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 에세이 아카이브
달관주의와 신비주의 자여가 병에 걸렸습니다. 자사가 문병을 가서 자여를 보고 말했습니다. “위대하구나, 조물자! 그대를 이렇게 곱사등이로 만들었구나!” 그의 창자는 위쪽으로 올라붙었으며, 턱은 배꼽에 파묻혔고, 어깨는 정수리보다 높았으며, 상투만 달랑 하늘을 향해 있었습니다. 음양의 기가 흐트러져 많이 아파보였으나 마음은 평온해 보였습니다. 자여는 비틀거리며 우물로 가서 자신을 비춰보고 말했습니다. “위대하구나, 조물자! 나를 이렇게 곱사등이로 만들었구나!” 자사가 물었습니다. “자네는 그 모습이 싫은가?” 자여가 말했습니다. “아니네, 그럴 리가 있는가? 내 왼팔이 점점 변해 닭이 된다면 나는 새벽을 알리겠네. 내 오른팔이 점점 변해 활이 된다면 나는 올빼미를 잡아 구워먹겠네. 내 꼬리뼈가 점점 변해 수레바퀴가 되고 내 마음이 말이 된다면, 그것을 탈 테니 따로 수레가 필요하겠는가? 삶을 얻는 것도 때를 만났기 때문이고 그것을 잃는 것도 때를 따르는 것일 뿐이네. 생사를 편안히 때의 추이에 맡기면 슬픔과 기쁨이 끼어들 여지가 없다네. 옛사람은 이를 일러 ‘하늘이 내린 형벌에서 풀려나는 것’이라 하였네. 그런데 스스로 풀려나지 못하는 것은 사물에 얽매여 있기 때문이지. 하지만 사물이 자연의 이치를 이기지 못한다는 것은 오래된 진실! 내가 무엇을 싫어하겠는가?”(『장자』내편, <대종사(大宗師)>)   이 책의 제목 『장자, 닭이 되어 때를 알려라』가 연유한 부분이다. 『장자』 <대종사>편에 나오는 이 이야기는 ‘장자가 나비가 되고 나비가 장자가 되는’ 호접몽(胡蝶夢)의 구절 못지않게 해석이 분분하다. 중국의 근대철학자 호적(胡適)은 이 부분을 한 마디로 ‘낙천입명(樂天立命)’이라고 비판했다. 낙천입명은 하늘의 명을 따라 즐기고 이에 순응한다는 뜻의 ‘낙천지명(樂天之命)’과 같은...
달관주의와 신비주의 자여가 병에 걸렸습니다. 자사가 문병을 가서 자여를 보고 말했습니다. “위대하구나, 조물자! 그대를 이렇게 곱사등이로 만들었구나!” 그의 창자는 위쪽으로 올라붙었으며, 턱은 배꼽에 파묻혔고, 어깨는 정수리보다 높았으며, 상투만 달랑 하늘을 향해 있었습니다. 음양의 기가 흐트러져 많이 아파보였으나 마음은 평온해 보였습니다. 자여는 비틀거리며 우물로 가서 자신을 비춰보고 말했습니다. “위대하구나, 조물자! 나를 이렇게 곱사등이로 만들었구나!” 자사가 물었습니다. “자네는 그 모습이 싫은가?” 자여가 말했습니다. “아니네, 그럴 리가 있는가? 내 왼팔이 점점 변해 닭이 된다면 나는 새벽을 알리겠네. 내 오른팔이 점점 변해 활이 된다면 나는 올빼미를 잡아 구워먹겠네. 내 꼬리뼈가 점점 변해 수레바퀴가 되고 내 마음이 말이 된다면, 그것을 탈 테니 따로 수레가 필요하겠는가? 삶을 얻는 것도 때를 만났기 때문이고 그것을 잃는 것도 때를 따르는 것일 뿐이네. 생사를 편안히 때의 추이에 맡기면 슬픔과 기쁨이 끼어들 여지가 없다네. 옛사람은 이를 일러 ‘하늘이 내린 형벌에서 풀려나는 것’이라 하였네. 그런데 스스로 풀려나지 못하는 것은 사물에 얽매여 있기 때문이지. 하지만 사물이 자연의 이치를 이기지 못한다는 것은 오래된 진실! 내가 무엇을 싫어하겠는가?”(『장자』내편, <대종사(大宗師)>)   이 책의 제목 『장자, 닭이 되어 때를 알려라』가 연유한 부분이다. 『장자』 <대종사>편에 나오는 이 이야기는 ‘장자가 나비가 되고 나비가 장자가 되는’ 호접몽(胡蝶夢)의 구절 못지않게 해석이 분분하다. 중국의 근대철학자 호적(胡適)은 이 부분을 한 마디로 ‘낙천입명(樂天立命)’이라고 비판했다. 낙천입명은 하늘의 명을 따라 즐기고 이에 순응한다는 뜻의 ‘낙천지명(樂天之命)’과 같은...
