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알못을 위한 희소식2 - 서동진의 푸코

문탁
2020-02-20 09:44
751

두 사람의 푸코가 있었다...

시위대 안의 푸코와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실 안의 푸코...!! 

(디디에 에리봉 평전, p427)

 

 

 

 

 

2012년  디디에 에리봉의 평전 <푸코>가 그린비출판사에서 개정증보판(박정자 번역)으로 재출간됩니다. 이 평전 출간을 맞아 서동진선생이 짧은 서평을 씁니다. 그린비출판사 블로그에서 퍼왔습니다

 

======================================================================================

 

철학자, 투사, 그리고 성인(聖人), 푸코의 생애를 읽는 지도

 

서동진(계원디자인예술대학교 인문교양학부)

 

1984년 푸코는 에이즈 합병증으로 세상을 떠났다. 그의 죽음을 생각할 때마다 나는 이런 짓궂은 질문이 떠오른다. 한 때 불치의 역병이었던 에이즈가 이제는 평범한 만성질환으로 취급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면, 과연 이 양반은 어떻게 대꾸할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그의 사진을 통해 익숙한 파안대소이다. 그렇다, 그는 이 능청맞은 세계에 무엇보다 먼저 웃음으로 응대하였을 것이다, 아마 좀 더 목숨을 연장할 수 있었다면 푸코는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바이러스의 침범으로 생겨난 하나의 질병이 어떻게 숱한 지식의 쟁투, 윤리의 전장, 권력의 각축이 벌어지는지 추적하고 고발하였을 것이다. 그리고 그래야 푸코다울 것이다. 자신의 실존적인 체험을 사고의 일반적 원리와 상관시켜 집요하게 추궁하는 희귀한 철학자. 언제나 현재를 떠나본 적이 없는 철학자. 그러나 서글프게도 우리는 푸코의 박학다식한 음성과 열정적인 사자후를 들을 수 없다. 그렇지만 그의 목소리는 전에 없이 더 강력하게 세상을 울린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파리 자신의 아파트에서, 1983년.

 

개정 증보를 거쳐 디디에 에리봉의 푸코에 관한 전기, 『푸코』가 출판되었다. 그것은 푸코의 생애를 증언하는 여러 가지 전기 가운데 하나일 것이다. 푸코는 소설의 주인공으로서(에르베 기베르라는 컬트적인 프랑스 소설가는 푸코에 관한 그로테스크한 전기를 썼고, 푸코라는 사상가가 세상에 알려지기도 전에 그는 한국에 엽기적이고 변태적인 기인 철학자로 소개되었다), 혹은 캘리포니아의 쾌락주의에 탐닉하며 세상의 도덕적 기준을 넘어서는 것을 유일한 윤리적 덕목으로 간주했던 무법자로서, 여러 가지 전기에 출현하였다. 그렇지만 디디에 에리봉의 전기는 각별하다. 그와 실존적으로 은밀한 유대감을 가졌을 것이 분명한 이 게이 저널리스트는, 좌파 지식인들의 지적 궤적을 추적하고 보고하는 일급의 기자였다. 그리고 그는 그 어느 누구도 할 수 없을 세심한 주의와 열정을 기울여 푸코에 관한 완벽한 초상을 소묘하였다.

 

겸손하게도 푸코는 다음 세기는 들뢰즈의 세기라고 예언했지만, 실은 다음 세기의 철학은 푸코에게 맡겨진 것처럼 보인다. 적어도 푸코는 좌우를 막론하고 모든 이들에게 총애 받는 철학자이자 지식인이 되었다. 아마 그런 영예를 누릴 지식인은, 사르트르나 비트겐슈타인 정도를 꼽을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정작 푸코가 무슨 이야기를 들려주었는가를 말해야 하는 자리가 되면 많은 이들은 서로 의견을 다투거나 주저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무엇보다 푸코에게 그의 생애를 관통하는 어떤 중심적인 주제나 관심이 있었다고 말할 수 없다. 또 누군가의 말처럼 그를 어떤 지식의 이런저런 분야 가운데 하나에 속한다고 분류하기도 어렵다. 그가 창안한 지식의 고고학, 진실의 계보학이란 낯선 용어는 외려 그가 이미 우리에게 주어진 학문의 범주 안에 소속되길, 끈질기게 거부했음을 알려줄 뿐이다. 나아가 그는 20세기에 특별히 유별났던 어떤 지적 흐름의 상속자이자 계승자이지도 않았다. 그는 한 때 공산당원이었지만 곧 탈퇴하였고 사르트르로 대표되는 실존주의와는 평생 적대적이었다. 그가 한 때 열혈 멤버인 것처럼 간주되었던 구조주의에 대해서도 언제나 불편해하였다.

