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대로 42길
  언제 어디서나 영화를 볼 수 있지만, 정작 영화에 대해 묻지 않는 시대.  우리는 영화와 삶의 사이길, 영화대로 사는 길에 대한 질문으로,  산업과 자본의 도구가 아닌 영화로서의 영화를 보고 읽습니다.   *본 리뷰에 사용된 이미지에 대한 저작권은 해당 영화에 있습니다.   고대하라, 연대의 힘 켄 로치 감독 <미안해요, 리키 Sorry We Missed You(2019)>   일한 만큼 돈 버는 세상?   영국에서 시작된 산업혁명은 기술혁신과 사회구조의 변화를 가져왔다. 그 과정에서 시장경제는 전 세계를 뒤덮어가며 노동과 토지를 사회로부터 분리해냈고, 경제성장이 모든 문제를 해결해줄 것이라는 믿음으로 이어졌다. 물론 산업혁명이 인류에게 커다란 이로움을 가져온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 지나치게 빠른 속도의 변화는 기존 사회질서를 붕괴하고 해체시키며 많은 사람들의 삶을 망가뜨렸다. 그로 인해 사회의 자기보호운동이 일어나면서 변화 속도를 늦추려고 했지만 결과적으로는 성공하지 못했다. 이때 주목할 것은 기술진보를 둘러싸고 이중적 운동(시장자유화와 사회보호운동)이 있었다는 것이다. 켄 로치 감독의 영화는 지나치게 빠른 성장속도를 경계하는 사회보호운동으로써 정치적 메시지를 내포하고 있다.     영화 <미안해요, 리키>의 주인공 리키는 건축업에 종사하다가 전 세계에 불어닥친 금융위기로 인해 해고된 중년 남성이다. 사람들 속에서 지쳐버린 그는 자기 사업을 갖고 싶어 택배업에 뛰어든다.  그는 면접에서 자신의 장점으로 성실함을 내세운다.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안정된 삶을 보장받지 못한다는 것을 우리는 이미 알고 있다. 더 이상 성실함이 무기가 되지 않는 시대다. 리키의 아내 애비는 간병노동자로 밤늦게까지 노인과 장애인을 돌보는...
  언제 어디서나 영화를 볼 수 있지만, 정작 영화에 대해 묻지 않는 시대.  우리는 영화와 삶의 사이길, 영화대로 사는 길에 대한 질문으로,  산업과 자본의 도구가 아닌 영화로서의 영화를 보고 읽습니다.   *본 리뷰에 사용된 이미지에 대한 저작권은 해당 영화에 있습니다.   고대하라, 연대의 힘 켄 로치 감독 <미안해요, 리키 Sorry We Missed You(2019)>   일한 만큼 돈 버는 세상?   영국에서 시작된 산업혁명은 기술혁신과 사회구조의 변화를 가져왔다. 그 과정에서 시장경제는 전 세계를 뒤덮어가며 노동과 토지를 사회로부터 분리해냈고, 경제성장이 모든 문제를 해결해줄 것이라는 믿음으로 이어졌다. 물론 산업혁명이 인류에게 커다란 이로움을 가져온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 지나치게 빠른 속도의 변화는 기존 사회질서를 붕괴하고 해체시키며 많은 사람들의 삶을 망가뜨렸다. 그로 인해 사회의 자기보호운동이 일어나면서 변화 속도를 늦추려고 했지만 결과적으로는 성공하지 못했다. 이때 주목할 것은 기술진보를 둘러싸고 이중적 운동(시장자유화와 사회보호운동)이 있었다는 것이다. 켄 로치 감독의 영화는 지나치게 빠른 성장속도를 경계하는 사회보호운동으로써 정치적 메시지를 내포하고 있다.     영화 <미안해요, 리키>의 주인공 리키는 건축업에 종사하다가 전 세계에 불어닥친 금융위기로 인해 해고된 중년 남성이다. 사람들 속에서 지쳐버린 그는 자기 사업을 갖고 싶어 택배업에 뛰어든다.  그는 면접에서 자신의 장점으로 성실함을 내세운다.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안정된 삶을 보장받지 못한다는 것을 우리는 이미 알고 있다. 더 이상 성실함이 무기가 되지 않는 시대다. 리키의 아내 애비는 간병노동자로 밤늦게까지 노인과 장애인을 돌보는...
