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세이건의 문장 감각 돋네!!

과학셈나
2011-10-11 00:05
1802

 

생물학은 물리학보다 역사학에 더 가깝다. 현재를 이해하려면 과거를 잘 알아야 하고,

그것도 아주 세세한 부분까지 알아야만 한다. 역사학에 예견론이 없는 것처럼 생물학에도 확립된 예견론이 없다.

이유는 양쪽 모두 같다. 연구 대상들이 너무 복잡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생물학과 역사학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에는 공통점이 있다.

그것은 타자를 이해함으로써 자신을 더 잘 이해하게 된다는 것이다. 외계 생명에 관한 단 하나의 예만 연구할 수 있게 된다고 하더라도

그리고 그 하나가 아무리 미미한 수준의 것이라고 하더라도 우리의 생물학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확장될 것이다.

적어도 우리와 다른 생물이 가능하다는 사실은 확인할 수 있지 않겠는가? 외계 생물에 대한 탐구가 중요하다고 누구나 말하지만,

우리는 외계 생명을 찾는 일이 결코 쉽지 않다는 현실적 어려움도 잘 알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계의 생명은 우리가 추구할 궁극의 목표이다.

왜냐하면 그것이 우리 자신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해 줄 것임에 틀림없기 때문이다.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 중 2장 '우주 생명의 푸가' 가운데(103쪽)

 

도킨스, 굴드 그리고 칼 세이건까지 이들은 정말 과학자들인가? 그러고보니 다윈 또한 문장과 사색에 있어

인문학자들을 저만큼 앞질러 갔었다는 기억이 나네요. 과학세미나 시즌2 준비하며 <코스모스> 읽고 있는데

혼자 보기 아까운 글이라 게시판에 옮겨왔어요, 보이저2호에 베토벤, 비틀즈, 아이의 울음소리 등 지구의 소리가 녹음된

음반을 실어보낸 세이건의 상상력은 지구의 기원에 대한 탐사라는 인식론적 바탕 위에서 전개되었던 거더군요^^

우와! 멋져요!!

 

자! 이렇게 과학세미나 시즌2 시작합니다.

10월 12일 수요일 저녁 7시 30분 <코스모스> 1장에서 4장까지 공부해요^^

함께 하겠다고 연락 주신 모든 분들

연락은 안 주셨지만, 세이건의 우주론에 매혹되시는 분들

모두 모이세요!!

댓글 0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52
목요일에 하는 과학세미나, 많은 관심을... (4)
무담 | 2011.11.08 | 조회 1395
무담 2011.11.08 1395
51
8장 시간과 공간을 가르는 여행 발제문
양다 | 2011.11.06 | 조회 1852
양다 2011.11.06 1852
50
11월 2일 과학세미나☆ (3)
캥거루 | 2011.11.03 | 조회 1700
캥거루 2011.11.03 1700
49
9장 발제
당근 | 2011.11.02 | 조회 1490
당근 2011.11.02 1490
48
과학 세미나 SF 영화 봅니다. (3)
무담 | 2011.10.24 | 조회 1547
무담 2011.10.24 1547
47
코스모스 7장 발제
새털 | 2011.10.19 | 조회 2036
새털 2011.10.19 2036
46
코스모스 6장 발제 (2)
무담 | 2011.10.19 | 조회 1681
무담 2011.10.19 1681
45
캥거루에게 당근을!! (4)
과학반장 | 2011.10.17 | 조회 1608
과학반장 2011.10.17 1608
44
<코스모스> 1-2장 발제
무담 | 2011.10.12 | 조회 2078
무담 2011.10.12 2078
43
칼 세이건의 문장 감각 돋네!!
과학셈나 | 2011.10.11 | 조회 1802
과학셈나 2011.10.11 1802
42
과학셈나 10월12일 <코스모스>로 시작!! (4)
반장 | 2011.09.08 | 조회 1992
반장 2011.09.08 1992
41
<과학세미나> 시즌2 시작합니다 (2)
반장 | 2011.08.22 | 조회 2336
반장 2011.08.22 2336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