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드다-남은 이야기> Hasta la vista, <길드다>! (김고은)

문탁
2022-03-25 12:01
312

고은

 

 

  지금으로부터 약 4개월 전, <아젠다>에 <길드다의 흥? 망? 성? 쇠?>라는 글을 썼다. 현재의 <길드다>가 위기에 처했고, 앞으로 어떻게 될지 알 수 없다는 내용이었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아젠다>에는 <길드다>에 변화가 찾아올 것이라는 공지가 올라갔다. 그 사이에 <길드다>에서 명확하게 입장을 밝힌 사람은 나였다. 친구들에게 “이렇게는 더 이상 못할 것 같다”고 말했다. 딱히 결정적인 사건이 있었던 건 아니었다. 비슷한 상황이 반복되는 것을 한 회의에서 확인했고, 더 이상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없음을 깨달았다. 

 

 

1. 의견 차이가 좁혀지지 않고…

 

  “이렇게는 못하겠다”는 말은 무척 애매해보인다. ‘이렇게’가 뭔데? 마지노선이나 조건이 있다는 말인가? 그렇다면 그건 뭔데? 지금 글로 풀어보려 해도 ‘이렇게’가 무엇인지 설명하기 어렵지만, 길드다의 사장님과 친구들은 모두 내 말을 알아들었다. 그 말을 하는 타이밍이 하필 지금이냐고 물어본 사람은 있었어도, 그 말이 도대체 무슨 말이냐고 물어보는 사람은 없었다. 나의 입장은 ‘이렇게는’ 계속할 수 없다는 것이었으므로, <길드다>엔 변화해야 할 명분이 생겼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우리들은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문탁쌤이 헤드의 역할을 내려놓자 우리가 가진 생각의 차이는 더 분명하게 드러났다. 지원과 명식은 <길드다>를 이대로 유지하고 싶어했고, 자신들 개인의 일도 계속 하고 싶어했다. 그러나 <길드다>에 더 자주 나오거나 운영 일을 더 할 수는 없다고 했다. 그 말은 나와 우현이 앞으로도 계속 <길드다> 운영에 전력을 쏟아야 한다는 뜻이었다. <길드다> 의의에 적합한 역할 분담이 아니었다. 적어도 그때까지의 의의에 따르면 <길드다>는 각자가 각자의 영역에서 목소리를 키우고, 동시에 함께 일하며 서로의 역량을 키워주는 곳이었다. 그것이 우리가 돈을 많이 못 벌고 그럴싸한 증명장을 받지 못해도 <길드다>를 계속하는 유일한 이유였다.

 

  우리가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했던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원체 성격이나 스타일이 너무 달라서? 일리가 있다. 합의에 이를 수 없는 영역이기 때문에? 그럴 수도 있다. 서로의 생각을 살피고 들으려는 능력이 부족해서? 꽤나 타당하다. 10년을 함께 공부하고 5년을 함께 일했으면 이제 그만할 때도 되었으니까? 그런 면도 있다. 다양한 이유가 쌓이고 쌓여서 우리는 각자의 입장을 내려놓지 못했다. 혹은 각자의 입장 때문에 다른 사람의 입장을 살피지 못했다.

 

  결국 <길드다>는 ‘이렇게’ 계속 하지 않기로 했고, 다른 방식의 ‘저렇게’를 찾지도 못했다. 그래서 ‘요렇게’ 하고자 하는 누구누구와 ‘조렇게’ 하고자 하는 누구누구로 나뉘게 되었다.

