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카메오 열전 4회] 백이숙제, 원망이 없었을까

진달래
2022-02-13 08:09
601

“인을 구하여 인을 얻었으니 또 무엇을 원망했겠는가?”(求仁而得仁 又何怨) 「술이,14」 중

 

백이숙제 이야기

 

백이(伯夷)와 숙제(叔齊)는 고죽국(孤竹國) 군주의 아들들이다. 그들의 아버지는 맏이인 백이가 아니라 숙제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싶어 했다. 그러나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숙제는 백이에게 왕위를 양보하려 했다. 이에 백이는 ‘아버지의 명령’이라면서 나라 밖으로 도망을 갔다. 숙제도 왕위에 오르려 하지 않고 도망을 가, 결국 고죽국 사람들은 중간 아들을 왕으로 세웠다. 고죽국을 나온 두 사람은 서쪽의 서백창(西伯昌)이 노인을 잘 봉양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그를 찾아가기로 했다.

그러나 그들이 도착했을 때 이미 서백창은 죽고 그의 아들 무왕(武王)이 막 은(殷)나라의 주(紂)왕을 치러 갈 참이었다. 백이와 숙제는 이에 무왕의 말고삐를 잡고 간언했다. “아버지가 돌아가셨는데 장례도 치르지 않고 바로 전쟁을 일으키는 것은 효(孝)라 할 수 없습니다. 신하의 신분으로 군주를 치러 가는 것은 인(仁)이라 할 수 없습니다.” 그러자 무왕의 곁에 있던 신하들이 그 둘을 죽이려고 했다. 이 때 강태공이 말리며 말했다. “이들은 의로운 사람들(義人)이다.”

전쟁에 나간 무왕은 은나라를 멸망시키고 주(周)나라를 세웠다. 천하의 사람들이 주나라를 따랐지만 백이와 숙제만이 주나라의 백성이 되는 것을 부끄럽게 여겼다. 이들은 주나라의 곡식을 먹지 않고, 수양산에 들어가 고사리를 뜯어 먹으며 살다 굶어 죽었다.『사기열전』「백이열전」

 

사마천의 『사기열전』 중 첫 번째 편인 「백이 열전」 속 백이와 숙제의 이야기이다. 자기들의 뜻을 지키기 위해 수양산에 들어가 굶어 죽은 이 두 사람의 행동은 이후 지조 있고 청렴한 선비의 모범으로 칭송받았다. 『논어』에서는 이들을 일민(逸民/벼슬하지 않은 은자)으로 ‘그 뜻을 굽히지 않고 그 몸을 욕되게 하지 않은 사람(不降其志 不辱其身)’「미자,8」이라고 칭했으며, 맹자는 이들을 ‘청렴한 성인(聖之淸者)’이라 하였다. 조선시대 사육신인 성삼문도 “수양산 바라보며 이제(夷齊)를 한하노라”라는 시조로, 백이숙제를 빗대어 단종에 대한 지조와 충절을 노래한 바 있다.

 

원망하는 백이

 

한편 백이숙제는 ‘원망(怨)’과 관련해서도 유명한데 이는 공자가 백이숙제에 대해 “무엇을 원망했겠는가(又何怨)”라고 한 말에 사마천이 의문을 달았기 때문이다. 공자는 “백이와 숙제는 지나간 원한을 생각하지 않으므로 다른 사람을 원망하는 일이 거의 없었다.(子曰 伯夷叔齊不念舊惡 怨是用希)”라고 했고, “인을 구하여 그것을 얻었는데 또 무엇을 원망하였겠는가?(求仁而得仁 又何怨)”라고 말했다. 그러니까 공자는 백이숙제가 원망이 없었을 것이라고 했는데, 사마천은 “나는 백이의 심경이 슬펐을 것으로 본다.(余悲伯夷之意)”며 그들에게 원망이 없지 않았을 것으로 보았다. 그렇게 말할 수 있었던 전거로는 당시 민간에서 돌고 있었던 채미가(採薇歌)를 들었다.

 

“저 서산에 올라 고사리를 캐노라. 폭력으로 폭력을 바꾸었건만 그 잘못을 모르는구나.

신농·우·하나라 때는 홀연히 지나갔으니 우리는 앞으로 어디로 돌아가야 하나?

아아! 이제는 죽음뿐, 우리 운명도 다했구나!”

