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도르프교육 제3강

산이랑
2014-09-25 18:44
299

☺ 발도르프 교육학 입문☺

1)생명의 일곱 과정과 지능

-씨앗을 예를 들어

여러 가지 씨앗이 어디에 떨어지든 간에 형태를 만들어 내는 힘이 있다고 생각함

-인간은 씨앗 몸을 가지고 지구에 오고 형태를 가지고 있는 씨앗의 몸으로 오지만 미완성되어져 있다

@형태를 만드는 일곱과정

1.숨쉬기 과정

-교육자의 중요한 과제는 제대로 숨 쉬는 것을 가르치는 것이다 우리의 영혼을 움직이는 모든 것들이 바로 우리의 몸짓에 침전(표현) 된다고 할 수 있다.

2.따뜻하게 (온기)하기

-7세까지 과정동안 어린이들은 온기를 잘 보존하고 관리하는 것을 잘 배워야 합니다. 어린이들은 몸의 온기와 영혼의 온기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옷이나 피부관리를 통해 몸의 온기를 보존하고 또 마음의 온기를 보존해야 합니다.

3.영양섭취(음식)입니다.

4.분리입니다.-우리 몸이 외부에 반응하고 그런 과정속에서 나의 형태를 계속유지해 나가게 됩니다.

5.보존(유지)의 과정-어린이들의 질병, 특히 열은 보존의 과정을 활성화하는 대표적인 예입니다.

6.성장입니다.

7.생산입니다.

:이렇게 7가지 과정들이 모두 고려가 되는 방식으로 하루 일과의 리듬들이 신체적인 몸과 정신적인 것의 결합입니다. 이 7가지의 생명의 과정은 우선은 몸에 매여 있지만 점차 시간이 가면서 점점 자유로워지면서 정신적으로 됩니다.

 

2)인형놀이

-모든 동화에 개인의 발달과정이 항상 드러납니다.

내면의 움직임을 인형놀이를 통해서 자극하는 것이 인형놀이의 의미

(줄인형과 손인형이 있다)

-인형놀이를 하는 사람의 몸짓에서 인형과 사람이 어떻게 관계하는가가 바로 들어 납니다.

-모든 개별성은 자신의 주변 환경으로부터 특별하게 무언가를 끄집어 낸 다는 것이다. 똑같은 환경에 있는 세 아이가 서로 다르고 아주 다른 인간이 된 것처럼 자기형성의 과정에서 특히 초반에는 몸과 연결 되어있다. 우리가 생활하고 있는 어린이들이 바로 그 시기이다.

3)발도르프 교육학-아동기 발달 단계(0~3세)

-어린이의 시선은 다르다--가능성을 보고 있다

-재육화:자유라는 모티브와 관계가 있다

-발도르프 교육의 핵심개념은 태어나서 7년까지는 무계획성

-어린이가 자유롭게 발달해 나아갈 수 있도록 호흡을 하며 프로그램이 아닌 교사 자신의 발전 즉, 교사 자신의 프로그램이다.

-어린이에게 자유라는 것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교육자로서 어떻게 아이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까?---어린이가 스스로 연습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만둘어 주는 것

(P38~41 실습- 몸만지기 놀이,손짓,몸짓놀이, 손으로 하는 놀이 등 참고)

(P54 달팽이 놀이)

-4가지 기본감각: 촉각,생명감각,운동감각,균형감각

:유아교육기관에서 아이가 자신의 몸을 건강하게 만들어갈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는 것

:발도르프 교육기관 과제 중의 한 가지는 어린이들을 일상적인 삶의 과제로 인도하는 것. 어린이는 활동을 통해서 능력을 갖게 되며 그런 능력을 통해 확신,자신감을 갖는다.

적절한 시기에 칭찬과 인정을 받으면, 그것을 통해 자기 자신이 확인 됩니다.

(P59 집단에서 적응하기 어려운 아이들이에 대한 예를 봅시다.)

-운동감각: 반사운동,모방운동,집단운동,개별운동

4)리듬생활의 의미

-상품화된 놀잇감들은 어린이들의 자발적인 놀이행위를 감소시킨다.