 

 
 

2. 어쩌면 마지막 다투기

 

  나의 입장 표명은 속 시원하기 위해서라거나 홀가분하기 위해서 한 행동이 아니었다. 실제로도 일은 만만하게 풀리지 않았다. 아마 모두가 어떤 말들을 끊임없이 삼켰을 것이고, 혼자서 눈물을 쏟기도 했을 것이며, 여러 감정의 오르내림을 느꼈을 것이다. 내겐 조금 괴로우면서도 동시에 소중한 시간이었다. 이렇게 다투는 마지막 시간일 것이라는 예감이 들었기 때문이다. 특히 지원, 명식과는 내가 20살이었을 때부터 10년을 그렇게 보내왔다. 우리는 소리 지르며 싸우다가도(“난 너랑 친구라고 생각 안 해!”, “그런 눈으로 쳐다보지 마!”, “내가 최선을 다하지 않았다는 거야?”), 뒤돌아 포옹하며 화해했다. 나는 그런 지원과 명식을 꽤 미워한다. 하지만 그와 비교도 할 수 없을 만큼 사랑하기도 한다. 

 

  <길드다>를 하면서 문탁쌤에게 가장 많이 받았던 피드백은 너무 열심히 하지 말라는 것이었다. 몸은 그렇게 유연하면서 사람이 어찌 그리 유연하지 못하냐고 말이다. 다른 친구들도 나의 뻣뻣함에 몸서리쳤을지도 모른다. <길드다>에 대한 입장을 명확하게 하고 난 뒤 나에게 가장 빠르게 찾아온 변화는 장난기가 많아졌다는 것이다. 그러고 보니 생각이 났다. 그동안 나 역시도 스스로 학창시절부터 모범생이었다고 말하고 다녔지만, 사실 학창시절엔 선생님들이나 나를 모범생으로 여겼고 친구들은 나를 장난꾸러기라고 생각했다. 친구들을 보면 항상 장난칠 궁리만 했고, 쉬는 시간엔 친구들과 복도를 뛰어다녔었다. 다시 장난칠 궁리만 하고 있는 요즘, 내게 꽤 잘 맞는 옷을 입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수영을 시작한 것도 큰 도움이 되었다. 중학생 이후로 수영장에 처음 갔기에 모든 것이 서툴렀지만, 서툴러서 오히려 좋았다. 수영강습을 받는 나를 본 동생이 왜 그렇게 계속 웃냐고, 못하겠다고 말하면서 뭐가 그렇게 행복하냐고 물었다. 무언가를 챙기고 살피고 여며야 한다는 강박감이 옅어지니 작은 일에도 못 하겠다고 찡얼거릴 수 있게 되었다. 내가 이것을 조금 더 일찍 할 수 있었다면 <길드다>의 앞길이 조금 달라졌을까, 라는 생각도 어렴풋이 들었지만 흘려보냈다. 대신 이것을 <길드다>의 친구들에게 받은 선물이라 생각하기로 했다. 혈기왕성했던 나를 20살부터 받아준, <길드다>를 시작하고 언젠가부터 경직되었던 나로 인해 고생한 친구들에게 미안한 마음과 고마운 마음을 전하고 싶다.

 

  올해 29살, 기존의 <길드다>를 정리하며 내게 무엇이 있고 무엇이 없는지 생각해본다. 일단 나를 증빙할 서류가 거의 없다는 것은 확실하다. 20대까지 사회적으로 무언가를 쌓고 30대부터 일을 하는 시기라고 본다면, 내가 앞으로 무슨 일을 할 수 있을까 걱정스럽다. 내게 없는 것이 확실하듯, 내게 있는 것도 확실하다. 무슨 일을 해도 잘할 것이라는 근거 없는 자신감이 생겼고, 같은 일이 비슷한 언어를 쓰면서 분노할 줄 아는 친구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되었으며, <길드다>를 통해 만난 멋진 친구들이 여전히 내 곁에 있다. 