봄날 2023.09.05 |
조회 169
      페미니즘과 나는 애증의 관계다. 아마도 내가 일방적으로 느끼는 애증일 테지만, 나는 한때 주위에 페미니즘을 강매하는(?) 열성도였고, 또 어떤 때는 그 한계를 느끼며 버리고자 했다. 지금은 죽지 않고 다시 또 살아 돌아온 심지어 확장되어 나부끼고 있는 페미니즘의 깃발을 보며 겸손하게 그 부름에 응답하기로 마음먹었다. 페미니즘은 내가 갖거나 버릴 수 있는 이론이 아니라, 내 친구들이 구체적인 현실에서 절실한 필요를 느끼며 부여잡고 일종의 인식론, 실천론에 가깝다. 유교를 공부하고 있는 젊은 여성인 나는 오늘날의 페미니즘적 맥락을 피해 갈 수 없을 것이며, 오히려 꺾이지 않는 페미니즘에 유교만의 방식으로 응답해야 한다고 느낀다. 유교와 페미니즘이 결합하는 것은 가능할까?       1. 유교를 구원하던 페미니즘     유교와 페미니즘이라니, 조합이 매우 낯설게 느껴진다. 나의 또래 페미니스트들 중에 유교가 우리 문화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으며, 그것이 한국 여성의 삶에 악영향을 끼친 원흉이자 여태껏 끈질기게 살아남은 악령이라는 주장에 동의하지 않을 이는 거의 없을 것이다. 내가 읽어온 페미니즘 책에서는 고대부터 여성들은 차별당해 왔다는 이야기를 했다. 특히 고대 동양 여성들의 삶에 대한 안쓰러운 시각은 오래전부터 기정사실화되어 왔다.      초기 프랑스 페미니스트인 쥘리아 크리스테바는 1974년 <중국 여성에 관하여>에서 한 장의 제목을 ‘공자-여자를 잡아먹는 자’라고 붙이기도 했다. 1990년대 중반까지도 유교는 서구적 삶의 방식보다 뒤떨어지는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상징했다. 마저리 울프에게 유교란 여성 혐오와 동의어였다. “상하이의 젊은이들이 스탠포드대학교 MBA를 취득하고 다국적...
