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연재 읽기 차명식의 책읽습니다
    일요일 2시 중학생들과  책 읽습니다 ② 선생이라는 ‘일’ 다니엘 페낙, 『학교의 슬픔』             글 : 차명식 (청년길드) 대학교를 졸업한 뒤 2015년 겨울부터 올해 봄까지 중학교 아이들과 인문학을 공부했다. 2년간 함께했던 아이들을 보내고 나니 문득 그 시간들을 이대로 흘려보내기에는 아깝다는 생각에 그 간의 수업들을 가지고 이 글을 쓰기 시작했다. 그러므로 이 글은 나만의 글이 아니다. 나의 목소리와 더불어 아이들의 목소리 역시 읽는 이들에게 닿을 수 있기를 간절히 소망한다.   * 글에 등장하는 아이들의 이름은 모두 가명을 사용하였습니다.                 0.     수업 시간에 아이들은 나를 보통 ‘선생님’이라고 부른다. 좀 익숙해졌다 싶은 녀석들은 쌤. 딱히 그리 부르라 말한 적은 없지만 어느 사이엔가 다들 그렇게 부르고 있었다. 아마 녀석들이 느끼기에 이 시간은 책을 읽고 덤으로 이것저것 배워가는 시간 정도일 테고, 그것들을 가르쳐주는 나는 자동적으로 선생님이 된 것이리라. 그러니까 녀석들에게 선생이란 곧 가르쳐주는 사람인 셈이다.     헌데 때때로 드는 의문은 과연 선생에 대한 녀석들의 정의가 합당한가 하는 점이다. 수업 시간을 되돌아보면, 나는 아이들과 시시한 잡담과 인사를 나누고, 책에 대한 느낌과 인상 깊게 읽은 부분 그리고 그 까닭을 나눈다. 책 속의 질문들을 좀 더 확장시켜서 아이들에게 물음을 던지기도 한다. 그렇다고 대단한 이론이나 획기적인 독서 테크닉 같은 것을 전수해주는 것은 아니다. 일주일에 한...
    일요일 2시 중학생들과  책 읽습니다 ② 선생이라는 ‘일’ 다니엘 페낙, 『학교의 슬픔』             글 : 차명식 (청년길드) 대학교를 졸업한 뒤 2015년 겨울부터 올해 봄까지 중학교 아이들과 인문학을 공부했다. 2년간 함께했던 아이들을 보내고 나니 문득 그 시간들을 이대로 흘려보내기에는 아깝다는 생각에 그 간의 수업들을 가지고 이 글을 쓰기 시작했다. 그러므로 이 글은 나만의 글이 아니다. 나의 목소리와 더불어 아이들의 목소리 역시 읽는 이들에게 닿을 수 있기를 간절히 소망한다.   * 글에 등장하는 아이들의 이름은 모두 가명을 사용하였습니다.                 0.     수업 시간에 아이들은 나를 보통 ‘선생님’이라고 부른다. 좀 익숙해졌다 싶은 녀석들은 쌤. 딱히 그리 부르라 말한 적은 없지만 어느 사이엔가 다들 그렇게 부르고 있었다. 아마 녀석들이 느끼기에 이 시간은 책을 읽고 덤으로 이것저것 배워가는 시간 정도일 테고, 그것들을 가르쳐주는 나는 자동적으로 선생님이 된 것이리라. 그러니까 녀석들에게 선생이란 곧 가르쳐주는 사람인 셈이다.     헌데 때때로 드는 의문은 과연 선생에 대한 녀석들의 정의가 합당한가 하는 점이다. 수업 시간을 되돌아보면, 나는 아이들과 시시한 잡담과 인사를 나누고, 책에 대한 느낌과 인상 깊게 읽은 부분 그리고 그 까닭을 나눈다. 책 속의 질문들을 좀 더 확장시켜서 아이들에게 물음을 던지기도 한다. 그렇다고 대단한 이론이나 획기적인 독서 테크닉 같은 것을 전수해주는 것은 아니다. 일주일에 한...
