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강좌 2강 후기입니다.

숲바람꽃
2013-11-26 23:54
523

 

2강 인간의 죽음과 붓다의 열반  (숙제는 닥쳐야 하게 되네요^^) 

 

선생님이 정말 쉽게, 이야기 하듯이 잘 설명해주셔서 1강부터 재미있게 듣고 있습니다.

2강은 정말 어려웠습니다. 제가 바로 하나도 모르겠다고 한 사람입니다.^^

말씀 놓치지 않으려고 열심히 듣긴 했는데 역시 어려웠답니다.

붓다는 깨달음 직전까지 수행자로 살았다더니 역시 제가 살아온 만큼만 딱! 이해되나 봐요.

그래도 기대됩니다. 수요일 다른 일 미루고 서둘러 퇴근하는 보람을 꼭 찾겠습니다.

집착을 벗어나라 하시는데 아직 수행조차 할 마음이 없는 중생인지라 집착 좀 하겠습니다.^^

다른 분들의 후기를 보니 강의 내용을 어쩜 그리도 잘 이해하시고 잘 정리 하시는지^^

 

저는 그냥 가장 마음에 남아있고, 앞으로 계속해서 되새기고 싶은 말씀을 죽~~ 적어 보는 것으로 후기를 대신하겠습니다.

 

1.무상과 무아

  • 고를 직시하고 고를 극복하라.
  • 고집멸도. 집착과 욕망이 고통을 초래하고 수행을 통해서 고의 소멸을 이끌 수 있다.
  • 지혜와 삼매로 집착에서 벗어나라.
  • 제행무상 제행무아. 현상적인 존재자 모두 항상하지 않고 나라고 할 만한 게 없다.
  • 자아의 본질없음자아는 유형적인 존재, 느낌, 여섯 대상에 대한 표상, 대상에 대한 의지, 대상의 특징을 파악하는 앎이다. 이들의 집적된 활동에 의해 나라는 실체가 상상될 뿐이다.
  • 자신을 등불로 삼아라.
  • 증오와 욕망 모두 집착이다. 어떤 대상을 단지 그 감정으로 실체화하는 행위다. 그렇게 함으로써 자신도 그 감정에 갇히고 만다.
  •  

2. 카르마와 자유의지 : 불완전한 자의 주체적인 자기극복 노력

  • 인과응보. 원인으로서의 행위는 끊임없이 더해지고, 결과는 끊임없이 조정된다.
  • 불교수행자는 매 순간 운명의 개선을 위해 판단하고 선택한다. 그 순간 자기애가 작동하면 건전한 판단을 내릴 수 없다.
  • 인간의 자유의지는 욕망에 대한 태도이다. 자기극복은 자기애의 극복과정이다. 자기애의 극복도 애착 당사자인 자신이 행해야 한다.
  • 끊임없는 윤회에서 벗어나 완전한 자유 - 해탈, 열반-을 얻는 것. 그것은 그 인간의 행위를 통해 이루어진다.
  •  

저는 보육,교육에 관련된 일과 협동조합들을 지원해주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사람들 사이의 갈등을 많이 접하고 산답니다.

문제는 갈수록 갈등의 모습이 다양해지고 복잡해진다는 것. 그리고 푸는 방법도 다양해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올 한해도 많은 일들을 옆에서 지켜보았습니다.

갈등은 피할 수 없다면 즐기라라고 했는데 막상 당하는 사람들에게는 그리 쉬운 문제가 아닙니다.

이 갈등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묻고  또 묻게 됩니다.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이 강좌에서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이 또한 집착일까요?

고를 직시하고 고를 극복하라 했습니다. 붙들고 묻고 또 묻고 하다보면 저도 뭔가 찾을 수 있겠지요? 

댓글 2
  • 2013-11-27 17:38

    하나도 모르시겠다더니...^^

    눈앞에 해결해야 할 일들이 있으니 공부에는 더욱 도움이 되겠군요.

    강좌가 실마리가 되어 해답을 찾아가는 길을 한발짝씩 나아가시기를...^^

  • 2013-11-27 18:29

    불교에서 말하고자 하는걸 삶으로 가져오시고 아주 잘 이해하고 계신것같은데요? ^^

    저도 이 강좌에서 얻고자하는게 있는데 저도 집착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고있어요 ㅜㅜ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777
AI 강좌 후기-4강:인공지능과 함께 살아가기 (2)
겸목 | 2023.07.31 | 조회 335
겸목 2023.07.31 335
776
AI 강좌 후기 3강: 인간과 인공지능의 차이 (1)
고은 | 2023.07.24 | 조회 359
고은 2023.07.24 359
775
AI 강좌 후기 - 2강 인공지능과 인간은 어떻게 만나게 될까? (4)
둥글레 | 2023.07.14 | 조회 507
둥글레 2023.07.14 507
774
AI 강좌 - 1강/ 인공지능은 어떻게 여기까지 왔을까? 후기 (5)
동은 | 2023.07.06 | 조회 522
동은 2023.07.06 522
773
사기 증국고대사를 집대성하기위해 나서다 (1)
원기 | 2023.02.20 | 조회 376
원기 2023.02.20 376
772
'사마천', 그 스스로 이야기가 되다 (3)
스르륵 | 2023.02.10 | 조회 625
스르륵 2023.02.10 625
771
금요클래식 <주역의 세계> 4강 후기 (2)
토용 | 2023.01.31 | 조회 440
토용 2023.01.31 440
770
금요클래식 <주역의 세계> 3강 후기 (3)
조성희 | 2023.01.26 | 조회 369
조성희 2023.01.26 369
769
금요클래식 <주역의 세계> 2강 후기 (1)
호면 | 2023.01.19 | 조회 319
호면 2023.01.19 319
768
금요클래식, <주역의 세계> 2강 후기 (1)
고은 | 2023.01.19 | 조회 517
고은 2023.01.19 517
767
<금요클래식;지속불가능한 자본주의> 4강 후기 (1)
관리쟈 | 2022.11.04 | 조회 393
관리쟈 2022.11.04 393
766
<지속불가능 자본주의> 3강 후기 (1)
새봄 | 2022.10.25 | 조회 365
새봄 2022.10.25 365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