯선 경험을 하게 된다. 그렇게 카메라가 비추는 이미지 외에 어떤 설명도 따라붙지 않는다. 또 영화음악도 전혀 나오지 않는다. 대신 그 자리를 사물이 내는 소리나 인물들의 대사와 호흡으로 오롯이 채워 넣는다. 시간이 흘러가도 올리비에가 어떤 마음을 품고 있는지가 명확하게 전달되지...
    언제 어디서나 영화를 볼 수 있지만, 정작 영화에 대해 묻지 않는 시대. 우리는 영화와 삶의 사이길, 영화대로 사는 길에 대한 질문으로, 산업과 자본의 도구가 아닌 영화로서의 영화를 보고 읽습니다.   *본 리뷰에 사용된 이미지에 대한 저작권은 해당 영화에 있습니다.     나무를 닮은 사람   다르덴 형제의 <아들(Le Fils/2002>     아들 살해범을 만났다   주인공 올리비에의 아들은 5년 전에 살해당했다. 그 후 올리비에는 아내와 헤어졌고 하던 일도 그만두었다. 지금은 청소년 재활센터에서 아이들에게 목수 일을 가르친다. 아들을 잃은 그가 왜 범죄를 저지른 아이들의 갱생을 돕는지는 알 수 없다. 영화는 올리비에의 뒷모습으로 시작되는데, 그는 자기 아들을 살해한 프란시스가 재활센터에 왔다는 것을 확인하는 중이다. 그가 동요한다는 것은 근접 촬영하는 카메라로 인해 전달된다. 초점은 어긋나고 사각의 프레임 안의 이미지는 흔들린다. 우리에게도 질문이 던져진다. 만약 자신이 사랑하는 존재가 살해당했는데 그 살인범을 지금 만났다. 그렇다면, 이제 무엇을 하겠는가.     보통 관객들은 의식하지 않더라도 카메라 시점을 따라 감독이 의도한 바를 따라가게 마련이다. 그런데 이 영화는 너무 가까이, 너무 흔들리는 시점을 보여주기에 ‘영화 보기’에 있어서 낯선 경험을 하게 된다. 그렇게 카메라가 비추는 이미지 외에 어떤 설명도 따라붙지 않는다. 또 영화음악도 전혀 나오지 않는다. 대신 그 자리를 사물이 내는 소리나 인물들의 대사와 호흡으로 오롯이 채워 넣는다. 시간이 흘러가도 올리비에가 어떤 마음을 품고 있는지가 명확하게 전달되지...
띠우
2024.04.28 | 조회 144
토용의 서경리뷰
신화가 역사가 되다   정치는 실종되고 ‘심판’만 있었던 총선이 끝났다. 공약이 뭐였는지도 모르겠다. 민생은 아랑곳없이 저들만의 욕망을 채우려는 선거를 언제까지 봐야할지.... 의식주를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살 만한 세상, 보통 사람들이 소박하게 꿈꾸는 세상일 것이다. 저마다 각자 살 만한 세상에 대한 감각은 다르겠지만, 동양고전 특히 유가에 관한 책들을 읽다보면 살 만한 세상의 전형으로 ‘요순의 시대’가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요와 순은 유가에서 가장 존경받아온 성왕이다. 요와 순이 다스렸던 시대는 태평성대라 불렸다. 이 시대의 사람들은 자신들의 통치자가 누구인지 크게 관심이 없었다. 통치자도 자신들을 특별하게 드러내지 않았다. 각자 자신의 자리에서 자연에 따라 할 일을 할 뿐이었다. 나라는 원만하게 잘 운영되며 그 속의 사람들은 자신들의 일상에 만족하며 살았다. 유가는 이러한 요순의 정치를 이상적인 정치로 생각했다.   이렇게 대단한 통치자 요와 순은 어느 시대 임금이었나? 안타깝게도 실존 인물이 아니라 전설에 존재하는 임금이다. 그렇기 때문에 요와 순은 중국고대사에서 찾을 것이 아니라 중국의 고대신화에서 찾아야 한다. 그러나 신화 속의 요는 반인반수의 모습이라든지 특별한 능력을 가진 인물로 나오지 않는다. 마치 어딘가에 살았을 원시 부족의 후덕한 부족장의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 이에 반해 『서경』과 『사기』에서는 요와 순을 역사상 실존한 군주로 기록한다. 『서경』은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요와 순의 언행을 기록한 「우서(虞書)」, 하(夏)‧상(商)‧주(周) 각 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하서」, 「상서」, 「주서」가 그것이다. 「우서」의 처음 <요전(堯典)>과 <순전(舜典)>은 요와 순이 가진 덕과 그...