 

  우선 나는 올 한 해 동안 내 곁에 있는 친구 중 한 명인 동은과 <한문이 예술> 수업을 하고, 또 다른 친구들을 인터뷰하는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문탁 네트워크>에서 우현·동은과 공부방 회원으로 공부하려고 한다. 각자의 자리에서 새로운 도전을 하다가, 또 언젠가 만나게 될 <길드다> 친구들에게 그리고 <아젠다>의 구독자들에게 인사를 건낸다. Hasta la vista!*

 

* Hasta la vista: ‘adios’가 ‘못 만날지도 모르지만’이라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면, 다시 만날 사람과 헤어질 땐 ‘hasta la vista’라고 써야 한단다. 스페인에서 친구와 헤어질 때 친구가 알려줬다.

 

AVvXsEjhmKLoytxTYnfGeJSMemz7ZoOBHUzBZIGQ28XtQkvQ8NRgpqNq38vMHoTIlg4kkDGzWaB3xzjouSckMjxDlPJZAsDC7sMRg38v4XpZdyWR-flc7DuUahqIbHNFKdj27rXcMm_BUW6b7207ct_tJ0NouMl72LPolz8Y10wTK2_SdryFm6fSmVa-6sXfBg=w640-h480

AVvXsEitUHTcQd4C1otq1zlpvjSoXXMIXmubF7S57siVGxMEwjDFSDn-xVWXkfyt5Wb7uoHoIJt9P6Zx3cNVLC9_ee_RN4ape7PZdmmMOMsSZsq4kCx79fDqw3v_5X42dyGy3NM34XFWzKrkc-3GKKdR2QLtZgLEEP2jWTeco0ZMoeMdn3Y59AbkJqfXbFJCEw=w640-h480