띠우
2022.04.17 | 조회 311
논어 카메오 열전
공자는 양화를 피했다   양화가 공자를 만나고자 했다. 그런데 공자는 매번 그를 피하고 만나주지 않았다. 양화는 공자가 집에 없는 틈을 타 삶은 돼지고기를 선물로 보냈다. 선물을 받은 사람은 반드시 선물을 한 사람을 찾아와 감사의 인사를 하는 것이 예였기 때문이다. 공자는 양화를 찾아가 인사를 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난처해진 공자는 꾀를 내어 자기도 양화가 없는 틈을 타 그의 집을 방문하기로 마음먹었다. 사례를 하고 그의 집을 나서는데, 공교롭게도 막 집으로 돌아오던 양화와 마주치게 되었다. 공자를 본 양화가 그를 불렀다. “이리 와 보십시오. 제가 당신과 할 말이 있습니다.” 공자가 다가가자 양화가 말했다. “보배를 품고서 나라를 어지럽게 내버려 둔다면 인(仁)하다고 할 수 있습니까?” “할 수 없습니다.” “나랏일 하기를 좋아하면서 때를 놓친다면 지혜롭다고 할 수 있습니까?” “할 수 없습니다.” “해와 달이 흘러가니, 세월이 나를 기다려 주지 않습니다.” 공자가 대답했다. “알겠습니다. 나도 장차 벼슬을 하겠습니다.” (陽貨欲見孔子 孔子不見 歸孔子豚 孔子時其亡也 而往拜之 遇諸塗 謂孔子曰 來 予與爾言 曰 懷其寶而迷其邦 可謂仁乎 曰 不可 好從事而亟失時 可謂知乎 曰 不可 日月逝矣 歲不我與 孔子曰 諾 吾將仕矣) 『논어』 「양화,1」   양화(陽貨)가 직접적으로 나오는 이야기는 『논어』에 이 한 편뿐이다. 처음 이 문장을 읽었을 때 서로 집에 없는 틈을 타서 선물을 주고, 또 인사를 가는 장면이 한 편의 코미디처럼 보이기도 했다. 양화는 「자한」편에 공자가 광 땅에서 죽을 뻔 했던 일(子畏於匡)의 비하인드 스토리처럼 다시 한 번 등장하는데, 광...
공자는 양화를 피했다   양화가 공자를 만나고자 했다. 그런데 공자는 매번 그를 피하고 만나주지 않았다. 양화는 공자가 집에 없는 틈을 타 삶은 돼지고기를 선물로 보냈다. 선물을 받은 사람은 반드시 선물을 한 사람을 찾아와 감사의 인사를 하는 것이 예였기 때문이다. 공자는 양화를 찾아가 인사를 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난처해진 공자는 꾀를 내어 자기도 양화가 없는 틈을 타 그의 집을 방문하기로 마음먹었다. 사례를 하고 그의 집을 나서는데, 공교롭게도 막 집으로 돌아오던 양화와 마주치게 되었다. 공자를 본 양화가 그를 불렀다. “이리 와 보십시오. 제가 당신과 할 말이 있습니다.” 공자가 다가가자 양화가 말했다. “보배를 품고서 나라를 어지럽게 내버려 둔다면 인(仁)하다고 할 수 있습니까?” “할 수 없습니다.” “나랏일 하기를 좋아하면서 때를 놓친다면 지혜롭다고 할 수 있습니까?” “할 수 없습니다.” “해와 달이 흘러가니, 세월이 나를 기다려 주지 않습니다.” 공자가 대답했다. “알겠습니다. 나도 장차 벼슬을 하겠습니다.” (陽貨欲見孔子 孔子不見 歸孔子豚 孔子時其亡也 而往拜之 遇諸塗 謂孔子曰 來 予與爾言 曰 懷其寶而迷其邦 可謂仁乎 曰 不可 好從事而亟失時 可謂知乎 曰 不可 日月逝矣 歲不我與 孔子曰 諾 吾將仕矣) 『논어』 「양화,1」   양화(陽貨)가 직접적으로 나오는 이야기는 『논어』에 이 한 편뿐이다. 처음 이 문장을 읽었을 때 서로 집에 없는 틈을 타서 선물을 주고, 또 인사를 가는 장면이 한 편의 코미디처럼 보이기도 했다. 양화는 「자한」편에 공자가 광 땅에서 죽을 뻔 했던 일(子畏於匡)의 비하인드 스토리처럼 다시 한 번 등장하는데, 광...
