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曰可曰否 논어>27회-공부가 어떻게 밥이 될 수 있을까?

여울아
2018-09-10 09:03
377

  <曰可曰否논어>는 '미친 암송단'이 필진으로 연재하는 글쓰기 입니다.


 

子曰 君子謀道 不謀食 耕也 餒在其中矣 學也 祿在其中矣 君子憂道不憂貧 (위령공편 31장)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도를 추구하지, 밥을 추구하지 않는다.

농사를 지어도 굶주림에 대한 걱정은 그 안에 있지만, 공부를 하면 녹봉이 그 안에 있다.

그러므로 군자는 도를 걱정하지, 가난을 걱정하지 않는다.


 

지난 왈가왈부(22)에서 나는 공부의 성과는 현재 자신이 살고 있는 모습으로 드러난다고 말했다. 태백 12삼년을 공부하고도 녹봉에 뜻을 두지 않은 사람을 찾기 어렵다.”는 문장을 조급한 출세지향적 공부에 대한 경계로 해석한 것이다. 그런데, 이번 주 읽은 위령공편에서는 공부를 하면 녹봉이 그 안에 있다.”고 말한다. 이것은 삼년 공부를 하고 나서 녹봉에 뜻을 두지 말라.’는 문장과 정면으로 배치(背馳)되는 것 아닌가? 과연 이 두 문장은 모순적인가? 그리고 공자는 『논어 여기저기서 이랬다저랬다 말하고 있는 것일까



images1.jpg



먼저 지난 번 문장에서 풀이하지 않았던 三年學”, 삼년 공부에 대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이 문장에서 삼년은 공자학당의 학제일수도 있지만 딱히 알려진 바가 없다. 다만 그 정도 공부를 하고나면 어디 가서든 공자 밑에서 좀 배웠다고 인정받을만한 기간이거나 혹은 3년이든 5년이든 이만큼 배우면 다 배웠다고 당시 제자들이 스스로 획을 그은 불명확한 숫자일 수도 있다. 그러므로 삼년 공부는 어떤 공부 과정을 완수한 기간이라기보다는 학생들의 조급한 마음의 표현이다. 가령 대학 4년을 공부하고 나서 자신이 전공 분야에서 전문가라고 나서면 얼마나 우스운 꼴인지를 생각해보면 이해가 쉽다. 따라서 삼년 공부는 충분하지 못한 공부의 정도를 표현하고 있다. 공자는 그런 미성숙한 공부를 가지고 사회에 나가서 녹봉, 즉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면 실수가 많을 것을 염려한 것이다. 그러므로 공자는 공부와 녹봉의 관계에 대해 말을 바꾼 것이 아니다.


공자는 논어에서 공부를 제대로 하면 먹고 사는 길이 열린다고 일관되게 얘기하고 있다. 당시로는 녹봉이 계손씨 정도의 권세가 집안이나 왕의 부름에 따른 정계진출을 의미했지만, 오늘날은 나랏일 하는 공무원뿐 아니라 수만 가지 직업으로 먹고 사는 사람들의 월급으로 보는 것이 좋겠다. 하지만 단지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면 직접 농사를 짓는 것이 더 쉽지 않을까? 실제로 공자의 제자 번지(樊遲)는 공자에게 농사짓는 법을 물었다가 소인(小人)”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자로편 4).


af5e87599576477c914cb7d8d541b577.jpeg



위령공편에서는 공자가 도를 추구하는 공부와 먹을 것을 추구하는 공부, 둘로 나누고 있다. 도를 추구하는 공부는 22회에서 언급한 안회의 공부, 즉 내면을 키우는 공부일 것이고, 후자는 농사일()로 비유된다. 밭 갈고 모내기하다 보면 한 해 농사가 흉년이 들까 걱정하느라 오히려 먹고 사는 근심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는 의미이다. 하늘의 분노를 잠재우기 위해 기우제를 지내던 시대인 것을 감안하면, 공자는 농사일을 경시한 것이 아니라 홍수와 가뭄 같은 천재지변을 인간이 좌지우지할 일이 아니라는 입장을 분명히 했을 뿐이 아닐까? 이것은 술이편 20자불어 괴력난신(子不語怪力亂神)”과도 상통한다. 따라서 공자의 입장에서 농사일은 외부적인 성과에 의존하는 입신양명의 공부와 다를 바 없다.