AVvXsEhtsgSsbDLG86tfojdgJL0Pbie6sAq31u2Onlyvg8VF_sjZ07RqDYvtKWsRrv0JL0CZ-U1y8c8RyQ8HBXqErTD4H5ifgMm_4LiAFEwi-3xHl3VS95UcLX44p064BTxqOraE8sV_Mwl0iNcQ4h1UY_b2dND4SYwN-Bf7sCf3B8O7PWqFvbUYS01OQ4wkrg=w640-h480
댓글 0
지난 연재 읽기 다른 20대의 탄생
* 20대 여성 페미니스트 고은은 <열녀전>을 읽고, 여성들의 팝박 받는 삶이 고대부터 이어진 것인지에 대한 의구심을 품게 되었습니다. '2022 청년 책의 해' 사업의 지원을 받아 작성한 이 글은 고대 여성들의 사회적인 역할을 오늘날 시각으로 이해해보려는 시리즈물입니다.       1. 바리스타 혹은 스파이 듀오      초등학생들과 <열녀전>으로 수업을 하던 첫날, 친구들에게 아무런 정보도 주지 않고 그림 한 장을 보여줬다. <열녀전>에 첫 번째로 등장하는 삽화였다. 산 길에 두 여자가 찻주전자를 들고 한 남자가 잔을 기울인다. 친구들에게 물었다. “이 세 사람은 어디에서 뭘 하고 있는 걸까? 어떤 관계일까?” 대답이 쉬이 나오지 않는다. 아주 낯선 것에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내가 먼저 대답한다. “나는 이 두 여자가 바리스타인 것 같아. 새로운 커피가 나와서 지나가는 손님에게 마셔보라고 한 잔 주는 거지.” 친구들이 꺄르륵 웃으며 되묻는다. “바리스타요?” “커피요?” 과거에 바리스타는 없었을 테지만, 음료를 판매하는 누군가는 있었을 테니까.            친구들은 비로소 긴장을 풀고 그림을 지긋이 쳐다보다 한 마디씩 보탠다. 어떤 친구가 두 여자가 건네는 찻주전자에 독이 들어있을 것이라 말한다. 뒤이어 찻잔을 기울이는 남자는 왕자일 것이라는 이야기가 붙는다. 한 나라의 왕자를 독살하기 위해 스파이 둘이 출동했을 거란 말이다. 거기서 그치지 않고 은비(가명)가 이야기를 한번 더 뒤집는다. 은비는 집에서 가장 먼저 일어나 혼자 책을 읽다가 부모님을 깨우는, 동화작가가 꿈인 친구다. “여자...
* 20대 여성 페미니스트 고은은 <열녀전>을 읽고, 여성들의 팝박 받는 삶이 고대부터 이어진 것인지에 대한 의구심을 품게 되었습니다. '2022 청년 책의 해' 사업의 지원을 받아 작성한 이 글은 고대 여성들의 사회적인 역할을 오늘날 시각으로 이해해보려는 시리즈물입니다.       1. 바리스타 혹은 스파이 듀오      초등학생들과 <열녀전>으로 수업을 하던 첫날, 친구들에게 아무런 정보도 주지 않고 그림 한 장을 보여줬다. <열녀전>에 첫 번째로 등장하는 삽화였다. 산 길에 두 여자가 찻주전자를 들고 한 남자가 잔을 기울인다. 친구들에게 물었다. “이 세 사람은 어디에서 뭘 하고 있는 걸까? 어떤 관계일까?” 대답이 쉬이 나오지 않는다. 아주 낯선 것에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내가 먼저 대답한다. “나는 이 두 여자가 바리스타인 것 같아. 새로운 커피가 나와서 지나가는 손님에게 마셔보라고 한 잔 주는 거지.” 친구들이 꺄르륵 웃으며 되묻는다. “바리스타요?” “커피요?” 과거에 바리스타는 없었을 테지만, 음료를 판매하는 누군가는 있었을 테니까.            친구들은 비로소 긴장을 풀고 그림을 지긋이 쳐다보다 한 마디씩 보탠다. 어떤 친구가 두 여자가 건네는 찻주전자에 독이 들어있을 것이라 말한다. 뒤이어 찻잔을 기울이는 남자는 왕자일 것이라는 이야기가 붙는다. 한 나라의 왕자를 독살하기 위해 스파이 둘이 출동했을 거란 말이다. 거기서 그치지 않고 은비(가명)가 이야기를 한번 더 뒤집는다. 은비는 집에서 가장 먼저 일어나 혼자 책을 읽다가 부모님을 깨우는, 동화작가가 꿈인 친구다. “여자...