차명식
2018.04.08 | 조회 926
지난 연재 읽기 차명식의 책읽습니다
     일요일 2시 중학생들과  책 읽습니다①     학교라는 ‘공간’ 헤르만 헤세, 『수레바퀴 아래서』    글 : 차명식 (청년길드) 대학교를 졸업한 뒤 2015년 겨울부터 올해 봄까지 중학교 아이들과 인문학을 공부했다. 2년간 함께했던 아이들을 보내고 나니 문득 그 시간들을 이대로 흘려보내기에는 아깝다는 생각에 그 간의 수업들을 가지고 이 글을 쓰기 시작했다. 그러므로 이 글은 나만의 글이 아니다. 나의 목소리와 더불어 아이들의 목소리 역시 읽는 이들에게 닿을 수 있기를 간절히 소망한다.   * 글에 등장하는 아이들의 이름은 모두 가명을 사용하였습니다.               0.     “자, 이거 봐. 페이지 수로 들으면 많아 보이지만 두께도 요것밖에 안 되고, 그리고 책 모양 자체가 홀쭉한데다 여백도 많지? 그러니까 한 페이지 당 내용도 얼마 안 돼.”     쉽게 읽어올 수 있는 분량이라고 열을 올려가며 광고를 해봤지만 다들 하나같이 표정이 시큰둥했다. 아무래도 영 약발이 듣질 않는 모양새다. ‘다음 주에 수업할 책은 집에 가서 생각할래요.’ 그런 꿍꿍이들이 훤히 다 보였다. 어쩌겠나, 이 이상 달리 할 말도 없는 걸. 결국 이쪽이 먼저 손을 들고 항복했다. 펼쳐들었던 책을 닫으면서 그대로 수업을 매조졌다.     “좀 지루해보일수도 있겠지만 아주 유명한 소설이야. 너희랑 통하는 부분들도 꽤 있을 거고……그러니까 다들 빠짐없이 읽고 인상 깊은 부분을 골라오도록! 그럼 오늘 수업은 여기까지.”   “수고하셨습니다~.”     언제나처럼 마지막 인사할 때가...
     일요일 2시 중학생들과  책 읽습니다①     학교라는 ‘공간’ 헤르만 헤세, 『수레바퀴 아래서』    글 : 차명식 (청년길드) 대학교를 졸업한 뒤 2015년 겨울부터 올해 봄까지 중학교 아이들과 인문학을 공부했다. 2년간 함께했던 아이들을 보내고 나니 문득 그 시간들을 이대로 흘려보내기에는 아깝다는 생각에 그 간의 수업들을 가지고 이 글을 쓰기 시작했다. 그러므로 이 글은 나만의 글이 아니다. 나의 목소리와 더불어 아이들의 목소리 역시 읽는 이들에게 닿을 수 있기를 간절히 소망한다.   * 글에 등장하는 아이들의 이름은 모두 가명을 사용하였습니다.               0.     “자, 이거 봐. 페이지 수로 들으면 많아 보이지만 두께도 요것밖에 안 되고, 그리고 책 모양 자체가 홀쭉한데다 여백도 많지? 그러니까 한 페이지 당 내용도 얼마 안 돼.”     쉽게 읽어올 수 있는 분량이라고 열을 올려가며 광고를 해봤지만 다들 하나같이 표정이 시큰둥했다. 아무래도 영 약발이 듣질 않는 모양새다. ‘다음 주에 수업할 책은 집에 가서 생각할래요.’ 그런 꿍꿍이들이 훤히 다 보였다. 어쩌겠나, 이 이상 달리 할 말도 없는 걸. 결국 이쪽이 먼저 손을 들고 항복했다. 펼쳐들었던 책을 닫으면서 그대로 수업을 매조졌다.     “좀 지루해보일수도 있겠지만 아주 유명한 소설이야. 너희랑 통하는 부분들도 꽤 있을 거고……그러니까 다들 빠짐없이 읽고 인상 깊은 부분을 골라오도록! 그럼 오늘 수업은 여기까지.”   “수고하셨습니다~.”     언제나처럼 마지막 인사할 때가...
차명식
2018.03.12 | 조회 868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