(登彼西山兮 采其薇矣 以暴易暴兮 不知其非矣 神農虞夏忽焉沒兮 我安適歸矣 于嗟徂兮 命之衰矣) 『사기열전』 「백이열전」

 

사람들은 이러한 사마천의 질문이 그가 궁형(宮刑)을 당했던 일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았다. 사마천은 한창 『사기』를 집필 하던 중, 흉노 정벌에 패한 이릉장군의 편을 들어 한 마디 했다가 한(漢) 무제의 노여움을 사서 죽을 위기에 놓였었다. 당시 그는 세 가지 형벌 중에 하나를 고를 수 있었는데 첫째 법에 따라 사형을 당하는 것, 둘째 돈 50만 전을 내고 죽음을 면하는 것, 셋째 궁형을 감수하는 것이었다. 귀족이 아니었던 그는 50만 전이라는 큰돈을 마련할 수 없고, 『사기』를 끝내기 전에는 죽을 수도 없었다. 죽음보다 못하다고 생각했지만 그는 궁형을 택했다.

그러니까 「백이 열전」을 통해 사마천이 이렇게 묻는 듯하다. “하늘의 이치는 사사로움이 없어 늘 착한 사람과 함께 한다.(天道無親 常與善人)”고 하였는데 백이숙제와 같은 사람은 왜 굶어죽고, 나는 또 왜 궁형을 당했을까? 정말 백이숙제에게 원망이 없었을까?

 

 

원망이 없는 백이

 

공자가 55세가 되던 해, 그는 제자들과 함께 노나라를 떠나 위(衛)나라에 갔다. 위 영공(靈公)을 만나 곧 등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했지만 영공은 그를 귀인으로 대접해 주기만하고 끝내 등용하지는 않았다. 노나라를 떠난 지 4년이 되던 해, 영공이 죽었다. 영공의 손자가 군주의 자리에 오르니 출공(出公)이었다. 아마도 이때 공자와 제자들은 다시 한 번 위나라에서 등용될 수 있지 않을까하는 기대가 있었을 것이다. 그런데 출공의 아버지, 그러니까 영공의 아들인 괴외, 그는 이전에 영공에 의해 쫓겨나 진(晉)나라에 가 있었다. 출공이 즉위했다는 소식을 듣고, 영공의 아들인 자기가 왕이 되어야 한다며 위나라로 돌아오려고 했다. 그러나 위나라 사람들은 그가 아버지에게 죄를 짓고 쫓겨났기 때문에 군주의 자리에 올릴 수 없다고 여겼고, 아들인 출공 역시 아버지의 귀국을 달가워하지 않았다.

이런 위나라의 상황 속에서 제자 염유가 공자의 거취를 궁금해 했다.

 

염유가 말했다. “선생님께서 위나라 임금을 도우실까?”

자공이 말했다. “글쎄, 내가 이제 물어 볼께.”

자공이 들어가 공자께 물었다. “백이와 숙제는 어떤 사람입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옛날의 현인이시다.”

“원망했을까요?”

“인을 구하여 인을 얻었으니 또 무엇을 원망했겠는가.”

자공이 나와서 말했다. “선생님께서는 돕지 않으실 것야.”

(冉有曰 夫子爲衛君乎 子貢曰 諾 吾將問之 入曰 伯夷叔齊何人也 曰 古之賢人也 曰 怨乎 曰 求仁而得仁 又何怨 出曰 夫子不爲也.) 「술이,14」

 

인을 구하여 인을 얻었다

 

백이숙제에 대한 공자의 평은 이렇게 위나라의 상황과 관련되어 있다. 백이는 아버지가 동생인 숙제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싶어 하는 걸 알고 ‘아버지의 명’이라 하여 나라를 떠났다. 또 숙제는 형을 쫓아내고 동생이 왕위에 오르는 것은 천륜(天倫)을 거스르는 것이라고 하여 나라를 떠난다. 이 두 사람의 행동은 효제(孝悌)를 따른 것으로, 공자는 이것을 “인(仁)을 얻고자하여 인을 얻었다.”라고 말했다. 이를 위나라의 상황과 연결해 보자. 출공과 그의 아버지 괴외는 지금, 서로 왕이 되겠다고 권력다툼을 하고 있다. 아버지는 아들의 자리를 빼앗으려하고, 아들은 아버지의 귀국을 막았다. 아버지는 아버지답지 않고, 아들은 아들답지 않다. 공자는 정치는 곧 ‘이름을 바르게 하는 것(正名)’이라고 말했다. 그러므로 자공은 공자가 위나라에서 벼슬하지 않을 것임을 눈치 챌 수 있었다.