고은
2022.09.08 | 조회 439
지난 연재 읽기 아젠다 사장칼럼
문탁       길드다의 4년 실험이 막을 내렸다. 공식적으로 말한다면, 길드다는 각 구성원의 조건과 욕망에 따라 두 팀으로 분화한다. 한 팀은 길드다 아젠다 활동을 계속해 나갈 것이고, 다른 한 팀은 유튜브 활동에 집중할 것이다. 길드다의 현재 역량과 상황을 반영한 구조조정이고 전진적 개편이다.      그러나 이런 쿨한 공식적 멘트 이면에서 내 속은 좀 복잡하다. 단순하게 말하면 길드다 4년 중 처음 2년간은 재미도 있었고 보람도 있었는데 이에 비해 후반부 2년은 힘은 힘대로 들고 마음은 고달팠다. 나는 대체로 답답했고 속이 터졌는데 그런데도 이 감정을 청년들에게 전달하는 건 쉽지 않았다.      약간의 회고는 불가피하다. 4년 전 길드다는, 4인(5인)의 청년 + 1인의 사장으로 구성된 “인문학 스타트업”으로 출발하였다. 처음부터 정체성이 애매하긴 했다. 4(5) + 1의 구조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분명하지 않았다. 그건 5+2가 될 수도 있는 것일까? 혹은 10+1도 괜찮다는 것이었을까?  ‘인문학 스타트업’이라는 표현도 마찬가지이다. 경제적 자립을 지향한다는 뜻을 담은 것이지만, 그것이 인문학 프로그램을 주요 사업모델로 한다는 것은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출발한 건, 내가 경험했던 인문학 공동체에서의 청년들의 위치 때문이었다.     나는 청년들이 중, 장년 중심의 인문학 공동체에서 ‘치이는’ 사례를 계속 봐왔다. 다시 말하면 성인 중심의 인문학 공동체에서 청년은 시작에서뿐만 아니라 시간이 흘러도 계속 ‘선생님(들)’께 배우고 혼나는 미숙한 학인의 위치에서 벗어나기 힘든 것 같았다. 게다가 문탁네트워크의 경우엔 ‘선생님’에 더해 (감수성의 측면에서) ‘엄마’들도...
문탁       길드다의 4년 실험이 막을 내렸다. 공식적으로 말한다면, 길드다는 각 구성원의 조건과 욕망에 따라 두 팀으로 분화한다. 한 팀은 길드다 아젠다 활동을 계속해 나갈 것이고, 다른 한 팀은 유튜브 활동에 집중할 것이다. 길드다의 현재 역량과 상황을 반영한 구조조정이고 전진적 개편이다.      그러나 이런 쿨한 공식적 멘트 이면에서 내 속은 좀 복잡하다. 단순하게 말하면 길드다 4년 중 처음 2년간은 재미도 있었고 보람도 있었는데 이에 비해 후반부 2년은 힘은 힘대로 들고 마음은 고달팠다. 나는 대체로 답답했고 속이 터졌는데 그런데도 이 감정을 청년들에게 전달하는 건 쉽지 않았다.      약간의 회고는 불가피하다. 4년 전 길드다는, 4인(5인)의 청년 + 1인의 사장으로 구성된 “인문학 스타트업”으로 출발하였다. 처음부터 정체성이 애매하긴 했다. 4(5) + 1의 구조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분명하지 않았다. 그건 5+2가 될 수도 있는 것일까? 혹은 10+1도 괜찮다는 것이었을까?  ‘인문학 스타트업’이라는 표현도 마찬가지이다. 경제적 자립을 지향한다는 뜻을 담은 것이지만, 그것이 인문학 프로그램을 주요 사업모델로 한다는 것은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출발한 건, 내가 경험했던 인문학 공동체에서의 청년들의 위치 때문이었다.     나는 청년들이 중, 장년 중심의 인문학 공동체에서 ‘치이는’ 사례를 계속 봐왔다. 다시 말하면 성인 중심의 인문학 공동체에서 청년은 시작에서뿐만 아니라 시간이 흘러도 계속 ‘선생님(들)’께 배우고 혼나는 미숙한 학인의 위치에서 벗어나기 힘든 것 같았다. 게다가 문탁네트워크의 경우엔 ‘선생님’에 더해 (감수성의 측면에서) ‘엄마’들도...
문탁
2022.03.25 | 조회 369