      페미니즘과 나는 애증의 관계다. 아마도 내가 일방적으로 느끼는 애증일 테지만, 나는 한때 주위에 페미니즘을 강매하는(?) 열성도였고, 또 어떤 때는 그 한계를 느끼며 버리고자 했다. 지금은 죽지 않고 다시 또 살아 돌아온 심지어 확장되어 나부끼고 있는 페미니즘의 깃발을 보며 겸손하게 그 부름에 응답하기로 마음먹었다. 페미니즘은 내가 갖거나 버릴 수 있는 이론이 아니라, 내 친구들이 구체적인 현실에서 절실한 필요를 느끼며 부여잡고 일종의 인식론, 실천론에 가깝다. 유교를 공부하고 있는 젊은 여성인 나는 오늘날의 페미니즘적 맥락을 피해 갈 수 없을 것이며, 오히려 꺾이지 않는 페미니즘에 유교만의 방식으로 응답해야 한다고 느낀다. 유교와 페미니즘이 결합하는 것은 가능할까?       1. 유교를 구원하던 페미니즘     유교와 페미니즘이라니, 조합이 매우 낯설게 느껴진다. 나의 또래 페미니스트들 중에 유교가 우리 문화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으며, 그것이 한국 여성의 삶에 악영향을 끼친 원흉이자 여태껏 끈질기게 살아남은 악령이라는 주장에 동의하지 않을 이는 거의 없을 것이다. 내가 읽어온 페미니즘 책에서는 고대부터 여성들은 차별당해 왔다는 이야기를 했다. 특히 고대 동양 여성들의 삶에 대한 안쓰러운 시각은 오래전부터 기정사실화되어 왔다.      초기 프랑스 페미니스트인 쥘리아 크리스테바는 1974년 <중국 여성에 관하여>에서 한 장의 제목을 ‘공자-여자를 잡아먹는 자’라고 붙이기도 했다. 1990년대 중반까지도 유교는 서구적 삶의 방식보다 뒤떨어지는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상징했다. 마저리 울프에게 유교란 여성 혐오와 동의어였다. “상하이의 젊은이들이 스탠포드대학교 MBA를 취득하고 다국적...
고은 2023.09.04 |
조회 128
세미나 에세이 아카이브
    진고응의 『장자』읽기     지난 번 <읽고쓰기 1234>에서 나는, 유소감이 장자의 도를 절대 자유로 풀이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에게 장자의 도는 옴짝달싹 할 수 없는 각박한 현실과 별개인 “정신적 자유”이다. 정신적 자유가 절대 자유로 풀이되는 이유는 바깥 현실로부터 어떠한 영향도 받지 않기 때문이다. 도의 절대성이란 무조건성, 즉 일개 사물과 달리 도는 어디에도 의존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이를 통해 나는 <읽고쓰기 1234> 시즌1에서 저자 정용선의 해체전략이나 시즌2 유소감의 도의 성질에 대한 풀이까지 모두 장자의 도를 “도가철학”의 흐름 속에서 파악한 것임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도가철학의 입장에서 장자의 도가 어떻게 절대 자유라고 불리게 되었는지를, 노장철학의 대가인 진고응의 『노장신론』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볼 계획이다. 먼저 『사기』를 통해 노자와 장자의 연관성을 알아보자.   노자와 장자는 어떻게 연결되었나   “태사공은 말한다. 노자가 귀하게 여긴 것은 도로(,) 허무를 추구하였고 변화에 따라 무위로 화하였으므로 지은 책의 말이 미묘하고도 알기 어렵다. 장자는 (유가의) 도덕을 흩어 논조가 방자한데 요점은 또한 자연으로 귀의하였다.” 『사기열전』 연암서가, <노자·한비열전>   장자는 어째서 도가철학으로 분류되었을까. 노자와 장자가 함께 묶인 그 기원을 찾아보자. 사마천은 <노자·한비열전>에서 장자를 노자의 계승자로 소개한다. 이에 대한 근거는 두 가지이다. 첫째 노자와 장자 둘 다 은둔자로 살았다. 노자는 공자가 주나라로 가서 예를 물을 정도로 도덕과 학문에 뛰어났지만, 은둔자로 살았기 때문에 지금도 생몰연대가 확실치 않다. 장자 역시 현인이라고 유명세를 떨쳤지만 입신양명의 기회가 있을 때마다...
