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고수다] 2번째 - 밥당번에 대한 심리적 고찰

뚜버기
2018-09-03 01:02
283

첫 주자였던 히말라야의 사회로 두 번째 <나는 고()수다>가 시작되었다.

         KakaoTalk_Moim_4M90MOSf83fuqreUL8PUixsMTkDWhz.jpg

인디언 선생님이 보내주신 입에 살살 녹는 흑임자떡과 문탁 선생님이 가져오신 물 건너온 달달한 것들 덕분인지 꽤 많은 학인들이 자리를 함께 했다.

    
   KakaoTalk_Moim_4M90MOSf83fuqrJZjrZa1XYPRPhdVE.jpg
KakaoTalk_Moim_4M90MOSf83fuqrJZjrZa1XYPRPl4Hg.jpg

이날 <()수다>의 주인공 띠우가 선택한 주제는 암비치오(ambitio)’ vs ‘도의심(pietas)’이었다. 원제는 게으르니에 대한 심리적 고찰이었으나 모종의 압박감을 느껴서 밥당번에 대한 심리적 고찰로 바뀌었다고 한다. 사실은 게으르니는 예에 불과할 뿐 우리 자신들에 대한 이야기였다.



                   dd.jpg
          6d1f96ef9414449a857399c4e7d95bdb.jpg


 

글은 제목의 변경이 시사하듯이 크게 두 가지 내용을 담고 있었다.


첫째, 밥당번이 없을 때마다 밥당번을 하는 것은 은키친 매니저인 게으르니에게 암비치오일까 도의심일까?


둘째, 선물의 공동체를 표방하는 문탁에서 왜 밥당번을 자발적으로 채워지지 않을까 였다.


    

생생한 사례를 곁들인 흥미진진한 띠우의 발표는 성공적이었던 듯하다. 발표가 끝나기 무섭게 질문들이 쏟아졌다


(어쩌면 우수참여자에게 주기로 약속된 자누리 신개발 세제 덕분?)


KakaoTalk_Moim_4M90MOSf83fuqreUL8PUixsMTkLDFv.jpg


우선 글의 뉘앙스로는 도의심과 비교할 때 암비치오가 나쁜 것처럼 들리는데, 암비치오가 구체적으로 뭐냐는 얘기로 시작됐다. 흔히 명예심(에 대한 욕망)이 암비치오라는 설명에 대하여 청중들은 명예심이 뭐가 나쁜가라는 질문이 제기되었다.


 

암비치오가 무조건 나쁘지는 않다

암비치오의 욕망이 작동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이성적이지 않을 때도 남들을 기쁘게 하기 위해 애를 쓴다

또 자기가 좋아하는 걸 남들도 좋아하게 만들기 위해 수고를 아끼지 않기도 한다

그런 정념들의 작동으로 사람들은 함께 어울려서 사회를 이루고 살게 된다. 라고 스피노자 팀원들은 열변을 토했다.

 

                  KakaoTalk_Moim_4M90MOSf83fuqreUL8PUixsMTkleTf.jpg


그렇다면 밥당번 제도는 문탁인들의 암비치오의 욕망을 건드리지 못하는 거냐, 우리 욕망의 배치에 밥당번이 우선순위에 들지 못함을 보여주는 것은 분명하다, 등의 이야기가 나왔다.


 


그렇다면 왜 띠우는 암비치오를 경계하는 걸까

암비치오로 공동식사(밥당번) 제도가 구성되었다고 해도, 게으르니가 열심히 은키친 매니저의 책무를 수행한다고 해도 거기엔 한계가 있다

암비치오는 수동적인 정념이기 때문에 마음이 요동치기 쉽다. (남이 칭찬해주거나 내 말을 잘 들어야 기뻐짐.) 

심해지면 시기심이나 질투로 변해버린다.

암비치오에 의해 구성된 공동체는 지지고 볶으면서 웃었다 삐졌다 하면서 굴러갈 것이고 심한 경우 깨져버릴 지도 모른다.


 


블랙커피 말처럼 구성의 문제가 아니라 이행의 문제로 본다면 암비치오는 부족하다. 도의심으로 정서가 변해야만 정념의 공동체에서 이성의 공동체로 이행될 수 있다.


                      KakaoTalk_Moim_4M90MOSf83fuqreUL8PUixsMTkxC81.jpg


 


그럼에도 불구하고 칭찬받고 인정받고 싶은 정념에 의존해서라도 좋은 것을 공유하는 것은 의미있다

 그런 배치 속에서 몸으로 경험하고 매번 환기하는 노력들이 반복될 때 공동선의 확산이 가능하다

암비치오가 아닌 도의심이 흐르는 공동체로, 정념의 공동체에서 이성의 공동체로 이행이 가능할 거라는 얘기들로 마무리 되었다.


 


, 10년간 왜 밥당번이 이렇게 안 채워지냐고 왈가왈부했지만 이렇게 십년간 채워온 게 더 놀랍다. 질문을 바꿔야 하는 것 아니냐는 얘기도 나왔다. 질문을 바꿔야 새로운 배치가 가능하다는....