지난 연재 읽기 길드다 아젠다
고은       지금으로부터 약 4개월 전, <아젠다>에 <길드다의 흥? 망? 성? 쇠?>라는 글을 썼다. 현재의 <길드다>가 위기에 처했고, 앞으로 어떻게 될지 알 수 없다는 내용이었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아젠다>에는 <길드다>에 변화가 찾아올 것이라는 공지가 올라갔다. 그 사이에 <길드다>에서 명확하게 입장을 밝힌 사람은 나였다. 친구들에게 “이렇게는 더 이상 못할 것 같다”고 말했다. 딱히 결정적인 사건이 있었던 건 아니었다. 비슷한 상황이 반복되는 것을 한 회의에서 확인했고, 더 이상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없음을 깨달았다.      1. 의견 차이가 좁혀지지 않고…     “이렇게는 못하겠다”는 말은 무척 애매해보인다. ‘이렇게’가 뭔데? 마지노선이나 조건이 있다는 말인가? 그렇다면 그건 뭔데? 지금 글로 풀어보려 해도 ‘이렇게’가 무엇인지 설명하기 어렵지만, 길드다의 사장님과 친구들은 모두 내 말을 알아들었다. 그 말을 하는 타이밍이 하필 지금이냐고 물어본 사람은 있었어도, 그 말이 도대체 무슨 말이냐고 물어보는 사람은 없었다. 나의 입장은 ‘이렇게는’ 계속할 수 없다는 것이었으므로, <길드다>엔 변화해야 할 명분이 생겼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우리들은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문탁쌤이 헤드의 역할을 내려놓자 우리가 가진 생각의 차이는 더 분명하게 드러났다. 지원과 명식은 <길드다>를 이대로 유지하고 싶어했고, 자신들 개인의 일도 계속 하고 싶어했다. 그러나 <길드다>에 더 자주 나오거나 운영 일을 더 할 수는 없다고 했다. 그 말은 나와 우현이 앞으로도 계속 <길드다> 운영에 전력을 쏟아야 한다는 뜻이었다....
고은       지금으로부터 약 4개월 전, <아젠다>에 <길드다의 흥? 망? 성? 쇠?>라는 글을 썼다. 현재의 <길드다>가 위기에 처했고, 앞으로 어떻게 될지 알 수 없다는 내용이었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아젠다>에는 <길드다>에 변화가 찾아올 것이라는 공지가 올라갔다. 그 사이에 <길드다>에서 명확하게 입장을 밝힌 사람은 나였다. 친구들에게 “이렇게는 더 이상 못할 것 같다”고 말했다. 딱히 결정적인 사건이 있었던 건 아니었다. 비슷한 상황이 반복되는 것을 한 회의에서 확인했고, 더 이상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없음을 깨달았다.      1. 의견 차이가 좁혀지지 않고…     “이렇게는 못하겠다”는 말은 무척 애매해보인다. ‘이렇게’가 뭔데? 마지노선이나 조건이 있다는 말인가? 그렇다면 그건 뭔데? 지금 글로 풀어보려 해도 ‘이렇게’가 무엇인지 설명하기 어렵지만, 길드다의 사장님과 친구들은 모두 내 말을 알아들었다. 그 말을 하는 타이밍이 하필 지금이냐고 물어본 사람은 있었어도, 그 말이 도대체 무슨 말이냐고 물어보는 사람은 없었다. 나의 입장은 ‘이렇게는’ 계속할 수 없다는 것이었으므로, <길드다>엔 변화해야 할 명분이 생겼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우리들은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문탁쌤이 헤드의 역할을 내려놓자 우리가 가진 생각의 차이는 더 분명하게 드러났다. 지원과 명식은 <길드다>를 이대로 유지하고 싶어했고, 자신들 개인의 일도 계속 하고 싶어했다. 그러나 <길드다>에 더 자주 나오거나 운영 일을 더 할 수는 없다고 했다. 그 말은 나와 우현이 앞으로도 계속 <길드다> 운영에 전력을 쏟아야 한다는 뜻이었다....