신화가 역사가 되다   정치는 실종되고 ‘심판’만 있었던 총선이 끝났다. 공약이 뭐였는지도 모르겠다. 민생은 아랑곳없이 저들만의 욕망을 채우려는 선거를 언제까지 봐야할지.... 의식주를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살 만한 세상, 보통 사람들이 소박하게 꿈꾸는 세상일 것이다. 저마다 각자 살 만한 세상에 대한 감각은 다르겠지만, 동양고전 특히 유가에 관한 책들을 읽다보면 살 만한 세상의 전형으로 ‘요순의 시대’가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요와 순은 유가에서 가장 존경받아온 성왕이다. 요와 순이 다스렸던 시대는 태평성대라 불렸다. 이 시대의 사람들은 자신들의 통치자가 누구인지 크게 관심이 없었다. 통치자도 자신들을 특별하게 드러내지 않았다. 각자 자신의 자리에서 자연에 따라 할 일을 할 뿐이었다. 나라는 원만하게 잘 운영되며 그 속의 사람들은 자신들의 일상에 만족하며 살았다. 유가는 이러한 요순의 정치를 이상적인 정치로 생각했다.   이렇게 대단한 통치자 요와 순은 어느 시대 임금이었나? 안타깝게도 실존 인물이 아니라 전설에 존재하는 임금이다. 그렇기 때문에 요와 순은 중국고대사에서 찾을 것이 아니라 중국의 고대신화에서 찾아야 한다. 그러나 신화 속의 요는 반인반수의 모습이라든지 특별한 능력을 가진 인물로 나오지 않는다. 마치 어딘가에 살았을 원시 부족의 후덕한 부족장의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 이에 반해 『서경』과 『사기』에서는 요와 순을 역사상 실존한 군주로 기록한다. 『서경』은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요와 순의 언행을 기록한 「우서(虞書)」, 하(夏)‧상(商)‧주(周) 각 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하서」, 「상서」, 「주서」가 그것이다. 「우서」의 처음 <요전(堯典)>과 <순전(舜典)>은 요와 순이 가진 덕과 그...
토용
2024.04.27 | 조회 143
봄날의 주역이야기
주역은 점치는 책이다. 그런데 점치는 방법이 제대로 전해지지 않고 있다. 그런데도 주역이 많은 사람들에게 읽히는 것은, 주역은 점을 치는 책으로 인정받았지만, 한편으로는 그 내용과 의미를 꼼꼼히 원리와 뜻을 따져가며 해석해서 읽어도 충분한 가치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원리를 따져가며 읽는 방식의 주역을 의리역(義理易)이라고 한다. 하지만 그러한 구분은 별로 의미가 없다. 점을 치면서도 그 해석을 의리적으로 하기도 하고 의리역으로서 주역을 읽으면서 수시로 점을 치기도 한다. 어쩌면 두 가지 방식을 적절하게 취하는 것이 지혜로운 태도일 수 있다. 가끔 혼자 혹은 함께 모여 시초점으로 괘를 뽑고 이것을 해석하는 재미가, 주역이 다른 텍스트와 구별되는 매력이 되기도 한다. 점을 쳐서 화수미제(火水未濟)괘를 얻었다고 치자. 그럼 나는 생각해본다. 나에게 왜 이 화수미제괘가 왔을까? 주역을 공부하기 시작한 초기에는 우선 이 괘가 길흉, 즉 좋은지 나쁜지를 먼저 따졌었다. 지금은 그것이 그다지 의미가 없다는 것을 잘 안다. 어떤 괘가 오든지 내내 좋기만 하든지, 내내 나쁘기만 한 괘는 없기 때문이다. 오히려 좋다고 환호하고 있을 때 막바지에 다가올 불운을 캐치해내지 못하는 것이, 나쁜 괘를 받아들고 심사숙고해서 해결책을 찾아내는 것보다 더욱 큰 낭패를 보는 일이 종종 있다.   정(正)도 없고 응(應)도 기댈 바 없고 화수미제괘는 주역 64괘의 순서에서 마지막에 위치한 괘이다. 하나의 괘를 이루는 여섯 효는 음양의 배치에 원칙이 있다. 이 원칙에 따르면 첫 번째부터 여섯 번째 효의 자릿값의 순서는 양-음-양-음-양-음이다. 63번째 괘인...
주역은 점치는 책이다. 그런데 점치는 방법이 제대로 전해지지 않고 있다. 그런데도 주역이 많은 사람들에게 읽히는 것은, 주역은 점을 치는 책으로 인정받았지만, 한편으로는 그 내용과 의미를 꼼꼼히 원리와 뜻을 따져가며 해석해서 읽어도 충분한 가치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원리를 따져가며 읽는 방식의 주역을 의리역(義理易)이라고 한다. 하지만 그러한 구분은 별로 의미가 없다. 점을 치면서도 그 해석을 의리적으로 하기도 하고 의리역으로서 주역을 읽으면서 수시로 점을 치기도 한다. 어쩌면 두 가지 방식을 적절하게 취하는 것이 지혜로운 태도일 수 있다. 가끔 혼자 혹은 함께 모여 시초점으로 괘를 뽑고 이것을 해석하는 재미가, 주역이 다른 텍스트와 구별되는 매력이 되기도 한다. 점을 쳐서 화수미제(火水未濟)괘를 얻었다고 치자. 그럼 나는 생각해본다. 나에게 왜 이 화수미제괘가 왔을까? 주역을 공부하기 시작한 초기에는 우선 이 괘가 길흉, 즉 좋은지 나쁜지를 먼저 따졌었다. 지금은 그것이 그다지 의미가 없다는 것을 잘 안다. 어떤 괘가 오든지 내내 좋기만 하든지, 내내 나쁘기만 한 괘는 없기 때문이다. 오히려 좋다고 환호하고 있을 때 막바지에 다가올 불운을 캐치해내지 못하는 것이, 나쁜 괘를 받아들고 심사숙고해서 해결책을 찾아내는 것보다 더욱 큰 낭패를 보는 일이 종종 있다.   정(正)도 없고 응(應)도 기댈 바 없고 화수미제괘는 주역 64괘의 순서에서 마지막에 위치한 괘이다. 하나의 괘를 이루는 여섯 효는 음양의 배치에 원칙이 있다. 이 원칙에 따르면 첫 번째부터 여섯 번째 효의 자릿값의 순서는 양-음-양-음-양-음이다. 63번째 괘인...