“무슨 원망이 있었겠는가?”는 백이와 숙제가 서로 왕위를 양보했던 일이 인(仁)을 행한 것이었기 때문에 원망이 있지 않을 것이라고 본 것이다. 주자는 주에서 원망(怨)을 후회(悔)로 풀었는데, 따라서 이들이 자기가 옳다고 여긴 가치관에 따라 행동한 것을 후회하지 않았을 것으로 보았다. 그러면 사마천은 왜 그들이 원망이 있었을 것이라고 보았을까? 이는 사마천이 공자와 달리 그들의 감정에 더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이다. “백이의 심경이 슬펐을 것”이라는 것, 이는 공자와 다른 맥락에서 백이숙제를 보고 있음을 말하는 것이다. 그들이 특별히 잘못한 것도 없고, 오히려 바르게 살았음에도 굻어 죽을 처지에 놓인 것에 대해 정말 한 번도 후회하지 않고, 누구를 미워하지 않을 수 있었을까? 그러니까 사마천은 백이숙제의 마음, 즉 슬픔(悲)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이들에게 원망이 있었을 것이라고 보았다.

 

원망이 없을 수야

 

‘지조 있고 청렴한 선비로서의 백이숙제’ 보다는 ‘원망하는 백이숙제’의 모습이 훨씬 더 가깝게 느껴진다. 아무리 자기의 신념에 따라 선택한 일이 옳은 일이라고 하더라도, 곤궁한 처지에 놓인다면 누구나 한번쯤은 원망하는 마음을 갖게 되지 않을까? 그러니까 “인을 구하여 인을 얻었으니 무슨 원망이 있겠느냐?”고 말한 공자보다 백이숙제에게 원망이 있었을 것이라고 보는 사마천의 말이 더 실감나게 느껴진다. 또 사마천의 물음 “백이숙제와 같이 착한 사람이 왜 굶어 죽어야 하는가?”를 보면 어떻게 원망이 없을 수가 있냐고 나도 묻고 싶었다.

그러나 공자가 백이숙제에 대해 한 말을 곱씹어 보니 한편으로 이 말도 이해가 가는 듯하다. “인(仁)을 구하여 인을 얻었다.”는 것을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내가 해야겠다고 생각한 일을 정말 열심히 하고 난 뒤, 그 일이 혹 원하는 대로 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후회 없어!”라고 말 할 때가 바로 이런 것 아닐까? 어떤 일에 여지를 남기지 않았을 때, 다른 사람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상관없이 자기 스스로 만족함을 느낄 때, “무슨 원망이 있겠는가?”라고 말 할 수 있을 것이다.

공자는 원망을 멀리해야 한다고 했는데 원망이 꼭 나쁘기만 할까? 어떻게 보면 사마천이 쓴 『사기』가 단순한 역사책 이상이 될 수 있었던 것은 그가 받은 궁형이 오히려 인간의 삶에 대한 깊은 성찰을 가능하게 했기 때문일 것이다. 또 고(故) 이한열 열사의 어머니 배은심 여사처럼 자식을 가슴에 묻고도 원망을 개인적인 원한으로 남기지 않고, 세상을 좀 더 나은 곳으로 바꾸기 위해 힘쓴 분들도 계시지 않은가.

그러고 보니 중요한 것은 ‘원망’이 있었는지, 없었는지를 질문하는 것이 아닌 듯하다. 사마천의 이야기에서도, 공자의 이야기에서도 중요한 것은 ‘삶의 태도’인 것 같다. 자신들이 옳지 않다고 생각한 일은 하지 않는 것, 혹은 옳다고 생각한 일을 거침없이 할 수 있었던 것. 원망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그 원망에 어떻게 대처할 수 있을지.

댓글 3
  • 2022-02-14 08:55

    어떤 사태를 해석하는 입장에서 원망은 피해갈 수 없는 난제네요^^ 공자에게도 사마천에게도 그리고 우리도^^ ㅋ

  • 2022-02-14 13:11

    삶의 태도라.....? 다른 질문을 해보게 하는 글이네요

  • 2022-02-15 08:29

    백이숙제를 열전의 맨 앞에 배치한 사마천의 공감은 그렇다치고

    공자님의 진퇴를 가늠하기 위해 백이숙제에 대해 물어본 자공을 보건대 공자님도 백이숙제에게 공감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듯해요

    인을 구하여 인을 얻었으니 무슨 원망이 있으랴!!!