진달래
2022.04.04 | 조회 355
봄날의 주역이야기
  대학 졸업반때 처음으로 이력서를 썼던 기억이 난다. ‘00고 졸업’ ‘00대 졸업예정’이 내 이력의 전부였다. 이후 내 이력서에는 다양한 경험들이 한 줄씩 추가됐다. 줄과 줄 사이, 수많은 관계 속에서 부대끼며 울고 웃던 내력을 이력서에 표현할 길은 없지만, 어쨌든 이력서를 쓰는 것은 자신이 걸어온 길을 돌아보는 효과는 있다. 이력서의 끝에는 ‘위의 내용은 사실과 틀림없음을 증명하며, 사실과 다를 경우 그에 따른 피해를 감수한다’는 서약까지 붙어있다. 주역 천택리(天澤履)괘의 이(履)라는 글자는, 바로 자신의 살아온 내력을 거짓없이 써야 하는 이력서의 이(履)자이다. 이 글자는 ‘밟는다’ ‘신발’의 뜻을 가지고 있다. 그러니까 천택리괘는 나 또는 누군가가 만들어낸 ‘길’에 대한 이야기이다.   천택리괘는 위는 하늘, 아래는 연못의 형상을 하고 있다. 또 상괘는 굳세고 하괘는 기뻐함이라는 각각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그러니까 상체가 가진 곧은 품새를 하체가 기뻐하며 따르는 것이 천택리괘의 내용이다. 그리고 이 ‘하늘의 올곧음을 기뻐하면서 기꺼이 따르는 모습’을 주역은 리호미(履虎尾), ‘호랑이 꼬리를 밟는다’는 이미지로 표현하고 있다. 이때 상체인 건괘는 호랑이를, 하체인 택괘는 사람을 상징한다. 사람이 호랑이 꼬리를 밟는다는 뜻인데, 이것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내가 천택리괘를 흥미롭게 느낀 건, 괘사와 효사에 ‘호랑이 꼬리를 밟는다’는 똑같은 구절이 세 번이나 등장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호랑이 꼬리를 밟는다’는 구절은 세 번 모두 각각 다르게 해석되고 각각 다른 강도로 다가온다는 것이었다.   호랑이 꼬리를 밟는 것은 예(禮)의 실천이다 천택리괘의 괘사는 ‘리호미(履虎尾) 부질인(不咥人) 형(亨)’이다. “호랑이...
  대학 졸업반때 처음으로 이력서를 썼던 기억이 난다. ‘00고 졸업’ ‘00대 졸업예정’이 내 이력의 전부였다. 이후 내 이력서에는 다양한 경험들이 한 줄씩 추가됐다. 줄과 줄 사이, 수많은 관계 속에서 부대끼며 울고 웃던 내력을 이력서에 표현할 길은 없지만, 어쨌든 이력서를 쓰는 것은 자신이 걸어온 길을 돌아보는 효과는 있다. 이력서의 끝에는 ‘위의 내용은 사실과 틀림없음을 증명하며, 사실과 다를 경우 그에 따른 피해를 감수한다’는 서약까지 붙어있다. 주역 천택리(天澤履)괘의 이(履)라는 글자는, 바로 자신의 살아온 내력을 거짓없이 써야 하는 이력서의 이(履)자이다. 이 글자는 ‘밟는다’ ‘신발’의 뜻을 가지고 있다. 그러니까 천택리괘는 나 또는 누군가가 만들어낸 ‘길’에 대한 이야기이다.   천택리괘는 위는 하늘, 아래는 연못의 형상을 하고 있다. 또 상괘는 굳세고 하괘는 기뻐함이라는 각각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그러니까 상체가 가진 곧은 품새를 하체가 기뻐하며 따르는 것이 천택리괘의 내용이다. 그리고 이 ‘하늘의 올곧음을 기뻐하면서 기꺼이 따르는 모습’을 주역은 리호미(履虎尾), ‘호랑이 꼬리를 밟는다’는 이미지로 표현하고 있다. 이때 상체인 건괘는 호랑이를, 하체인 택괘는 사람을 상징한다. 사람이 호랑이 꼬리를 밟는다는 뜻인데, 이것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내가 천택리괘를 흥미롭게 느낀 건, 괘사와 효사에 ‘호랑이 꼬리를 밟는다’는 똑같은 구절이 세 번이나 등장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호랑이 꼬리를 밟는다’는 구절은 세 번 모두 각각 다르게 해석되고 각각 다른 강도로 다가온다는 것이었다.   호랑이 꼬리를 밟는 것은 예(禮)의 실천이다 천택리괘의 괘사는 ‘리호미(履虎尾) 부질인(不咥人) 형(亨)’이다. “호랑이...