    진고응의 『장자』읽기     지난 번 <읽고쓰기 1234>에서 나는, 유소감이 장자의 도를 절대 자유로 풀이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에게 장자의 도는 옴짝달싹 할 수 없는 각박한 현실과 별개인 “정신적 자유”이다. 정신적 자유가 절대 자유로 풀이되는 이유는 바깥 현실로부터 어떠한 영향도 받지 않기 때문이다. 도의 절대성이란 무조건성, 즉 일개 사물과 달리 도는 어디에도 의존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이를 통해 나는 <읽고쓰기 1234> 시즌1에서 저자 정용선의 해체전략이나 시즌2 유소감의 도의 성질에 대한 풀이까지 모두 장자의 도를 “도가철학”의 흐름 속에서 파악한 것임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도가철학의 입장에서 장자의 도가 어떻게 절대 자유라고 불리게 되었는지를, 노장철학의 대가인 진고응의 『노장신론』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볼 계획이다. 먼저 『사기』를 통해 노자와 장자의 연관성을 알아보자.   노자와 장자는 어떻게 연결되었나   “태사공은 말한다. 노자가 귀하게 여긴 것은 도로(,) 허무를 추구하였고 변화에 따라 무위로 화하였으므로 지은 책의 말이 미묘하고도 알기 어렵다. 장자는 (유가의) 도덕을 흩어 논조가 방자한데 요점은 또한 자연으로 귀의하였다.” 『사기열전』 연암서가, <노자·한비열전>   장자는 어째서 도가철학으로 분류되었을까. 노자와 장자가 함께 묶인 그 기원을 찾아보자. 사마천은 <노자·한비열전>에서 장자를 노자의 계승자로 소개한다. 이에 대한 근거는 두 가지이다. 첫째 노자와 장자 둘 다 은둔자로 살았다. 노자는 공자가 주나라로 가서 예를 물을 정도로 도덕과 학문에 뛰어났지만, 은둔자로 살았기 때문에 지금도 생몰연대가 확실치 않다. 장자 역시 현인이라고 유명세를 떨쳤지만 입신양명의 기회가 있을 때마다...
여울아 2023.09.04 |
조회 144
세미나 에세이 아카이브
  수행을 실천하는 21세기형 생태보살 데이비드 로이, 『과학이 우리를 구원하지 못할 때 불교가 할 수 있는 것』을 읽고     한 때 인류가 멸종이 된다고 해도 그게 무슨 문제일까? 라는 생각을 한 적이 있었다. 지구에서 인간 종이 사라져도 지구는 태양 주위를 돌며 ‘스스로 그러하게’ 존재할 테니 말이다. 인간 종이 지구에 행해왔던 일들을 생각하면 인류가 생태적 재난으로 생존을 위협받는 것은 업보일 뿐. 하지만 인간이 지구의 다른 생명들과 분리되지 않았음을 알고 느끼게 된 후로 자주 마음이 아프다. 영화 ‘수라’에서 봤던 아기 쇠제비갈매기의 안부가 궁금한 이유다. 정확히 언제부터인지 잘 모르겠지만 불교 공부 이후부터였던 것은 확실하다.     영화 '수라'에서 어미 쇠제비갈매기와 아기 쇠제비갈매기     불교에서 ‘연기법’과 ‘공성(空)’에 대한 이해는 우리가 다른 이들이나 지구의 뭇 생명들과 분리되지 않았다는 깨달음을 준다. 선수행자이자 사회적 참여불교 활동가인 데이비드 로이가 우리에게 당면한 생태-사회적 위기에 ‘에코다르마’를 들고나온 이유도 불교적 깨달음의 생태적 시사점에서 찾을 수 있다.  ‘에코다르마’는 불교 전통이 최근 전개하는 새로운 용어로, 생태적인 관심(eco)에 불교의 가르침과 그에 연관된 영적 전통(dharma)을 결합한 것이다. ‘생태 불교’라고도 할 수 있는 ‘에코다르마’에서는 궁극의 깨달음을 ‘사회적 실천’이라고 본다. 그리고 이를 실천하는 이들이 ‘생태 보살’이다.     불교의 위기인가? 아니면 불교의 기회인가?   환경 위기가 최근에 생겨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저자의 말에 의하면) 불교 수행자들과 불교단체들은 2010년 후반까지 (적어도 미국에서는) 생태위기에 대한 관심이 별로...