     

영화대로 42길
    언제 어디서나 영화를 볼 수 있지만, 정작 영화에 대해 묻지 않는 시대. 우리는 영화와 삶의 사이길, 영화대로 사는 길에 대한 질문으로, 산업과 자본의 도구가 아닌 영화로서의 영화를 보고 읽습니다.   *본 리뷰에 사용된 이미지에 대한 저작권은 해당 영화에 있습니다.     나무를 닮은 사람   다르덴 형제의 <아들(Le Fils/2002>     아들 살해범을 만났다   주인공 올리비에의 아들은 5년 전에 살해당했다. 그 후 올리비에는 아내와 헤어졌고 하던 일도 그만두었다. 지금은 청소년 재활센터에서 아이들에게 목수 일을 가르친다. 아들을 잃은 그가 왜 범죄를 저지른 아이들의 갱생을 돕는지는 알 수 없다. 영화는 올리비에의 뒷모습으로 시작되는데, 그는 자기 아들을 살해한 프란시스가 재활센터에 왔다는 것을 확인하는 중이다. 그가 동요한다는 것은 근접 촬영하는 카메라로 인해 전달된다. 초점은 어긋나고 사각의 프레임 안의 이미지는 흔들린다. 우리에게도 질문이 던져진다. 만약 자신이 사랑하는 존재가 살해당했는데 그 살인범을 지금 만났다. 그렇다면, 이제 무엇을 하겠는가.     보통 관객들은 의식하지 않더라도 카메라 시점을 따라 감독이 의도한 바를 따라가게 마련이다. 그런데 이 영화는 너무 가까이, 너무 흔들리는 시점을 보여주기에 ‘영화 보기’에 있어서 낯선 경험을 하게 된다. 그렇게 카메라가 비추는 이미지 외에 어떤 설명도 따라붙지 않는다. 또 영화음악도 전혀 나오지 않는다. 대신 그 자리를 사물이 내는 소리나 인물들의 대사와 호흡으로 오롯이 채워 넣는다. 시간이 흘러가도 올리비에가 어떤 마음을 품고 있는지가 명확하게 전달되지...
    언제 어디서나 영화를 볼 수 있지만, 정작 영화에 대해 묻지 않는 시대. 우리는 영화와 삶의 사이길, 영화대로 사는 길에 대한 질문으로, 산업과 자본의 도구가 아닌 영화로서의 영화를 보고 읽습니다.   *본 리뷰에 사용된 이미지에 대한 저작권은 해당 영화에 있습니다.     나무를 닮은 사람   다르덴 형제의 <아들(Le Fils/2002>     아들 살해범을 만났다   주인공 올리비에의 아들은 5년 전에 살해당했다. 그 후 올리비에는 아내와 헤어졌고 하던 일도 그만두었다. 지금은 청소년 재활센터에서 아이들에게 목수 일을 가르친다. 아들을 잃은 그가 왜 범죄를 저지른 아이들의 갱생을 돕는지는 알 수 없다. 영화는 올리비에의 뒷모습으로 시작되는데, 그는 자기 아들을 살해한 프란시스가 재활센터에 왔다는 것을 확인하는 중이다. 그가 동요한다는 것은 근접 촬영하는 카메라로 인해 전달된다. 초점은 어긋나고 사각의 프레임 안의 이미지는 흔들린다. 우리에게도 질문이 던져진다. 만약 자신이 사랑하는 존재가 살해당했는데 그 살인범을 지금 만났다. 그렇다면, 이제 무엇을 하겠는가.     보통 관객들은 의식하지 않더라도 카메라 시점을 따라 감독이 의도한 바를 따라가게 마련이다. 그런데 이 영화는 너무 가까이, 너무 흔들리는 시점을 보여주기에 ‘영화 보기’에 있어서 낯선 경험을 하게 된다. 그렇게 카메라가 비추는 이미지 외에 어떤 설명도 따라붙지 않는다. 또 영화음악도 전혀 나오지 않는다. 대신 그 자리를 사물이 내는 소리나 인물들의 대사와 호흡으로 오롯이 채워 넣는다. 시간이 흘러가도 올리비에가 어떤 마음을 품고 있는지가 명확하게 전달되지...
띠우
2024.04.28 | 조회 79
토용의 서경리뷰