문탁
2022.03.25 | 조회 312
지난 연재 읽기 길드다 아젠다
송우현   * Still G.D.D: 힙합 대부 닥터 드레의 명곡 <Still D.R.E>의 패러디다.       길드다 멤버들과 지내는 건 쉽지 않았다. 선 그을 수 있는 직장 동료도 아니고, 그렇다고 친한 친구도 아닌 사람들. 많이 봐야 일주일에 한두 번이었는데, 코로나 이후로는 그마저도 못 보는 사람들. 게다가 나와는 나이 차이가 꽤 나는 선배들. 이들과 우정을 나눈다는 건 뭐였을까? 무서운 얼굴로 인사도 안 받아주는 골초, 안쓰러울 정도로 모든 일에 최선을 다하려는 모범생, 쓸데없이 예민하고 비관적인 멀대, 그리고 그들을 모아주는 선생님…. 그 사이에 낀 나는 뭐였을까?      1년 차까지만 해도 나는 그들 사이에 껴있다는 느낌이 강했다. 유일하게 이우학교와 연이 없고, 공부는 이제 막 시작했고, 나이도 어리고, 하는 일마다 실수해서 혼나기 일쑤였다. 게다가 누군 진지하게 준비해온 기획안을 비웃지 않나, 누군 구석에서 자기만 신경 쓰고, 누군 이들에게 받은 스트레스를 나한테 터뜨리고…. 시간이 갈수록 멤버들과 섞일 순 있었지만, 여전히 고민은 남아있었다. 길드다에서 내 역할은 무엇인가? 난 길드다에 기여하고 있는가? 냉정하게 보자면 난 연습생 같은 느낌이었다. 공부량과 경험이 적은 막내로써 핸디캡을 얻었고, 항상 피드백을 받기만 했지 내가 주는 피드백은 효력이 거의 없었으며, 공동 세미나를 따라가는 게 벅차서 기본기를 공부하는 세미나를 따로 열었다.(그마저도 폐강할 뻔했을 땐 정말 괴로웠다.) 당연히 몇 년 만에 그들 수준으로 무언가를 해내는 건 욕심이고, 현실적으로 나는 기본기를 쌓을 시기인 것도 맞다. 하지만 그 덕에...
송우현   * Still G.D.D: 힙합 대부 닥터 드레의 명곡 <Still D.R.E>의 패러디다.       길드다 멤버들과 지내는 건 쉽지 않았다. 선 그을 수 있는 직장 동료도 아니고, 그렇다고 친한 친구도 아닌 사람들. 많이 봐야 일주일에 한두 번이었는데, 코로나 이후로는 그마저도 못 보는 사람들. 게다가 나와는 나이 차이가 꽤 나는 선배들. 이들과 우정을 나눈다는 건 뭐였을까? 무서운 얼굴로 인사도 안 받아주는 골초, 안쓰러울 정도로 모든 일에 최선을 다하려는 모범생, 쓸데없이 예민하고 비관적인 멀대, 그리고 그들을 모아주는 선생님…. 그 사이에 낀 나는 뭐였을까?      1년 차까지만 해도 나는 그들 사이에 껴있다는 느낌이 강했다. 유일하게 이우학교와 연이 없고, 공부는 이제 막 시작했고, 나이도 어리고, 하는 일마다 실수해서 혼나기 일쑤였다. 게다가 누군 진지하게 준비해온 기획안을 비웃지 않나, 누군 구석에서 자기만 신경 쓰고, 누군 이들에게 받은 스트레스를 나한테 터뜨리고…. 시간이 갈수록 멤버들과 섞일 순 있었지만, 여전히 고민은 남아있었다. 길드다에서 내 역할은 무엇인가? 난 길드다에 기여하고 있는가? 냉정하게 보자면 난 연습생 같은 느낌이었다. 공부량과 경험이 적은 막내로써 핸디캡을 얻었고, 항상 피드백을 받기만 했지 내가 주는 피드백은 효력이 거의 없었으며, 공동 세미나를 따라가는 게 벅차서 기본기를 공부하는 세미나를 따로 열었다.(그마저도 폐강할 뻔했을 땐 정말 괴로웠다.) 당연히 몇 년 만에 그들 수준으로 무언가를 해내는 건 욕심이고, 현실적으로 나는 기본기를 쌓을 시기인 것도 맞다. 하지만 그 덕에...
문탁
2022.03.25 | 조회 229
지난 연재 읽기 길드다 아젠다
