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서 읽기. 6회차 후기

마음
2022-04-08 22:14
160

이번 시간에는 논어를 본격적으로 읽기 전에 <논어> 전반에 대하여 진달래샘의 강의가 있었습니다.

2500여 년이나 지났지만 아직도 여전히 논어가 리라이팅되는 이유가 뭔지를 생각해 보라는 말씀이

저는 참 인상적이었습니다. 맞아요. 논어 관련 서적은 끊임없이 출판되는 듯 서점에는 매번 매대를

차지하고 있는 걸 볼 수 있어요.

2000년 이상 동아시아에서 최고의 권위를 지닌 고전 중의 고전이었지요. 왜 그럴까요?

동아시아의 모든 지식인 특히 유학자들은 논어를 통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공자 말씀을 재해석함으로써

자신의 사상을 전개해 나갔는 것 같아요. 수많은 학자들의 재해석 과정을 통해 그 시대의 책으로 다시 태어날

수 있었던 거죠. 현재 우리가 논어를 다시 읽어야 하는 이유이겠지요. 논어는 그 자체로도 읽고 생각거리가

많은 책이지만 우리의 전통문화와도 맞닿아 있는 지점이 많다는 점에서 또한 읽어야 하는 이유이지 싶네요.

 

진달래샘은 논어는 일명 ‘축의 시대’라고 불리는 2500여 년 전의 책으로 (다른 고전도 그렇겠지만) 논어에는

문명이 열리면서 제기되는 여러 가지 문제가 함축적으로 담겨 있으니 주의해서 보라고 당부하셨어요.

논어는 공자가 제자, 정치인 등을 만나서 나눈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책 자체는 공자가 직접 쓴 것이 아니고

공자 사후에 제자들이 기록한 자료들을 묶은 편집본이랍니다. 토론 과정의 단편들로 이뤄진 대화록으로

논어에는 인물과 인물이 상호 작용하는 현실적인 것이 들어 있어요. 간혹 논어를 공자 말씀을 완벽하게

정리된 보편진리로 여기는 경향도 있는데 사실 아니지요. 물론 공자도 도리와 원칙을 말합니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실제 사실을 놓고서 이치를 논하지 추상적으로 말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말씀 하나 하나에 각기

다른 배경과 대상이 있으므로 시대나 현실적 배경을 배제하고 논어를 읽어서는 안 된다는 의미이겠지요.

 

단지 수동적으로 받아들이지 말고 공자의 말과 행동을 최대한 역사적 맥락 속에서 해석하라는 진달래샘의

애정 어린 조언을 기억해야겠어요. 다음 시간은 학이편을 읽어오기로 했답니다.

댓글 4
  • 2022-04-10 17:21

    강의를 들으며 유학이 많이 오염(?)됐나보다..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공자의 사상을 종교화 하지말아야 한다, 가부장적이며 고루할것이다 라는 부정적  선입관도 갖지 말아야 한다, 시대적 맥락을 읽어야한다며 진달래샘께서 당부하셨습니다.

    공자와 제자들의 대화를 읽어나가면서 그의 인간적인 면모와 그가 한탄하면서 구현하고자 한 세상이 어떤 것인지 잘 배워보고 싶습니다. 
    현대적으로 제 자신에게 걸맞게 재해석도 하고 싶고요. ㅎ

    새 책 시작하는 거니까, 새로운 마음으로^^

  • 2022-04-11 09:41

    고정관념 없이 읽는 것, 잘 새겨 두어야겠습니다.

  • 2022-04-13 21:43

    논어를 어떻게 읽어야 할까라는 고민이 이번에 많이 들어요.

    仁/禮/忠/信/用/德.... 아는 것 같지만 모르겠는 단어들.  논어에서 이것들에 대해 어떻게  말하고 있는지. 

    이런 것들에 집중해서 논어를 읽어보고 싶어요. 

    대학을 읽으면서 내내 막연하게 느껴지던 단어들이 논어에서 구체적으로 읽히는 경험을 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2022-04-13 23:26

    이번에 지도를 꼼꼼히 짚어가며 춘추 말기 시대의 이야기를 또 들었습니다. 여전히 재미있고, 계속 새롭고 그렇더라구요. ㅎㅎ 역사상 유례가 없었던 혼란과 갈등의 시대적 상황이 먼저 들어와야 공자에 대한 통념과 오해를 바로 잡을 수 있을 텐데... 그런데 저에겐 너무 방대한 이야기...  그래서 저희는 진달래샘께 "도대체 공자의 매력이 뭐냐?"고 자꾸 묻고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샘께서 들어주신 두 가지, 공자 본연(?)의 인간적인 모습과 지속적인 리라이팅의 비결은 <논어>에서 함께 잘 찾아보기로 해요!  