신화가 역사가 되다   정치는 실종되고 ‘심판’만 있었던 총선이 끝났다. 공약이 뭐였는지도 모르겠다. 민생은 아랑곳없이 저들만의 욕망을 채우려는 선거를 언제까지 봐야할지.... 의식주를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살 만한 세상, 보통 사람들이 소박하게 꿈꾸는 세상일 것이다. 저마다 각자 살 만한 세상에 대한 감각은 다르겠지만, 동양고전 특히 유가에 관한 책들을 읽다보면 살 만한 세상의 전형으로 ‘요순의 시대’가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요와 순은 유가에서 가장 존경받아온 성왕이다. 요와 순이 다스렸던 시대는 태평성대라 불렸다. 이 시대의 사람들은 자신들의 통치자가 누구인지 크게 관심이 없었다. 통치자도 자신들을 특별하게 드러내지 않았다. 각자 자신의 자리에서 자연에 따라 할 일을 할 뿐이었다. 나라는 원만하게 잘 운영되며 그 속의 사람들은 자신들의 일상에 만족하며 살았다. 유가는 이러한 요순의 정치를 이상적인 정치로 생각했다.   이렇게 대단한 통치자 요와 순은 어느 시대 임금이었나? 안타깝게도 실존 인물이 아니라 전설에 존재하는 임금이다. 그렇기 때문에 요와 순은 중국고대사에서 찾을 것이 아니라 중국의 고대신화에서 찾아야 한다. 그러나 신화 속의 요는 반인반수의 모습이라든지 특별한 능력을 가진 인물로 나오지 않는다. 마치 어딘가에 살았을 원시 부족의 후덕한 부족장의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 이에 반해 『서경』과 『사기』에서는 요와 순을 역사상 실존한 군주로 기록한다. 『서경』은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요와 순의 언행을 기록한 「우서(虞書)」, 하(夏)‧상(商)‧주(周) 각 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하서」, 「상서」, 「주서」가 그것이다. 「우서」의 처음 <요전(堯典)>과 <순전(舜典)>은 요와 순이 가진 덕과 그...
신화가 역사가 되다   정치는 실종되고 ‘심판’만 있었던 총선이 끝났다. 공약이 뭐였는지도 모르겠다. 민생은 아랑곳없이 저들만의 욕망을 채우려는 선거를 언제까지 봐야할지.... 의식주를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살 만한 세상, 보통 사람들이 소박하게 꿈꾸는 세상일 것이다. 저마다 각자 살 만한 세상에 대한 감각은 다르겠지만, 동양고전 특히 유가에 관한 책들을 읽다보면 살 만한 세상의 전형으로 ‘요순의 시대’가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요와 순은 유가에서 가장 존경받아온 성왕이다. 요와 순이 다스렸던 시대는 태평성대라 불렸다. 이 시대의 사람들은 자신들의 통치자가 누구인지 크게 관심이 없었다. 통치자도 자신들을 특별하게 드러내지 않았다. 각자 자신의 자리에서 자연에 따라 할 일을 할 뿐이었다. 나라는 원만하게 잘 운영되며 그 속의 사람들은 자신들의 일상에 만족하며 살았다. 유가는 이러한 요순의 정치를 이상적인 정치로 생각했다.   이렇게 대단한 통치자 요와 순은 어느 시대 임금이었나? 안타깝게도 실존 인물이 아니라 전설에 존재하는 임금이다. 그렇기 때문에 요와 순은 중국고대사에서 찾을 것이 아니라 중국의 고대신화에서 찾아야 한다. 그러나 신화 속의 요는 반인반수의 모습이라든지 특별한 능력을 가진 인물로 나오지 않는다. 마치 어딘가에 살았을 원시 부족의 후덕한 부족장의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 이에 반해 『서경』과 『사기』에서는 요와 순을 역사상 실존한 군주로 기록한다. 『서경』은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요와 순의 언행을 기록한 「우서(虞書)」, 하(夏)‧상(商)‧주(周) 각 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하서」, 「상서」, 「주서」가 그것이다. 「우서」의 처음 <요전(堯典)>과 <순전(舜典)>은 요와 순이 가진 덕과 그...