  수행을 실천하는 21세기형 생태보살 데이비드 로이, 『과학이 우리를 구원하지 못할 때 불교가 할 수 있는 것』을 읽고     한 때 인류가 멸종이 된다고 해도 그게 무슨 문제일까? 라는 생각을 한 적이 있었다. 지구에서 인간 종이 사라져도 지구는 태양 주위를 돌며 ‘스스로 그러하게’ 존재할 테니 말이다. 인간 종이 지구에 행해왔던 일들을 생각하면 인류가 생태적 재난으로 생존을 위협받는 것은 업보일 뿐. 하지만 인간이 지구의 다른 생명들과 분리되지 않았음을 알고 느끼게 된 후로 자주 마음이 아프다. 영화 ‘수라’에서 봤던 아기 쇠제비갈매기의 안부가 궁금한 이유다. 정확히 언제부터인지 잘 모르겠지만 불교 공부 이후부터였던 것은 확실하다.     영화 '수라'에서 어미 쇠제비갈매기와 아기 쇠제비갈매기     불교에서 ‘연기법’과 ‘공성(空)’에 대한 이해는 우리가 다른 이들이나 지구의 뭇 생명들과 분리되지 않았다는 깨달음을 준다. 선수행자이자 사회적 참여불교 활동가인 데이비드 로이가 우리에게 당면한 생태-사회적 위기에 ‘에코다르마’를 들고나온 이유도 불교적 깨달음의 생태적 시사점에서 찾을 수 있다.  ‘에코다르마’는 불교 전통이 최근 전개하는 새로운 용어로, 생태적인 관심(eco)에 불교의 가르침과 그에 연관된 영적 전통(dharma)을 결합한 것이다. ‘생태 불교’라고도 할 수 있는 ‘에코다르마’에서는 궁극의 깨달음을 ‘사회적 실천’이라고 본다. 그리고 이를 실천하는 이들이 ‘생태 보살’이다.     불교의 위기인가? 아니면 불교의 기회인가?   환경 위기가 최근에 생겨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저자의 말에 의하면) 불교 수행자들과 불교단체들은 2010년 후반까지 (적어도 미국에서는) 생태위기에 대한 관심이 별로...
도라지 2023.09.04 |
조회 148
세미나 에세이 아카이브
  우리의 풍경에서 새들이 사라진다면? 제니퍼 애커먼 『새들의 천재성』     까마귀와 물병   목마른 까마귀 두 마리가 물이 든 병을 발견했다. 부리가 물에 닿지 않았다. 한 마리는 포기하고 날아갔지만 다른 한 마리는 자갈을 물어오더니 병에 넣어서 물을 마셨다. 이솝우화에 나오는 이야기다. 그런데 이 이야기는 이솝의 상상력만으로 지어낸 이야기가 아닐 수도 있다.   2009년에 오클랜드 대학에서 이런 실험을 했다. 물병에 물을 조금 넣고, 까마귀가 좋아하는 애벌레를 띄워 놓았다. 이솝우화에서처럼 부리가 닿지 않았다. 자갈 몇 개를 주자 까마귀는 그것을 넣고 물의 수위를 높여 벌레를 먹었다. 두 번째로는 톱밥이 든 병과 물이 든 병을 주었다. 까마귀는 톱밥이 든 물병이 아니라 물이 든 물병에 자갈을 넣어 벌레를 꺼내 먹었다. 세 번째로는 크기가 다른 자갈을 주었다. 까마귀는 큰 자갈만을 골라 물병에 집어넣었다. 이 실험은 까마귀가 톱밥과 물의 성질을 구별하고, 큰 돌을 넣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물리법칙을 안다는 것을 보여준다. 와우!!   이뿐만이 아니다. 뉴칼레도니아까마귀는 도구를 만들어 쓰는 것으로 유명하다. 나뭇가지를 다듬어서 갈고리를 만들어 나무 구멍 속에 들어있는 애벌레를 꺼내 먹는다. 재미있는 것은 뉴칼레도니아의 지역에 따라 갈고리의 모양이 다르다는 것이다. 마치 인간에게 지역마다 다른 문화가 있는 것과 같다. 갈고리 모양은 유전자에 각인된 본능이 아니라 세대 간 전승과 학습의 결과다.   캘리포니아 덤불어치는 견과류, 씨앗, 과일, 곤충, 애벌레 등 다양한 먹이를 숨긴다. 덤불어치는 언제 어디에 무엇을...