-발도르프 교육은 어린이들의 시간적인 체험을 교육적 행위의 중요한 장으로 여김

-신체의 리듬은 주로 영/유아기 때 자리를 잡는다.

-변화가 지나치게 잦은 일과들은 자아를 약하게 만든다.

-교육은 하루,주,달,계절 또는 연간 리듬에 따라 구성하는 일은 리듬을 잃어버리고 살고 있는 요즘 어린이들에게는 더욱 필요

-생활리듬:예술적인 작업은 주로 자유놀이 시간에 진행하여 어린이들이 자발적인 의지로 참여할 수 있게 한다.

 

댓글 2
  • 2014-09-25 18:49

    처음 습식수채화를 시작할 때 ~~ 

    어떻게 해야하지 두리번 두리번,,,,

    조금은 부담감을 갖고 시작한지 벌써 네번째 강의가 시작되었다...

    젓은 종이에 수채화를 한다는 것이 마냥 신기하기도 했고

    뭔가 부담을 주며 테크닉을 필요로 하는 그림그리기가 아니라

    조금은 미술을 힘들어하는 나에겐 위안이 되기도 했다.^^

    이번주 습십수채화는 빨강과보라를 섞고 가운데 부분 보색인 노랑을 칠해주어

    함께 했을 때 더 밝게 보여지는 노랑을 시각적으로 느낄 수 있었다.

    이번 강의에서는 인간의 심리학을 알아가는 과정이었는데

    책을 읽고 정리하는데 상당히 어려움이 많았다.

    선생님께서 아이들과 함께 하면 좋은 '도토리 방은 어디일까'

    재미있는 손유희도 알려주시고

    처음 원에 등원하여 적응하는 아이들에 대한 이해와 부모들의 참관에 대한

    많은 이야기를 나누며 내가 지금까지 생각했던 교사 위주의 생각에서

    아동의 입장, 심리 면에서 생각할 수 있는 좋은기회였다.

     

  • 2014-09-26 20:21

    사과향님,

    첫  째날 그림 그리던 때와는 달리

    많이 편안해 진 모습이었습니다.

    그만큼의 체험의 시간들이 흘렀기 때문이겠지요.

     

    발도르프 교육학의 핵심 개념은 

    태어나서 7년까지는 무계획성입니다.

    그것은 아무것도 안하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계획 대신에

    어떠한 열의들, 공간들을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그것은 곧 

    따뜻하고 좋은 특성을 가진 공간을 만들어 내는 것이지요.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67
<세미나팀>10월8일 공지
여울아 | 2014.10.04 | 조회 254
여울아 2014.10.04 254
66
<돈팀> 맑스주의와 근대성 5장, 6장 발제 (1)
블랙커피 | 2014.10.02 | 조회 258
블랙커피 2014.10.02 258
65
<매니저팀>천개의 고원 10장 되기
요요 | 2014.10.01 | 조회 479
요요 2014.10.01 479
64
우리의코뮤니즘 2부6장 발제
무담 | 2014.09.28 | 조회 271
무담 2014.09.28 271
63
<돈팀> 맑스주의와 근대성 1~3장 후기 (2)
토용 | 2014.09.26 | 조회 349
토용 2014.09.26 349
62
발도르프교육 제3강 (2)
산이랑 | 2014.09.25 | 조회 299
산이랑 2014.09.25 299
61
<세미나팀> 몸의 인지과학 0924 후기
엄지 | 2014.09.25 | 조회 336
엄지 2014.09.25 336
60
<세미나팀> 앞으로의 계획입니다
엄지 | 2014.09.25 | 조회 230
엄지 2014.09.25 230
59
발도르프 교육 제2강(2014.9.15) (2)
산이랑 | 2014.09.23 | 조회 411
산이랑 2014.09.23 411
58
<메니저팀>에티카 4부 5부 후기 (4)
토토로 | 2014.09.22 | 조회 462
토토로 2014.09.22 462
57
연대팀을 소개합니다.
느티나무 | 2014.09.22 | 조회 288
느티나무 2014.09.22 288
56
<돈팀> 미래의 맑스주의 3,4장 후기 (1)
봄날 | 2014.09.21 | 조회 246
봄날 2014.09.21 246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