토용
2024.04.27 | 조회 70
봄날의 주역이야기
주역은 점치는 책이다. 그런데 점치는 방법이 제대로 전해지지 않고 있다. 그런데도 주역이 많은 사람들에게 읽히는 것은, 주역은 점을 치는 책으로 인정받았지만, 한편으로는 그 내용과 의미를 꼼꼼히 원리와 뜻을 따져가며 해석해서 읽어도 충분한 가치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원리를 따져가며 읽는 방식의 주역을 의리역(義理易)이라고 한다. 하지만 그러한 구분은 별로 의미가 없다. 점을 치면서도 그 해석을 의리적으로 하기도 하고 의리역으로서 주역을 읽으면서 수시로 점을 치기도 한다. 어쩌면 두 가지 방식을 적절하게 취하는 것이 지혜로운 태도일 수 있다. 가끔 혼자 혹은 함께 모여 시초점으로 괘를 뽑고 이것을 해석하는 재미가, 주역이 다른 텍스트와 구별되는 매력이 되기도 한다. 점을 쳐서 화수미제(火水未濟)괘를 얻었다고 치자. 그럼 나는 생각해본다. 나에게 왜 이 화수미제괘가 왔을까? 주역을 공부하기 시작한 초기에는 우선 이 괘가 길흉, 즉 좋은지 나쁜지를 먼저 따졌었다. 지금은 그것이 그다지 의미가 없다는 것을 잘 안다. 어떤 괘가 오든지 내내 좋기만 하든지, 내내 나쁘기만 한 괘는 없기 때문이다. 오히려 좋다고 환호하고 있을 때 막바지에 다가올 불운을 캐치해내지 못하는 것이, 나쁜 괘를 받아들고 심사숙고해서 해결책을 찾아내는 것보다 더욱 큰 낭패를 보는 일이 종종 있다.   정(正)도 없고 응(應)도 기댈 바 없고 화수미제괘는 주역 64괘의 순서에서 마지막에 위치한 괘이다. 하나의 괘를 이루는 여섯 효는 음양의 배치에 원칙이 있다. 이 원칙에 따르면 첫 번째부터 여섯 번째 효의 자릿값의 순서는 양-음-양-음-양-음이다. 63번째 괘인...
주역은 점치는 책이다. 그런데 점치는 방법이 제대로 전해지지 않고 있다. 그런데도 주역이 많은 사람들에게 읽히는 것은, 주역은 점을 치는 책으로 인정받았지만, 한편으로는 그 내용과 의미를 꼼꼼히 원리와 뜻을 따져가며 해석해서 읽어도 충분한 가치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원리를 따져가며 읽는 방식의 주역을 의리역(義理易)이라고 한다. 하지만 그러한 구분은 별로 의미가 없다. 점을 치면서도 그 해석을 의리적으로 하기도 하고 의리역으로서 주역을 읽으면서 수시로 점을 치기도 한다. 어쩌면 두 가지 방식을 적절하게 취하는 것이 지혜로운 태도일 수 있다. 가끔 혼자 혹은 함께 모여 시초점으로 괘를 뽑고 이것을 해석하는 재미가, 주역이 다른 텍스트와 구별되는 매력이 되기도 한다. 점을 쳐서 화수미제(火水未濟)괘를 얻었다고 치자. 그럼 나는 생각해본다. 나에게 왜 이 화수미제괘가 왔을까? 주역을 공부하기 시작한 초기에는 우선 이 괘가 길흉, 즉 좋은지 나쁜지를 먼저 따졌었다. 지금은 그것이 그다지 의미가 없다는 것을 잘 안다. 어떤 괘가 오든지 내내 좋기만 하든지, 내내 나쁘기만 한 괘는 없기 때문이다. 오히려 좋다고 환호하고 있을 때 막바지에 다가올 불운을 캐치해내지 못하는 것이, 나쁜 괘를 받아들고 심사숙고해서 해결책을 찾아내는 것보다 더욱 큰 낭패를 보는 일이 종종 있다.   정(正)도 없고 응(應)도 기댈 바 없고 화수미제괘는 주역 64괘의 순서에서 마지막에 위치한 괘이다. 하나의 괘를 이루는 여섯 효는 음양의 배치에 원칙이 있다. 이 원칙에 따르면 첫 번째부터 여섯 번째 효의 자릿값의 순서는 양-음-양-음-양-음이다. 63번째 괘인...
봄날
2024.04.22 | 조회 132
영화대로 42길