  우리의 풍경에서 새들이 사라진다면? 제니퍼 애커먼 『새들의 천재성』     까마귀와 물병   목마른 까마귀 두 마리가 물이 든 병을 발견했다. 부리가 물에 닿지 않았다. 한 마리는 포기하고 날아갔지만 다른 한 마리는 자갈을 물어오더니 병에 넣어서 물을 마셨다. 이솝우화에 나오는 이야기다. 그런데 이 이야기는 이솝의 상상력만으로 지어낸 이야기가 아닐 수도 있다.   2009년에 오클랜드 대학에서 이런 실험을 했다. 물병에 물을 조금 넣고, 까마귀가 좋아하는 애벌레를 띄워 놓았다. 이솝우화에서처럼 부리가 닿지 않았다. 자갈 몇 개를 주자 까마귀는 그것을 넣고 물의 수위를 높여 벌레를 먹었다. 두 번째로는 톱밥이 든 병과 물이 든 병을 주었다. 까마귀는 톱밥이 든 물병이 아니라 물이 든 물병에 자갈을 넣어 벌레를 꺼내 먹었다. 세 번째로는 크기가 다른 자갈을 주었다. 까마귀는 큰 자갈만을 골라 물병에 집어넣었다. 이 실험은 까마귀가 톱밥과 물의 성질을 구별하고, 큰 돌을 넣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물리법칙을 안다는 것을 보여준다. 와우!!   이뿐만이 아니다. 뉴칼레도니아까마귀는 도구를 만들어 쓰는 것으로 유명하다. 나뭇가지를 다듬어서 갈고리를 만들어 나무 구멍 속에 들어있는 애벌레를 꺼내 먹는다. 재미있는 것은 뉴칼레도니아의 지역에 따라 갈고리의 모양이 다르다는 것이다. 마치 인간에게 지역마다 다른 문화가 있는 것과 같다. 갈고리 모양은 유전자에 각인된 본능이 아니라 세대 간 전승과 학습의 결과다.   캘리포니아 덤불어치는 견과류, 씨앗, 과일, 곤충, 애벌레 등 다양한 먹이를 숨긴다. 덤불어치는 언제 어디에 무엇을...