봄날
2024.04.22 | 조회 163
영화대로 42길
      언제 어디서나 영화를 볼 수 있지만, 정작 영화에 대해 묻지 않는 시대.  우리는 영화와 삶의 사이길, 영화대로 사는 길에 대한 질문으로,  산업과 자본의 도구가 아닌 영화로서의 영화를 보고 읽습니다.   *본 리뷰에 사용된 이미지에 대한 저작권은 해당 영화에 있습니다.       • 이번 '영화대로42길'로 가는 법은 '같은 영화 다른 이야기' 컨셉입니다. 그 세 번째 영화는 <아들>(2002)입니다.            우리가 흔들릴 차례 아들 Le Fils | 드라마/미스터리 | 벨기에, 프랑스 | 102분 | 2002       ※ 일부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영화의 시작인 ‘인트로’는 그 영화의 첫인상이자 분위기를 보여준다. 다르덴 형제의 <아들>(2002)은 음악도 없이 흔들리는 어떤 ‘형상’을 보여줄 뿐이다. 그 위로 건조하게 제작자, 주연배우, 감독의 이름 등이 보였다 사라진다. 마치 <히로시마 내 사랑>(1959)이 생각나는 ‘인트로’를 보고 있으니 ‘아, 이번 영화도 뭔가 쉽지는 않겠구나’는 느낌이 팍팍 든다. 다르덴 형제의 이름과 영화의 원어제목 ‘Le Fils’이 사라지면, 카메라는 천천히 움직이며 그 흔들리는 ‘형상’이 바로 ‘올리비에’(올리비에 구르메, 배우의 이름을 그대로 등장인물 이름으로 사용했다)의 ‘등’이었음을 보여준다. 그렇다. ‘인트로’처럼 영화는 대부분 올리비에의 ‘등과 뒷모습’을 시종일관 따라다닐 거라고 미리 알려주고 있다. 이제는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사실이지만, 다르덴 형제는 혹독한 수준의 리허설로 유명하다. 이유는 영화가 배우들의 ‘몸’을 통해 관객과 소통하길 원하기 때문이다. 여러 번 동선을 구성해보고, 몇 가지...
      언제 어디서나 영화를 볼 수 있지만, 정작 영화에 대해 묻지 않는 시대.  우리는 영화와 삶의 사이길, 영화대로 사는 길에 대한 질문으로,  산업과 자본의 도구가 아닌 영화로서의 영화를 보고 읽습니다.   *본 리뷰에 사용된 이미지에 대한 저작권은 해당 영화에 있습니다.       • 이번 '영화대로42길'로 가는 법은 '같은 영화 다른 이야기' 컨셉입니다. 그 세 번째 영화는 <아들>(2002)입니다.            우리가 흔들릴 차례 아들 Le Fils | 드라마/미스터리 | 벨기에, 프랑스 | 102분 | 2002       ※ 일부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영화의 시작인 ‘인트로’는 그 영화의 첫인상이자 분위기를 보여준다. 다르덴 형제의 <아들>(2002)은 음악도 없이 흔들리는 어떤 ‘형상’을 보여줄 뿐이다. 그 위로 건조하게 제작자, 주연배우, 감독의 이름 등이 보였다 사라진다. 마치 <히로시마 내 사랑>(1959)이 생각나는 ‘인트로’를 보고 있으니 ‘아, 이번 영화도 뭔가 쉽지는 않겠구나’는 느낌이 팍팍 든다. 다르덴 형제의 이름과 영화의 원어제목 ‘Le Fils’이 사라지면, 카메라는 천천히 움직이며 그 흔들리는 ‘형상’이 바로 ‘올리비에’(올리비에 구르메, 배우의 이름을 그대로 등장인물 이름으로 사용했다)의 ‘등’이었음을 보여준다. 그렇다. ‘인트로’처럼 영화는 대부분 올리비에의 ‘등과 뒷모습’을 시종일관 따라다닐 거라고 미리 알려주고 있다. 이제는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사실이지만, 다르덴 형제는 혹독한 수준의 리허설로 유명하다. 이유는 영화가 배우들의 ‘몸’을 통해 관객과 소통하길 원하기 때문이다. 여러 번 동선을 구성해보고, 몇 가지...
청량리
2024.04.14 | 조회 197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