      언제 어디서나 영화를 볼 수 있지만, 정작 영화에 대해 묻지 않는 시대.  우리는 영화와 삶의 사이길, 영화대로 사는 길에 대한 질문으로,  산업과 자본의 도구가 아닌 영화로서의 영화를 보고 읽습니다.   *본 리뷰에 사용된 이미지에 대한 저작권은 해당 영화에 있습니다.       • 이번 '영화대로42길'로 가는 법은 '같은 영화 다른 이야기' 컨셉입니다. 그 세 번째 영화는 <아들>(2002)입니다.            우리가 흔들릴 차례 아들 Le Fils | 드라마/미스터리 | 벨기에, 프랑스 | 102분 | 2002       ※ 일부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영화의 시작인 ‘인트로’는 그 영화의 첫인상이자 분위기를 보여준다. 다르덴 형제의 <아들>(2002)은 음악도 없이 흔들리는 어떤 ‘형상’을 보여줄 뿐이다. 그 위로 건조하게 제작자, 주연배우, 감독의 이름 등이 보였다 사라진다. 마치 <히로시마 내 사랑>(1959)이 생각나는 ‘인트로’를 보고 있으니 ‘아, 이번 영화도 뭔가 쉽지는 않겠구나’는 느낌이 팍팍 든다. 다르덴 형제의 이름과 영화의 원어제목 ‘Le Fils’이 사라지면, 카메라는 천천히 움직이며 그 흔들리는 ‘형상’이 바로 ‘올리비에’(올리비에 구르메, 배우의 이름을 그대로 등장인물 이름으로 사용했다)의 ‘등’이었음을 보여준다. 그렇다. ‘인트로’처럼 영화는 대부분 올리비에의 ‘등과 뒷모습’을 시종일관 따라다닐 거라고 미리 알려주고 있다. 이제는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사실이지만, 다르덴 형제는 혹독한 수준의 리허설로 유명하다. 이유는 영화가 배우들의 ‘몸’을 통해 관객과 소통하길 원하기 때문이다. 여러 번 동선을 구성해보고, 몇 가지...
      언제 어디서나 영화를 볼 수 있지만, 정작 영화에 대해 묻지 않는 시대.  우리는 영화와 삶의 사이길, 영화대로 사는 길에 대한 질문으로,  산업과 자본의 도구가 아닌 영화로서의 영화를 보고 읽습니다.   *본 리뷰에 사용된 이미지에 대한 저작권은 해당 영화에 있습니다.       • 이번 '영화대로42길'로 가는 법은 '같은 영화 다른 이야기' 컨셉입니다. 그 세 번째 영화는 <아들>(2002)입니다.            우리가 흔들릴 차례 아들 Le Fils | 드라마/미스터리 | 벨기에, 프랑스 | 102분 | 2002       ※ 일부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영화의 시작인 ‘인트로’는 그 영화의 첫인상이자 분위기를 보여준다. 다르덴 형제의 <아들>(2002)은 음악도 없이 흔들리는 어떤 ‘형상’을 보여줄 뿐이다. 그 위로 건조하게 제작자, 주연배우, 감독의 이름 등이 보였다 사라진다. 마치 <히로시마 내 사랑>(1959)이 생각나는 ‘인트로’를 보고 있으니 ‘아, 이번 영화도 뭔가 쉽지는 않겠구나’는 느낌이 팍팍 든다. 다르덴 형제의 이름과 영화의 원어제목 ‘Le Fils’이 사라지면, 카메라는 천천히 움직이며 그 흔들리는 ‘형상’이 바로 ‘올리비에’(올리비에 구르메, 배우의 이름을 그대로 등장인물 이름으로 사용했다)의 ‘등’이었음을 보여준다. 그렇다. ‘인트로’처럼 영화는 대부분 올리비에의 ‘등과 뒷모습’을 시종일관 따라다닐 거라고 미리 알려주고 있다. 이제는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사실이지만, 다르덴 형제는 혹독한 수준의 리허설로 유명하다. 이유는 영화가 배우들의 ‘몸’을 통해 관객과 소통하길 원하기 때문이다. 여러 번 동선을 구성해보고, 몇 가지...
청량리
2024.04.14 | 조회 172
우현의 독서가 테크트리