 
당연한 말이지만 우리가 푸코의 전기를 읽는다고 하여 그의 사유를 보다 투명하게 헤아릴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실은 푸코보다 저자의 삶과 그의 사유 사이에 놓인 관계를 의심스런 눈길로 본 이도 없을 것이다. 그가 우리로 하여금 오랜 인간학적인 잠으로부터 깨어나야 한다고 역설했을 때, 푸코는 앎을 생산하는 역사적이고 정치적인 조건이야말로 어떤 앎을 진실로 만들어내는 힘이라는 것을 주장하고 싶었을 것이다. 그러나 댄디였고 또한 윤리의 문제에 있었어도 실존을 하나의 예술작품처럼 다루기를 강조했던 이 사상가가 보여준 독특한 사유의 스타일을 이해하는 데 있어, 그의 생애를 참조하지 않는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일 것이다. 그런 점에서 우리는 이 전기를 기꺼이 성인전(聖人傳)으로 읽을 수 있다. 그렇지만 여기에는 어떤 경멸적이고 비꼬려는 의도가 없다. 여기에서 말하는 성인전이란 영웅적인 종교적 지도자에 대한 전기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다. 외려 우리는 자신의 실존적 체험을 기꺼이 자신의 사유의 재료로 삼고 그로부터 길어 올린 진실과 정의에 기대어 투쟁하는 지식인으로 거리에 섰던 한 사상가야말로 현대의 성인에 가깝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성인이란 자신이 획득한 지식을 기꺼이 자신의 삶을 끌어가는 윤리로 바꾸어내고 또 그것을 실천하는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이겠는가. 마침 이 전기의 출간과 더불어 <푸코 이후의 정치와 철학>이란 심포지엄이 열린다. 푸코의 사도들이라 불러도 좋을까. 푸코의 사상에 유의했던 진보적인 지식인들이 한 자리에 모여 푸코를 현재의 사상가로 다시 읽고 토론하는 이 자리는, 푸코의 전기를 깊이 읽는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그를 지지하거나 혹은 거부해야 하는 이유들을 쫓으며 그와 대결하는 젊은 학자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인다면, 아마 이 전기를 읽는 즐거움은 배가될 것이 분명하다. 

댓글 0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245
『숲은 생각한다』2, 3장 메모 (1)
둥글레 | 2021.11.13 | 조회 203
둥글레 2021.11.13 203
244
<숲은 생각한다> 1회 세미나 후기 (3)
기린 | 2021.11.09 | 조회 273
기린 2021.11.09 273
243
양생 2학기 15회 세미나 공지 (3)
양생반장 | 2021.11.09 | 조회 251
양생반장 2021.11.09 251
242
양생 2학기 <숲은 생각한다> 서론-1부 메모 (1)
기린 | 2021.11.05 | 조회 254
기린 2021.11.05 254
241
양생 2학기 14회 세미나 공지
양생반장 | 2021.11.02 | 조회 223
양생반장 2021.11.02 223
240
<다소 곤란한 감정>에 대한 다소 곤란한 세미나 (2)
문탁 | 2021.11.02 | 조회 283
문탁 2021.11.02 283
239
양생2학기 『다소 곤란한 감정』3,4,5부 메모-2조 (1)
조은 | 2021.10.30 | 조회 233
조은 2021.10.30 233
238
양생 2학기 13회 세미나 공지
양생반장 | 2021.10.27 | 조회 281
양생반장 2021.10.27 281
237
다소 곤란한 감정 첫 번째 모임 후기  (2)
아낫 | 2021.10.26 | 조회 328
아낫 2021.10.26 328
236
양생2학기 『다소 곤란한 감정』1, 2부 메모 (2)
둥글레 | 2021.10.22 | 조회 333
둥글레 2021.10.22 333
235
마음의 생태학 4회차(마지막) 후기 (3)
그믐 | 2021.10.22 | 조회 293
그믐 2021.10.22 293
234
양생2학기 12회 세미나 공지
양생반장 | 2021.10.19 | 조회 236
양생반장 2021.10.19 236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