봄날
2022.04.03 | 조회 583
영화대로 42길
언제 어디서나 영화를 볼 수 있지만, 정작 영화에 대해 묻지 않는 시대.  우리는 영화와 삶의 사이길, 영화대로 사는 길에 대한 질문으로,  산업과 자본의 도구가 아닌 영화로서의 영화를 보고 읽습니다. *본 리뷰에 사용된 이미지에 대한 저작권은 해당 영화에 있습니다.         기억하자, 우리에게 잊히는 것을 알랭 레네 감독, <히로시마 내 사랑, Hiroshima mon amour>(1959)         시간이라는 공통분모와 ‘현재성’ 2차 세계대전, 일본이 항복하지 않자 미국은 1945년 8월 두 개의 원자폭탄을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한다. 역사상 최초로 일반시민 학살에 원자폭탄이 사용됐다. 그로부터 14년 후 1959년, 프랑스 여배우인 그녀는 세계평화 메시지를 위한 영화 촬영차 ‘히로시마’를 방문한다. 그곳에서 일본인 남자를 만나고 운명적인 사랑에 빠진다. 처음 와 본 히로시마에서 보낸 낯선 남자와 하룻밤. 그러나 그녀는 그와의 만남을 통해 잊고 있었던 ‘느베르’에서의 첫사랑 혹은 그의 죽음을 다시 떠올린다. 영화의 소재는 공교롭게 ‘사랑과 전쟁’ 속에 이뤄진 불륜이지만, 이건 제목처럼 부부클리닉 재현드라마가 아니다.   영화에 등장하는 두 도시, 일본의 히로시마와 프랑스의 느베르는 모두 2차 세계대전의 상처를 갖고 있다. 다만, 히로시마는 집단기록인 ‘역사’를, 느베르는 개인적인 ‘기억’의 문제를 상징하고 있다. 그래서 히로시마는 박물관의 전시내용 혹은 극중 영화 속 반전퍼레이드 장면을 통해 이야기되는 반면, 느베르의 시간은 대부분 그녀에게 일어난 과거 개인적인 사건에 집중한다. 영화가 의도적으로 묻고 있는 ‘집단과 개인’ 혹은 ‘역사와 기억’문제의 교집합은 ‘시간’이다. 역사 속 전쟁은 지난 과거가...
언제 어디서나 영화를 볼 수 있지만, 정작 영화에 대해 묻지 않는 시대.  우리는 영화와 삶의 사이길, 영화대로 사는 길에 대한 질문으로,  산업과 자본의 도구가 아닌 영화로서의 영화를 보고 읽습니다. *본 리뷰에 사용된 이미지에 대한 저작권은 해당 영화에 있습니다.         기억하자, 우리에게 잊히는 것을 알랭 레네 감독, <히로시마 내 사랑, Hiroshima mon amour>(1959)         시간이라는 공통분모와 ‘현재성’ 2차 세계대전, 일본이 항복하지 않자 미국은 1945년 8월 두 개의 원자폭탄을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한다. 역사상 최초로 일반시민 학살에 원자폭탄이 사용됐다. 그로부터 14년 후 1959년, 프랑스 여배우인 그녀는 세계평화 메시지를 위한 영화 촬영차 ‘히로시마’를 방문한다. 그곳에서 일본인 남자를 만나고 운명적인 사랑에 빠진다. 처음 와 본 히로시마에서 보낸 낯선 남자와 하룻밤. 그러나 그녀는 그와의 만남을 통해 잊고 있었던 ‘느베르’에서의 첫사랑 혹은 그의 죽음을 다시 떠올린다. 영화의 소재는 공교롭게 ‘사랑과 전쟁’ 속에 이뤄진 불륜이지만, 이건 제목처럼 부부클리닉 재현드라마가 아니다.   영화에 등장하는 두 도시, 일본의 히로시마와 프랑스의 느베르는 모두 2차 세계대전의 상처를 갖고 있다. 다만, 히로시마는 집단기록인 ‘역사’를, 느베르는 개인적인 ‘기억’의 문제를 상징하고 있다. 그래서 히로시마는 박물관의 전시내용 혹은 극중 영화 속 반전퍼레이드 장면을 통해 이야기되는 반면, 느베르의 시간은 대부분 그녀에게 일어난 과거 개인적인 사건에 집중한다. 영화가 의도적으로 묻고 있는 ‘집단과 개인’ 혹은 ‘역사와 기억’문제의 교집합은 ‘시간’이다. 역사 속 전쟁은 지난 과거가...
