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려움의 연대기 #1 계수(癸水)가 두려움을 만났을 때
해야
자유롭게 살고 싶어 한국을 탈주한 퀴어다.
판에 박힌 일상과 화폐 증식의 압력에서 자유로워지고 싶어 공부를 시작했다.
나는 버스 한 대 다니지 않았던 시골 벽지 동네에 자랐다. 어릴 적 우리 집은 그 동네에서도 매우 가난한 축이었다. 부모임이 어떤 사건으로 인해 허리띠를 졸라 모아 놓은 전 재산을 하루 아침에 잃어버렸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우리 집은 절대적 빈곤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큰 부자가 되겠다는 야망을 가진 건 아니지만 난 성인이 되어서도 궁핍한 생활을 하게 될까 겁이 났다. 아버지와는 한번도 대화해 본 기억이 없다. 평소엔 내가 납득하기 어려운 사소한 일에 윽박을 지르거나 술을 마시고 나면 자살하겠다고 농약병을 찾아 공포에 떨어야 했다. 아프다고 하면 혼이 났기에 몸이 불편해도 눈치를 보며 숨겨야 했다.
중학교에 들어갈 무렵 나는 성적 지향이 남들과 다르다는 걸 분명하게 인지하게 되었다. 당시엔 게이라는 말조차 생경했고 성소수자라는 단어도 없었다. 얼마 전 한국 게이들 사이에서 유행했다는 웃픈 농담이 기억난다. 본인이 성소수자라는 걸 처음 인지했을 때 세상에 본인과 비슷한 성향을 가진 사람이 홍석천과 자신, 그 둘밖에 없는 것으로 알았다는 것이다. 홍석천이 나와 비슷한 나이이고 그가 일종의 아웃팅으로 동성애자로 알려진 게 서른이 되어서였다. 당시 나처럼 시골에서 자란 성소수자는 비슷한 성향의 사람이 세상에 어디에 존재하고 있다는 걸 모를 수밖에 없었다. 내 감정이 나에겐 매우 자연스러운 것이었지만, 나의 있는 모습 그대로가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는 것을 직감으로 알았다.
영화 <클로즈> 에서
나는 다른 사람들이 나를 알아볼 수 없도록 벽을 조금씩 쌓았다. 최선을 다해 튼튼하게 쌓는 게 목표였다. 나를 드러내야 하는 자리를 피했다. 사람들과의 자리에서는 어떤 말을 하기 전 자기 검열을 해야 했고 행동도 조심스러웠다. 나를 오픈했을 경우 타인의 시선과 사회적 압력을 견디어 낼 자신이 없었기에 벽장 속으로 들어갈 수밖에 없었다. 내 자아가 벽장 안에 축소되어 존재할 수밖에 없었던 그 근저에는 두려움이 자리하고 있었다. 가난, 아버지, 이성애만이 “존재”하는 세상, 이 모두가 나를 움츠려 들게 했다. 두려움이란 감정 때문에 힘들었고 그 원인은 모두 잘못된 시대와 나라에 태어났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두려움은 내 괴로움의 원천이었다. 이를 극복하고 싶었다. 하지만 스스로 넘어서기에 너무 높다란 벽과 같은 것이었다.
약 이 년 전 두려움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볼 수 있었던 계기가 있었다. 당시 나는 동양학을 공부하고 싶었다. 이곳 미국에서의 생활이 내게 많은 자유를 안겨주기도 했지만 두려움과 자의식이 나를 여전히 괴롭히고 있었기 때문이다. 때마침 코로나로 인해 한국 인문학 공동체 강의가 온라인으로 열렸고 거기서 명리학의 기초적인 것을 배울 수 있었다. 그때 처음으로 내 사주에 대해 알게 되었다.
2014. 8. 21
나는 천간은 계수(癸水)이고 지지는 해수(亥水)인 계해(癸亥) 일주이다. 거기다 동짓달에 태어났으니 차가운 얼음장 아래로 졸졸 흐르는 시냇물의 기운이 내 안에 잠재되어 있다. 월지 또한 자수(子水)이니 내 안은 온통 물기운으로 치성하다. 계해 일주는 성실함과 융통성을 무기로 자신을 잘 드러내지 않으며 천천히 전진하는 타입이다. 해수는 역마의 기운을 품고 있어 해외로 나갈 가능성 또한 품고 있다. 나처럼 수렴의 기운이 강한 사주는 자의식과 망상이 강하게 나타날 수 있다. 과잉 해석을 하기 쉽고 사소한 것도 감추고 자신의 속내를 잘 드러내려 하지 하는 속성도 가지고 있다. 이럴 경우 생명력을 발산하고 자기를 표현하는 능력인 식상(食傷)에 해당하는 봄의 기운이 필요하다. 하지만 난 목(木)기운, 즉 식상이 전혀 없다. 따라서 내 사주는 융통성, 꾸준함, 요령 등을 갖춘 반면 순환이 잘 되지 않아 속을 알기 어렵다. 또 남들에게 음흉한 인상을 줄 가능성이 내포되어 있다.
이렇게 펼쳐진 내 사주를 보고 흠칫 놀랐다. 나의 내향성, 성실함, 말재주와 표현력의 빈곤, 자의식 과잉, 협소한 인간관계 등이 내 안에 내재해 있었다니. 거기다 역마의 기운은 미국으로의 이주에 일조를 했을려나. 사주를 해석하고 나서 내 팔의 잔털들이 쭈뼛 세워지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그때까지 내가 굳게 믿어왔던 두려움에 대한 해석이 틀리지는 않지만 협소했을 가능성을 발견하게 되었다. 나를 괴롭혀왔던 두려움을 다른 시각으로 바라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어렴풋이 하게 되었다.
앞으로 이어질 다섯 편의 글을 통해 내가 두려움을 대했던 방식을 돌아보려고 한다. 자유로워지기 위해 좀더 큰 도시로, 그리고 미국으로 이주를 했던 과정을 차근히 짚어보면서 나를 지배했던 두려움을 다양한 각도에서 해석해 보려고 한다. 궁극적으로는 이 글을 통해 두려움을 어떻게 수용할지를 탐구하고 싶다. 다음 편에서는 어릴 적 경험한 난관과 두려움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시도한 “탈주”에 관한 이야기를 해보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