김지원       4년간의 길드다, 2년간의 <아젠다>를 맺는 글이라고 생각하니 그럴싸한, 감동적인 말들을 남겨야겠다는 강박에 사로잡힌다. 그런 생각에 사로잡히니 ‘안녕은 영원한 헤어짐은 아니’라거나, ‘모든 일에는 끝이 있게 마련’이라거나 ‘사랑을 하면 이별이…’하는 뻔한 이야기를 하며 스스로 눈가가 촉촉해지는 상황이 된다. 여러 번 글을 지웠다. 아직까지 충분히 정리가 되지 않은 마음이, 뻔하고 쉬운 답으로 가려는 것 같다고 결론 내렸다. 그래서 무언가 맺는말보다는, 나에게 놓인 새로운 국면이 무엇인지에 대해 남기는 편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나는 명식과 함께 <아젠다>를 지금까지와 다른 방식으로 이어가기로 했다.      길드다가 애초 <아젠다>를 기획한 계기는, 코로나-19의 유행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었다. 집합 금지로 인해 계획했던 세미나와 강의가 줄줄이 취소되었고, 수입을 얻을 수 있을 거라 기대했던 오프라인 기획들이 불가능해진 상황에서 떠오른 아이디어였다. 세상이 멈췄어도 어떻든 돈을 벌어야 했고, 공부를 하고 글을 써야 했다. 그렇게 시작된 유료 회원제 메일링이었다. 그러나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져주었음에도 생각보다 회원이 모이지 않았다. 글도 문제였다. 돌아가며 메인 글을 썼지만, 늘 바빴다. 충분히 공부하고 생각하며 써낸 글이라기보다 마감을 맞추어 쳐낸 글들이 되었다. 발행 1년을 맞을 즈음 고민 속에 독자와의 인터뷰도 진행해 보았다. 글이 어렵다, 길다, 가벼웠으면 좋겠다, 코너를 줄여도 좋다…. 애정 어린 피드백들이었다. 이를 받아들여 대담이나 길드다의 일상적인 고민들을 전하는 방향으로 개편을 시도했으나, 결국 써왔던 방식을 벗어나기 어려웠다. 각기 다른 관심과 역량을 가진 네 명이 비슷한...
김지원       4년간의 길드다, 2년간의 <아젠다>를 맺는 글이라고 생각하니 그럴싸한, 감동적인 말들을 남겨야겠다는 강박에 사로잡힌다. 그런 생각에 사로잡히니 ‘안녕은 영원한 헤어짐은 아니’라거나, ‘모든 일에는 끝이 있게 마련’이라거나 ‘사랑을 하면 이별이…’하는 뻔한 이야기를 하며 스스로 눈가가 촉촉해지는 상황이 된다. 여러 번 글을 지웠다. 아직까지 충분히 정리가 되지 않은 마음이, 뻔하고 쉬운 답으로 가려는 것 같다고 결론 내렸다. 그래서 무언가 맺는말보다는, 나에게 놓인 새로운 국면이 무엇인지에 대해 남기는 편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나는 명식과 함께 <아젠다>를 지금까지와 다른 방식으로 이어가기로 했다.      길드다가 애초 <아젠다>를 기획한 계기는, 코로나-19의 유행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었다. 집합 금지로 인해 계획했던 세미나와 강의가 줄줄이 취소되었고, 수입을 얻을 수 있을 거라 기대했던 오프라인 기획들이 불가능해진 상황에서 떠오른 아이디어였다. 세상이 멈췄어도 어떻든 돈을 벌어야 했고, 공부를 하고 글을 써야 했다. 그렇게 시작된 유료 회원제 메일링이었다. 그러나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져주었음에도 생각보다 회원이 모이지 않았다. 글도 문제였다. 돌아가며 메인 글을 썼지만, 늘 바빴다. 충분히 공부하고 생각하며 써낸 글이라기보다 마감을 맞추어 쳐낸 글들이 되었다. 발행 1년을 맞을 즈음 고민 속에 독자와의 인터뷰도 진행해 보았다. 글이 어렵다, 길다, 가벼웠으면 좋겠다, 코너를 줄여도 좋다…. 애정 어린 피드백들이었다. 이를 받아들여 대담이나 길드다의 일상적인 고민들을 전하는 방향으로 개편을 시도했으나, 결국 써왔던 방식을 벗어나기 어려웠다. 각기 다른 관심과 역량을 가진 네 명이 비슷한...
문탁
2022.03.25 | 조회 216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