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310_도발 art attack 1~6장_메모

조규혜
2019-03-10 14:42
194

이번 분량에서는 연극이 몇 편 등장한다. 이를 통해 전체 미학사에서 조금이나마 연극의 흐름을 읽어낼 수 있어서 재밌고 복잡했다.

1. 부조리'주의'자

부조리극의 대표격이라 불리는 알프레드 자리가 4장 '내 정신의 무질서' 파트에서 등장한다.

그는 부조리'주의'자가 되어서 책에서 등장한다. 파타피직스라는 개념은, 아래와 같다. 
'파타피직스’(pataphysics). 20세기 중반 유럽의 지성계를 풍미하던 신학문으로, 이 용어의 창시자는 프랑스의 극작가 알프레드 자리(Alfred Jarry, 1873~1907)다. 예민한 어감의 소유자라면 파타피직스가 ‘메타피직스’(metaphysics)의 패러디임을 알아차렸을 것이다. 메타피직스를 흔히 ‘형이상학’(形以上學)으로 옮기나, 사실 ‘메타’(meta)는 ‘이후’라는 뜻. 그리스어에서 ‘이상’을 가리키는 것은 ‘파타’(pata)다. 따라서 곧이곧대로 말하자면 파타피직스야말로 진짜(?) 형이상학인 셈이다.

‘형이상학’은 감각 세계 너머의 초월적 세계를 탐구한다. 즉 그것은 (물리학, 생물학, 화학 등) 감각 세계를 탐구하는 학문들의 위에 서 있다. 학문들 중의 학문을 자처하는 이 메타 학문의 머리 위에 올라앉아 그것을 굽어보는 최고의 학문이 있으니, 그것이 바로 파타피직스다. 한마디로 파타피직스는 형이상학 위의 학문, 즉 형이상이상학이라 할 수 있다. 메타피직스가 과학적 증명의 의무에서 자유롭다면, 파타피직스는 형이상학을 구속하는 논리학마저 초월한다. 대체 무슨 학문일까?

이미 짐작했겠지만, 파타피직스는 온갖 우스꽝스러운 부조리로 가득 찬 사이비 철학(혹은 과학)을 가리킨다. 파타피직스는 1948년 프랑스에서 ‘파타피직스 학회’가 만들어지면서 영향력을 발휘하기 시작했다. 후안 미로와 마르셀 뒤샹, 외젠 이오네스코와 장 주네와 같은 예술가들이 이 학회의 초기 멤버였으며, 철학자 장 보드리야르도 인생의 한동안 자신을 파타피지션(pataphysicain)으로 간주했다고 한다. 소설에 사이비인용을 이용하는 움베르토 에코 역시 대표적인 파타피지션 중 한 사람이다. ('[진중권의 아이콘] 이상한 대한민국의 ‘형이상이상학’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60639)

뒤샹, 이오네스코, 보드리야르의 작품들을 보면 분명 그들이 지향하는 것에는 공통점이 있는 듯하다. 이들을 부조리'주의'자라고 부르는 것에 불편함이 있는 이유는 그 공통점을 명확하게 지칭할 수 있는 말이 없는 까닭에서다. 그래서 그들은 허구의 학회인 파타피직스 학회의 회원이 된 듯하다. 구체적인 실체는 없지만 서로가 파타피지션이라 선언하는 형태는 그들이 가지고 있는 생각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듯 하다. 지칭하고 명명하려고 하면 도망가버리는 세계를 드러내는 방식인 듯하다.
그러나 이들은 사회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파타피직스의 세계를 사유했던 것은 아닌 듯 해보인다. 자리의 위비왕은, 파타피직스의 세계를 설명하거나 보여주려고 했다기 보다, 현실 세계의 부조리함(탐욕과 배신 등)을 고발하려는 작품으로 읽힌다. 고발하고 해체하려는 작업은 일면 아나키스트적인 면모로 보이기도 한다.
2. 아방가르드의 예술 형태와 정치적 관점
19세기 말 20세기 초 등장한 실험적이고 기존의 작업들을 해체시키려는 예술적 경향은 당시 유럽 사회에 내제되어 있던 진보를 향한 열망과 잘 맞아떨어진 듯 보인다. 아방가르드는 전복적인 형태가 아닌, 어쩌면 당시 사회의 정치적 열망을 '진보적' 예술로서 승화시킨 경향이었을지도 모르겠다. 기존에 내가 가지고 있던 아방가르드에 대한 인식은 정치적으로는 레지스탕스 집단과 유사한 이미지를 지니고 있었다. 아방가르드는 사회문화적인 억압 기재에 저항하는 정신을 내포하고 있는 작업인 줄 알았는데, 오히려 그 반대로 진보에 대한 상상을 자극하는 선동적인 작업으로 해석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아, 생각을 글로 옮겨놓고 보니 '선동'이란 단어가 다소 자극적이다. 흔히 좌우진영에서 서로에 대한 비방을 일삼을 때 나오는 단어가 '선동'아닌가. 여기서는, 기존에 아방가르드에 대해 너무나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던 것에 대해 의심을 하게 만들었다는 뜻으로 사용한 단어다. 
아방가르드라 명명한 시초는 생시몽에서 찾을 수 있다고 한다. 애초에 어떤 정치적 열망과 공동체에 대한 상상을 담아낸 단어로 보인다.
댓글 0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2019년 청년페어 아카이브 페이지를 공개합니다!
지원 | 2020.05.20 | 881
지원 2020.05.20 881
미학 세미나의 뒤를 이어 – 프로젝트 공산품共産品, 드디어 시작!
명식 | 2019.08.16 | 1046
명식 2019.08.16 1046
27
미학세미나_파이널에세이_조규혜 (11)
조규혜 | 2019.04.18 | 조회 365
조규혜 2019.04.18 365
26
미학세미나 시즌1 에세이 초안 (9)
지원 | 2019.04.14 | 조회 294
지원 2019.04.14 294
25
미학 세미나, 사진의 작은 역사 후기
지원 | 2019.04.12 | 조회 248
지원 2019.04.12 248
24
미학 세미나, 사진의 작은 역사 발제
지원 | 2019.04.06 | 조회 202
지원 2019.04.06 202
23
미학 세미나 후기(발터 벤야민, 2019.3.31) (2)
망요 | 2019.04.05 | 조회 205
망요 2019.04.05 205
22
미학세미나 <재현이란 무엇인가> 1, 2장 발제문 및 세미나 후기 (1)
소이 | 2019.03.26 | 조회 223
소이 2019.03.26 223
21
art attack 도발 후기 (3)
조규혜 | 2019.03.19 | 조회 276
조규혜 2019.03.19 276
20
190317 미학 세미나 후기 (1)
풀시계 | 2019.03.18 | 조회 222
풀시계 2019.03.18 222
19
20190317 미학세미나 후기 (3)
조영 | 2019.03.18 | 조회 211
조영 2019.03.18 211
18
미학세미나 메모
신아란 | 2019.03.17 | 조회 166
신아란 2019.03.17 166
17
미학세미나 4번째 시간 <도발> 후기 : 창훈 (1)
창훈 | 2019.03.11 | 조회 217
창훈 2019.03.11 217
16
190310_도발 art attack 1~6장_메모
조규혜 | 2019.03.10 | 조회 194
조규혜 2019.03.10 194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