글쓰기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알림]
[알림] [사서학교 소식③] 2022사서학교에 무슨 일이? (1)
봄날 | 2022.02.06 | 조회 913
봄날 2022.02.06 913
[알림]
[알림] [사서학교 인터뷰②] 궁금했어요. 도라지샘은 왜 '사서 읽기'를 신청했을까? (3)
진달래 | 2022.01.29 | 조회 900
진달래 2022.01.29 900
[알림]
[알림] [사서학교-인터뷰①] 궁금했어요. 진달래쌤이 공부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3)
도라지 | 2022.01.28 | 조회 921
도라지 2022.01.28 921
[마감]
[마감] 2022 고전학교 - 사서(四書)읽기 (맹자, 중용) 2학기 모집 (9)
사서학교 | 2022.07.21 | 조회 1205
사서학교 2022.07.21 1205
1092
New [2023고전학교]사기열전<위공자열전(魏公子列傳)>후기 (1)
사마현 | 2023.06.06 | 조회 27
사마현 2023.06.06 27
1091
[2023고전학교]사기열전 <맹상군열전> 후기 (5)
토토로 | 2023.05.25 | 조회 80
토토로 2023.05.25 80
1090
[2023 고전학교] <기록자의 윤리 역사의 마음을 생각하다> 후기 (4)
진달래 | 2023.05.23 | 조회 83
진달래 2023.05.23 83
1089
[2023 고전학교] <기록자의 윤리 역사의 마음을 생각하다> 메모 (2)
진달래 | 2023.05.17 | 조회 45
진달래 2023.05.17 45
1088
[2023 고전학교] 사기열전 - <소진 장의 열전>후기 (2)
사 마현 | 2023.05.07 | 조회 122
사 마현 2023.05.07 122
1087
[2023 고전학교] 사기열전 <맹자순경 열전> 후기 (3)
가마솥 | 2023.04.25 | 조회 91
가마솥 2023.04.25 91
1086
[2023 고전학교] 사기열전 <노자 한비 열전> 후기 (2)
도라지 | 2023.04.19 | 조회 110
도라지 2023.04.19 110
1085
[2023 고전학교] 사기열전 <상군열전> 후기 (3)
곰곰 | 2023.04.12 | 조회 125
곰곰 2023.04.12 125
1084
[2023 고전학교] 사기열전 - <오자서 열전>후기 (3)
사 마현 | 2023.04.01 | 조회 197
사 마현 2023.04.01 197
1083
[2023 고전학교] 사기열전 - <관안열전>후기 (5)
가마솥 | 2023.03.27 | 조회 160
가마솥 2023.03.27 160
1082
[2023 고전학교] 사기열전 - <백이열전>후기 (3)
도라지 | 2023.03.22 | 조회 137
도라지 2023.03.22 137
1081
[2023 고전학교] 사기열전 - <태사공자서> 후기 (3)
곰곰 | 2023.03.13 | 조회 106
곰곰 2023.03.13 106
1080
[2023 고전학교] 사기열전 읽기 - 첫시간 후기
진달래 | 2023.03.08 | 조회 97
진달래 2023.03.08 97
1079
<간명한 중국 철학사> 6회차 후기 (2)
도라지 | 2023.02.20 | 조회 130
도라지 2023.02.20 130
1078
<간명한 중국철학사> 5회차 간단요약 (4)
마음 | 2023.02.13 | 조회 138
마음 2023.02.13 138
1077
[고전학교 단기세미나]<간명한 중국 철학사> 4회차 후기 - 순자/한비자를 중심으로 (2)
곰곰 | 2023.02.08 | 조회 151
곰곰 2023.02.08 151
1076
[고전학교 단기세미나]<간명한 중국 철학사>3회차 후기 (2)
토토로 | 2023.01.19 | 조회 168
토토로 2023.01.19 168
1075
[고전학교 단기세미나] 간명한 중국철학사 두번째 시간 후기 - 묵자, 양주, 맹자, 공손룡의 새로운 발견 (3)
한스 | 2023.01.12 | 조회 495
한스 2023.01.12 495
1074
[고전학교 단기세미나] 간명한 중국철학사 첫 번째 시간 후기 (2)
진달래 | 2023.01.05 | 조회 168
진달래 2023.01.05 168
1073
[고전학교-단기세미나] <간명한 중국철학사> 읽기 첫 시간 공지
진달래 | 2022.12.22 | 조회 178
진달래 2022.12.22 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