요요 2023.08.29 |
조회 197
세미나 에세이 아카이브
“Probably Approximately Correct - 기계학습을 다시 묻다” Leslie Valiant 2013 作, 이광근 2021 譯   도대체 컴퓨터는 어떻게 작동하나?      컴퓨터 프로그램을 짤 때 제일 난감한 경우가 내가 짠 프로그램이 ‘Looping 도는 경우이다(끝나지 않음)’. 운영자에게 killed된 프로그램을 들여다 보면, 논리적으로 이상이 없는데(반드시 이상이 있다!), 루핑이라는 것이다. 루핑됨을 미리 알 수 있으면 좋으련만 그럴 수 없다. 도대체 컴퓨터가 어떻게 작동되길래 그러는지 알고 싶어지는 순간이다.    S/W는 언어와 논리로 만들어 진다. 결과물을 내고 싶은 것을 언어로 표현하고, 그것을 논리적으로 프로그래밍하는 것이다. 개와 고양이를 구분하라는 문제를 생각해 보자. 먼저 언어(문장)로써 그것들을 구분하는 특징들을 적는다. 그런 뒤에 그 특징들을 입력값으로 하여 논리적인 추론을 만들어 프로그래밍한다. 그런데, 그 구분을 문장으로 만드는 것이 의외로 쉽지 않다. 소위 특징 설계(Feature Design)문제이다. 2000년대에도 해결되지 않았다. 그런데, 2014년 구글은 6.65%의 에러율로 고양이를 식별하였고(인간은 5.51% 에러), 2019년 MS사는 152개 층 구조로 천만건의 유투브를 학습시킨 결과 에러율을 3.56% 로 낮추었다. 그들은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방법을 적용하였다고 말한다. 기계·학습? 먼저 기계적이란 어떤 것인가?   계산 가능함: 기계적 계산이란 무엇인가?     생명체들은 어떻게 정보를 처리하고 행동을 결정하는 걸까? 튜링이 1936년에 논문(*)을 내기 전까지는 인류는 이 문제에 대해서 정의조차 하지 못하였다. 1928년 수학자인 David Hilbert는 수학명제를 입력으로 받아서 참과 거짓을 기계적으로 판단하는 소위, ‘수리명제 자동생성 문제’를 낸다. 튜링은 그것은 ‘불가능하다’라는 결론을 손쉬운 구체적인...
“Probably Approximately Correct - 기계학습을 다시 묻다” Leslie Valiant 2013 作, 이광근 2021 譯   도대체 컴퓨터는 어떻게 작동하나?      컴퓨터 프로그램을 짤 때 제일 난감한 경우가 내가 짠 프로그램이 ‘Looping 도는 경우이다(끝나지 않음)’. 운영자에게 killed된 프로그램을 들여다 보면, 논리적으로 이상이 없는데(반드시 이상이 있다!), 루핑이라는 것이다. 루핑됨을 미리 알 수 있으면 좋으련만 그럴 수 없다. 도대체 컴퓨터가 어떻게 작동되길래 그러는지 알고 싶어지는 순간이다.    S/W는 언어와 논리로 만들어 진다. 결과물을 내고 싶은 것을 언어로 표현하고, 그것을 논리적으로 프로그래밍하는 것이다. 개와 고양이를 구분하라는 문제를 생각해 보자. 먼저 언어(문장)로써 그것들을 구분하는 특징들을 적는다. 그런 뒤에 그 특징들을 입력값으로 하여 논리적인 추론을 만들어 프로그래밍한다. 그런데, 그 구분을 문장으로 만드는 것이 의외로 쉽지 않다. 소위 특징 설계(Feature Design)문제이다. 2000년대에도 해결되지 않았다. 그런데, 2014년 구글은 6.65%의 에러율로 고양이를 식별하였고(인간은 5.51% 에러), 2019년 MS사는 152개 층 구조로 천만건의 유투브를 학습시킨 결과 에러율을 3.56% 로 낮추었다. 그들은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방법을 적용하였다고 말한다. 기계·학습? 먼저 기계적이란 어떤 것인가?   계산 가능함: 기계적 계산이란 무엇인가?     생명체들은 어떻게 정보를 처리하고 행동을 결정하는 걸까? 튜링이 1936년에 논문(*)을 내기 전까지는 인류는 이 문제에 대해서 정의조차 하지 못하였다. 1928년 수학자인 David Hilbert는 수학명제를 입력으로 받아서 참과 거짓을 기계적으로 판단하는 소위, ‘수리명제 자동생성 문제’를 낸다. 튜링은 그것은 ‘불가능하다’라는 결론을 손쉬운 구체적인...
가마솥 2023.08.29 |
조회 132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