청량리
2022.04.03 | 조회 295
지난 연재 읽기 아젠다 사장칼럼
문탁       길드다의 4년 실험이 막을 내렸다. 공식적으로 말한다면, 길드다는 각 구성원의 조건과 욕망에 따라 두 팀으로 분화한다. 한 팀은 길드다 아젠다 활동을 계속해 나갈 것이고, 다른 한 팀은 유튜브 활동에 집중할 것이다. 길드다의 현재 역량과 상황을 반영한 구조조정이고 전진적 개편이다.      그러나 이런 쿨한 공식적 멘트 이면에서 내 속은 좀 복잡하다. 단순하게 말하면 길드다 4년 중 처음 2년간은 재미도 있었고 보람도 있었는데 이에 비해 후반부 2년은 힘은 힘대로 들고 마음은 고달팠다. 나는 대체로 답답했고 속이 터졌는데 그런데도 이 감정을 청년들에게 전달하는 건 쉽지 않았다.      약간의 회고는 불가피하다. 4년 전 길드다는, 4인(5인)의 청년 + 1인의 사장으로 구성된 “인문학 스타트업”으로 출발하였다. 처음부터 정체성이 애매하긴 했다. 4(5) + 1의 구조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분명하지 않았다. 그건 5+2가 될 수도 있는 것일까? 혹은 10+1도 괜찮다는 것이었을까?  ‘인문학 스타트업’이라는 표현도 마찬가지이다. 경제적 자립을 지향한다는 뜻을 담은 것이지만, 그것이 인문학 프로그램을 주요 사업모델로 한다는 것은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출발한 건, 내가 경험했던 인문학 공동체에서의 청년들의 위치 때문이었다.     나는 청년들이 중, 장년 중심의 인문학 공동체에서 ‘치이는’ 사례를 계속 봐왔다. 다시 말하면 성인 중심의 인문학 공동체에서 청년은 시작에서뿐만 아니라 시간이 흘러도 계속 ‘선생님(들)’께 배우고 혼나는 미숙한 학인의 위치에서 벗어나기 힘든 것 같았다. 게다가 문탁네트워크의 경우엔 ‘선생님’에 더해 (감수성의 측면에서) ‘엄마’들도...
문탁       길드다의 4년 실험이 막을 내렸다. 공식적으로 말한다면, 길드다는 각 구성원의 조건과 욕망에 따라 두 팀으로 분화한다. 한 팀은 길드다 아젠다 활동을 계속해 나갈 것이고, 다른 한 팀은 유튜브 활동에 집중할 것이다. 길드다의 현재 역량과 상황을 반영한 구조조정이고 전진적 개편이다.      그러나 이런 쿨한 공식적 멘트 이면에서 내 속은 좀 복잡하다. 단순하게 말하면 길드다 4년 중 처음 2년간은 재미도 있었고 보람도 있었는데 이에 비해 후반부 2년은 힘은 힘대로 들고 마음은 고달팠다. 나는 대체로 답답했고 속이 터졌는데 그런데도 이 감정을 청년들에게 전달하는 건 쉽지 않았다.      약간의 회고는 불가피하다. 4년 전 길드다는, 4인(5인)의 청년 + 1인의 사장으로 구성된 “인문학 스타트업”으로 출발하였다. 처음부터 정체성이 애매하긴 했다. 4(5) + 1의 구조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분명하지 않았다. 그건 5+2가 될 수도 있는 것일까? 혹은 10+1도 괜찮다는 것이었을까?  ‘인문학 스타트업’이라는 표현도 마찬가지이다. 경제적 자립을 지향한다는 뜻을 담은 것이지만, 그것이 인문학 프로그램을 주요 사업모델로 한다는 것은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출발한 건, 내가 경험했던 인문학 공동체에서의 청년들의 위치 때문이었다.     나는 청년들이 중, 장년 중심의 인문학 공동체에서 ‘치이는’ 사례를 계속 봐왔다. 다시 말하면 성인 중심의 인문학 공동체에서 청년은 시작에서뿐만 아니라 시간이 흘러도 계속 ‘선생님(들)’께 배우고 혼나는 미숙한 학인의 위치에서 벗어나기 힘든 것 같았다. 게다가 문탁네트워크의 경우엔 ‘선생님’에 더해 (감수성의 측면에서) ‘엄마’들도...
문탁
2022.03.25 | 조회 380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