 


내정된 우수참여자이신 여여샘은 누구나 암비치오에 따라 행동하지는 않는 것 같다는 이의를 제기하시면서 좀 맘에 안들어 하셨다

시간 관계 상 길게 이야기를 나누지 못해 아쉬웠는데 앞으로 계속될 ()수다를 통해 다루어 보면 좋을 듯.



추천 우수참여자인 수아는 자신은 평소 암비치오에 따라 살고 있는 것 같다. 하지만 밥당번을 쓸 때는 굶을 지도 모른다는 공포심으로 쓴 것 같다고...

앞으로 고수다에서 할 이야기들은 무궁무진 할 것 같다

댓글 3
  • 2018-09-03 20:37

    다음 <고수다>에서는 밥당번 말고

    참신한 사례로 스피노자를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ㅋㅋ

  • 2018-09-03 22:53

    블랙커피가 말한 구성의 문제가 아니라 이행의 문제라는게 어렵네요. 암비치오에서 도의심으로 이행이 가능한가요? 정념의 공동체에서 이성의 공동체로 이행하는건요? 이행이 뭔가요? 동양사유에선 변화의 변과 화를 다르게 봐요. 변은 일정 스펙트럼 내의 움직임이고 화는 질적으로 다른 스펙트럼으로 가는거지요. 이행은 어떤걸까요? 어떻게 일어나는 걸까요? 

    • 2018-09-03 23:07

      암비치오와 같은 수동정서(정념)는 상상의 산물입니다. 상상은 부적합한 인식이지요. 

      상상이 아니라 참된 인식=적합한 관념의 질서를 만들게 되면

      우리는 암비치오가 아니라 도의심을 발휘할 수 있게 됩니다.

      정확히 말하면 암비치오에서 도의심으로 이행한다기 보다

      부적합한 관념이 아니라 적합한 관념을 갖게 되면 

      우리는 암비치오가 아니라 도의심으로 행위할 수 있게 되는 거지요.

      암비치오는 외부 요인의 영향에 의해 지배욕이나 시기 질투로 변화하기 쉬운 수동-정서이지만

      도의심은 나의 역량으로부터 나오는 것이기에 변덕을 부리지 않는 능동-정서라는 강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문제는 어떻게 적합한 관념을 가질 수 있는가로 귀착됩니다.

      적합한 관념을 형성하기 위해 우리는 신체들 간의 합성의 경험을 가져야 합니다.

      신체들의 결합은 우리 정신으로 하여금 공통적인 것을 인식하게 합니다. 

      즉 공통관념이 형성됩니다. 아마도 누군가는 공통관념을 주제어로 나는 고수다에서 발표할 날이 있을 듯합니다.^^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725
[2023 철학학교] 시즌1 8주차『정념론』질문과 메모 (11)
정군 | 2023.04.20 | 조회 323
정군 2023.04.20 323
724
<정념론> 1부 후기-극과 극은 통한다? (11)
여울아 | 2023.04.13 | 조회 457
여울아 2023.04.13 457
723
5, 6 성찰 후기_성찰이 끝나기는 했는데.... (6)
봄날 | 2023.04.10 | 조회 445
봄날 2023.04.10 445
722
[2023 철학학교 시즌 1] 데카르트 <정념론> 1항 ~ 26항 요약문 (12)
이형은 | 2023.04.09 | 조회 464
이형은 2023.04.09 464
721
[2023 철학학교 시즌1] 데카르트 [성찰] 제5, 제6 성찰 요약과 질문 (14)
김재선 | 2023.04.04 | 조회 591
김재선 2023.04.04 591
720
[2023 철학학교 시즌1] 데카르트 [성찰] 제3, 제4 성찰 후기 (11)
가마솥 | 2023.04.04 | 조회 522
가마솥 2023.04.04 522
719
[2023 철학학교 시즌1] 데카르트 [성찰] 제3, 제4 성찰 요약과 질문 (12)
요요 | 2023.03.28 | 조회 366
요요 2023.03.28 366
718
[2023 철학학교 시즌 1] 데카르트 [성찰] 첫번째 세미나 후기 (9)
이형은 | 2023.03.26 | 조회 636
이형은 2023.03.26 636
717
[2023 철학학교 시즌1] 데카르트 [성찰] 제1, 제2 성찰 요약과 질문 (13)
아렘 | 2023.03.22 | 조회 758
아렘 2023.03.22 758
716
[2023 철학학교 시즌1] 3회차 <방법서설> 후반부 후기 (12)
호수 | 2023.03.18 | 조회 512
호수 2023.03.18 512
715
<철학학교0316 세미나> 방법서설 5부 요약 (12)
세션 | 2023.03.14 | 조회 729
세션 2023.03.14 729
714
<2023 철학학교 시즌1> 방법서설 후기 (24)
아렘 | 2023.03.10 | 조회 631
아렘 2023.03.10 631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