20180821_112820.jpg



그렇다면 공부가 어떻게 밥이 될 수 있을까? 공자는 도를 추구하면 저절로 밥이 된다고 말한다. 이것을 적극적으로 해석하면 공부가 밥이 되지 않으면 먹고 사는 근심으로부터 헤어 나올 수 없다. 나는 밥이 되는 공부는 몰라도 오래전 직장생활을 통해 돈 벌기가 쉽지 않다는 것을 알았다. 먹고 살기 위해 아등바등하지 않으면 쌀 한 톨도 내 입으로 들어오지 않는 것이다. 그만큼 절실하게 나는 공부가 밥이 되기 위해 애를 썼던가. 공자의 도를 추구하는 공부는 혼자만 잘 살기 위한 공부는 아니다. 지난 주 고전공방 회의에서는 올해 고전공방 프로그램 신청자 수가 적은 것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여기서는 시류에 편승할만한 프로그램을 궁리하기보다(물론 아이디어는 필요하지만) 공부의 밀도와 강도(세기)가 도마 위에 올랐다. 어떻게 해야 우리의 공부를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을까? 나는 밥이 되는 공부에 대해서는 여전히 잘 모르겠다. 하지만 자기 자신과 친구들의 공부를 걱정하고 살피는 것이 도를 추구하는 과정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댓글 3
  • 2018-09-11 06:05

    공자가 농사일을 경시하지 않았지만 외부요인에 좌우를 많이 받기 때문에 외부적 성과에 의존하는 입신양명의 공부와 다를바 없이 보았다는 건가요? 근데 외부라는 요인만으로 이렇게 해석하는 건 잘 이해가 안 갑니다 

    • 2018-09-11 08:20

      공자가 입신양명을 좇는 것을 비판한 것과 마찬가지로이 문장에서는 먹을 것을 추구하는 농사일을 비판하고 있다고 봤어요.  그렇기 때문에 둘 다(밥과 명예/관직) 공부하면 저절로 얻어진다고 공자는 생각하지 않았을까요? 

  • 2018-09-28 09:01

    농사를 짓는다고 다 배불리 먹을 수 있는 것은 아니듯, 배우는 것으로도 녹을 구할 수 있다, 그렇다고 녹을 구하겠는가?

    농사를 짓거나 공부를 하거나 배부를 수도 가난할 수도 있다는 이야기?

    농사일을 입신양명과 다를 바 없이 보았다는 건 좀 이해하기가 쉽지는 않네요...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1048
논어 10회차 후기 (2)
마음 | 2022.05.22 | 조회 257
마음 2022.05.22 257
1047
<논어 >자로 2회차 후기 (3)
토토로 | 2022.05.03 | 조회 271
토토로 2022.05.03 271
1046
[사서읽기] 봄방학입니다~ (4)
진달래 | 2022.05.01 | 조회 253
진달래 2022.05.01 253
1045
[논어3회차] 중유(仲由)이고 계로(季路)이자 자로(子路) (5)
곰곰 | 2022.04.25 | 조회 341
곰곰 2022.04.25 341
1044
<논어>2회차 후기 (3)
도라지 | 2022.04.19 | 조회 247
도라지 2022.04.19 247
1043
사서 읽기. 6회차 후기 (4)
마음 | 2022.04.08 | 조회 241
마음 2022.04.08 241
1042
[사서학교] 이제 <논어>를 읽습니다 (1)
진달래 | 2022.04.04 | 조회 286
진달래 2022.04.04 286
1041
<대학> 4회차 후기 (4)
곰곰 | 2022.04.02 | 조회 312
곰곰 2022.04.02 312
1040
<사서학교> 대학 3회차 후기 (3)
토토로 | 2022.03.26 | 조회 291
토토로 2022.03.26 291
1039
[대학]2회차 후기 (4)
도라지 | 2022.03.18 | 조회 337
도라지 2022.03.18 337
1038
『대학』첫 시간 후기 (5)
마음 | 2022.03.14 | 조회 310
마음 2022.03.14 310
1037
우응순샘 특강 <사서의 탄생과 의의> 후기 (2)
진달래 | 2022.03.07 | 조회 290
진달래 2022.03.07 290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