    바닷가를 향하며 – 지그문트 바우만, 『사회학의 쓸모』 리뷰     사회학자-테크트리?  올해 내가 참여하는 세미나 중 하나로 사회학 세미나가 꾸려졌다. 이 세미나는 나를 장래의 ‘사회학 세미나의 튜터’로 키우겠다는 정군샘의 포부와 함께 만들어졌다. “사회학?” 정군샘은 평소 나의 글을 보며 사회학에 관심이 많은 것 같다고 하셨지만, 난 사실 ‘사회학’이라는 표현 자체가 낯설다. 내가 평소에 사회 문제나 이슈를 다룬 글들을 좋아하고, 그런 글을 쓰고 싶어 하는 건 사실이다. 하지만 그게 ‘사회학’이라는 학문으로 연결되는지는 확신이 없었다. 애초에 ‘사회학’이라는 말의 범주는 너무 넓은 게 아닐까? 하물며 ‘사회학자’까지는 아니더라도, 내 전공을 ‘사회학’으로 삼을만한 동기나 마음이 나에게 있을까? 이런 나의 상태를 간파했다는 듯이, 정군샘은 독서가 테크트리의 다음 책으로 『사회학의 쓸모』를 추천했다. 저명한 사회학자 지그문트 바우만과의 대담을 편찬한 책이다. 바우만은 나에게 사회학에 대한 확신을 심어줄 수 있을까?   사회학이 뭔데?  ‘사회학’이 뭘까? 바우만은 서론에서부터 사회학이라는 학문이 정의되기 힘든 점을 짚어주고 있는데, “사회학은 그 자체로 사회학의 연구 대상인 ‘사회세계’social world의 일부분”이기 때문이다.(14) 다른 대부분의 학문은 학문과 연구의 대상을 분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학을 연구하는 건 ‘화학의 세계’에 들어가서 전문 지식을 발휘해야만 한다. 일반인들은 ‘화학의 세계’를 살아갈 일이 많지 않으며, 그 세계는 전문 학자들의 영역으로 남는다. 반면 ‘사회세계’는 세상 사람들 모두가 살아가는 공간이고, 딱히 사회학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살아가는 데 문제가 없다. 그래서 사회학은 ‘과학’과 같은 지위를...
    바닷가를 향하며 – 지그문트 바우만, 『사회학의 쓸모』 리뷰     사회학자-테크트리?  올해 내가 참여하는 세미나 중 하나로 사회학 세미나가 꾸려졌다. 이 세미나는 나를 장래의 ‘사회학 세미나의 튜터’로 키우겠다는 정군샘의 포부와 함께 만들어졌다. “사회학?” 정군샘은 평소 나의 글을 보며 사회학에 관심이 많은 것 같다고 하셨지만, 난 사실 ‘사회학’이라는 표현 자체가 낯설다. 내가 평소에 사회 문제나 이슈를 다룬 글들을 좋아하고, 그런 글을 쓰고 싶어 하는 건 사실이다. 하지만 그게 ‘사회학’이라는 학문으로 연결되는지는 확신이 없었다. 애초에 ‘사회학’이라는 말의 범주는 너무 넓은 게 아닐까? 하물며 ‘사회학자’까지는 아니더라도, 내 전공을 ‘사회학’으로 삼을만한 동기나 마음이 나에게 있을까? 이런 나의 상태를 간파했다는 듯이, 정군샘은 독서가 테크트리의 다음 책으로 『사회학의 쓸모』를 추천했다. 저명한 사회학자 지그문트 바우만과의 대담을 편찬한 책이다. 바우만은 나에게 사회학에 대한 확신을 심어줄 수 있을까?   사회학이 뭔데?  ‘사회학’이 뭘까? 바우만은 서론에서부터 사회학이라는 학문이 정의되기 힘든 점을 짚어주고 있는데, “사회학은 그 자체로 사회학의 연구 대상인 ‘사회세계’social world의 일부분”이기 때문이다.(14) 다른 대부분의 학문은 학문과 연구의 대상을 분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학을 연구하는 건 ‘화학의 세계’에 들어가서 전문 지식을 발휘해야만 한다. 일반인들은 ‘화학의 세계’를 살아갈 일이 많지 않으며, 그 세계는 전문 학자들의 영역으로 남는다. 반면 ‘사회세계’는 세상 사람들 모두가 살아가는 공간이고, 딱히 사회학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살아가는 데 문제가 없다. 그래서 사회학은 ‘과학’과 같은 지위를...
우현
2024.04.09 | 조회 212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