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즌 2-4 <니까야강독> 출가자의 길 후기

진달래
2021-10-04 21:21
211

제 2편 출가자의 길

 

불교랑 조금 친해지고 있는 중이다. ...... 중일 거다.

여전히 낯선 언어가 생경하긴 하지만 말이다.

이번 시간에 나온 경들은 ‘계’에 대한 내용이었다.

승가 공동체를 이룬 붓다와 제자들이 지켜야 하는 ‘계’의 내용을 알아보았다.

 

이번 경을 읽으면서 느낀 것은

안다는 것의 두려움이었다.

처음 문탁에 왔을 때 ‘지행합일(知行合一)’이라는 말이 이해하기도 어려웠고, 아는 것을 다 실천하지 못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 같은 게 있었다.

공부가 바늘방석 같았던 때가 있었다.

알면서 할 수 없다는 말이, 말이 되느냐 안 되느냐를 가지고 한참동안 설왕설래 했던 기억도 있다. 그 때 하면 안 된다는 것을 안다고 말하지만 모르니까 하는 것이라고 결론이 났던 것 같다.

아는 것과 행위가 결코 떨어질 수 없다는 것, 한동안 잊고 있었는데

마치 공부를 시작하던 처음으로 되돌아간 느낌이었다.

 

중요한 것은 ‘본다(見)’인 것 같다. '바르게 봄'

나에게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있는 그대로 보는 것,

그대로 본 것을 알아차릴 수 있게 되는 것. 알아차리는 순간 마음챙김을 하는 것?

뭔가 우리가 계속 이야기했던 ‘망상’에 빠지지 말라는 말인 것 같은데...

'계'를 지키는 것이 승가 공동체를 유지하는 가장 기본적인 것이라는 것에서 

그러면 문탁은 무엇을 지킴으로써 문탁이 될까라는 생각을 잠깐 했다. 

우리에게는 어떤 '계'가 있을까. 

 

도라지샘이 이번 시간부터 함께 하기로 했다.

다들 아마 도라지샘이 우릴 보고 웃을 거라고 했는데 뭔가 질문이 달랐다.!!

앞으로 잘 부탁합니다.~

댓글 3
  • 2021-10-05 10:26

    담담하지만 늘 핵심을 뚫는 진달래의 글...문탁에는 어떤 계들이 있을까...

  • 2021-10-05 22:43

    매뉴얼로 정해놓지는 않아도 나름의 계가 문탁에도 있지 않나요^^

    공통감각으로 이해하는 우리 나름의 계...

    진달래샘의 글에 대한 소감은 저도 봄날샘에게 동의하는 바입니다.

  • 2021-10-06 07:42

    제  경우

    짬바로 알게 되는(감지 하는?) 계가 있었다고 생각됩니다~~~ 이게 공통감각인가요?

    때로 어떤 것들은 정확하게 명시하는 것도 필요하다 싶은 경우도 있었구요.

    마치 불교의 5계처럼.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90
N [서양철학사 읽기 세미나] 13주차 질문과 발제문은 여기에 올려주세요!
경덕 | 2024.06.16 | 조회 16
경덕 2024.06.16 16
89
N [서양철학사 읽기 세미나] 12주차 후기 - 우리에게 (철학사 or 인문학) 공부란? (5)
경덕 | 2024.06.16 | 조회 49
경덕 2024.06.16 49
88
[서양철학사 읽기 세미나] 12주차 질문과 발제문은 여기에 올려주세요 (8)
경덕 | 2024.06.09 | 조회 49
경덕 2024.06.09 49
87
[서양철학사 읽기 세미나] 11주차 후기 - 이성과 진보를 향한 계몽주의, 공리주의, 자유주의 (7)
효주 | 2024.06.08 | 조회 74
효주 2024.06.08 74
86
[서양철학사 읽기 세미나] 10주차 후기 - 로크, 버클리, 흄 (4)
경덕 | 2024.05.26 | 조회 109
경덕 2024.05.26 109
85
[서양철학사 읽기 세미나] 11주차 질문과 발제문은 여기에 올려주세요 (7)
효주 | 2024.05.26 | 조회 116
효주 2024.05.26 116
84
[서양철학사 읽기 세미나] 9주차 후기 - 데카르트부터 라이프니츠까지 (4)
후유 | 2024.05.20 | 조회 76
후유 2024.05.20 76
83
[서양철학사 읽기 세미나] 10주차 질문과 발제문은 여기에 올려주세요 (6)
효주 | 2024.05.19 | 조회 114
효주 2024.05.19 114
82
[서양철학사 읽기 세미나] 9주차 질문과 발제문은 여기에 올려주세요 (6)
효주 | 2024.05.12 | 조회 131
효주 2024.05.12 131
81
[서양철학사 읽기 세미나] 8주차 후기 - 군주론 (3)
덕영 | 2024.05.09 | 조회 132
덕영 2024.05.09 132
80
[서양철학사 읽기 세미나] 8주차 질문과 발제문은 여기에 올려주세요 (6)
경덕 | 2024.05.06 | 조회 113
경덕 2024.05.06 113
79
[서양철학사 읽기 세미나] 7주차 후기 - 근대과학 탄생의 속살을 파헤치다 (5)
경호 | 2024.05.02 | 조회 160
경호 2024.05.02 160
78
[서양철학사 읽기 세미나] 7주차 질문과 발제문은 여기에 올려주세요 (8)
효주 | 2024.04.29 | 조회 126
효주 2024.04.29 126
77
[서양철학사 읽기 세미나] 6주차 후기 - 중세철학의 흐름 (4)
효주 | 2024.04.27 | 조회 96
효주 2024.04.27 96
76
[서양철학사 읽기 세미나] 6주차 질문과 발제문은 여기에 올려주세요 (6)
경덕 | 2024.04.15 | 조회 169
경덕 2024.04.15 169
75
[서양철학사 읽기 세미나] 5주차 후기 - 후기 고대철학 (2)
효주 | 2024.04.14 | 조회 141
효주 2024.04.14 141
74
[서양철학사 읽기 세미나] 5주차 질문과 발제문은 여기에 올려주세요 (5)
효주 | 2024.04.07 | 조회 164
효주 2024.04.07 164
73
[서양철학사 읽기 세미나] 4주차 후기 - 아리스토텔레스 세미나를 하였다 (4)
덕영 | 2024.04.06 | 조회 173
덕영 2024.04.06 173
72
[서양철학사 읽기 세미나] 4주차 질문과 발제문은 여기에 올려주세요 (5)
경덕 | 2024.04.01 | 조회 196
경덕 2024.04.01 196
71
[서양철학사 읽기 세미나] 3주차 후기 - 플라톤의 이데아를 찾아서... (5)
경호 | 2024.03.29 | 조회 210
경호 2024.03.29 210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