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딩동 논어 5회] 공자에 반(反)하다, 염유와 재아

관리쟈
2020-04-18 08:57
422
딩동 논어]  딩동!~ 리플레이 논어가 편지처럼 왔습니다. 문탁의 고전답게 다양하게 변주된 <논어>, 친구들은 예전에 어떻게 읽었을까요? 몇 년전 부쳤던 편지를 받는 기분으로,  리플레이되는 논어를 천천히 읽어봅니다.

 

리플레이 5회는 파지스쿨 교사였던 진달래의 글입니다. 문탁에서 <논어>를 가장 많이 공부한 일인이자 파지스쿨에서 꾸준히 청년들과 <논어>를 공부한 선생으로, 공자의 제자, 특히 꾸지람을 자주 듣던 제자들에 관심을 갖고 쓴 글입니다.

글쓴이: 진달래 / 작성일: 2015-06-25 


 

공자에 반(反)하다, 염유와 재아

 

 

1. 공자에게 혼이 나는 염유와 재아

흔히 3,000명이나 되었다고 알려진 공자의 제자들 가운데 『논어(論語)』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공자의 가르침을 잘 따랐거나, 나름대로 성공한 제자들이다. 특히, 그 중 공문십철(孔門十哲)은 공자의 제자들 가운데 가장 뛰어난 인물들이다. 앞서 보았던 안연, 자로, 자공 역시 공문십철에 속하는 제자들이다. 안연은 정치에 나서지 않았지만 덕을 행하는 것(德行)으로 이름이 알려졌으며, 자로는 정치적 능력으로, 자공은 탁월한 말솜씨를 가지고 외교관으로 이름을 날렸다. 염유와 재아 역시 공문십철 가운데 하나였다. 염유는 자로와 더불어 정치적인 능력으로, 재아는 자공과 함께 말솜씨로 이름을 알린 제자들이다.

 

“덕을 행하는 것이 훌륭하기는 안회, 민자건, 염백우, 중궁이 있고, 말 잘하기로는 재아와 자공이 있으며, 정치에는 염유와 자로이고, 문헌에 밝기에는 자유와 자하가 있다. (德行 顔淵 閔子騫 冉伯牛仲弓, 言語 宰我 子貢, 政事 冉有 季路, 文學 子游 子夏)” (논어, 선진)

 

노(魯)나라 사람이었던 염유(冉有)는 이름은 구(求)이고 공자보다 29살 아래였다. 역시 노나라 사람이었던 재아(宰我)는 이름이 여(予)이며 정확하지 않으나, 염유와 같이 공자보다 29살 정도 어렸다. 안연, 자공과 비슷한 연배의 제자들이다. 또 자공이나 자로와 같이 이들은 노나라와 제나라에서 각각 높은 자리에 올라 출세했다. 그러나 염유와 재아는 다른 제자들과 달리 공자에 의해 문하에서 내쳐지거나, 낮잠이나 자는 게으른 학생으로 『논어』에 나타난다.

염유는 노나라의 대부인 계씨의 가신으로 들어갔다. 계씨는 대부였지만 노나라 제후를 능가하는 권력과 부를 가지고, 노나라 정치를 좌지우지 하고 있었다. 공자는 그런 계씨의 가신이 된 염유가 자신의 가르침을 통해서 나라의 질서를 바로 잡고, 계씨를 바른 길로 이끌어 주기를 원했다. 그러나 계씨가 백성들에게 세금을 더 걷으려 할 때 그 일을 염유가 맡은 것을 알고 공자는 몹시 실망하여, 화를 내며 “염유는 이제 우리 사람이 아니니, 너희들이 북을 울려서 성토를 해도 괜찮다.”고 말했다.

하루는 재아가 낮잠을 자고 있었다. 공자가 그것을 보고, “썩은 나무에는 뭔가를 새겨 넣을 수 없고, 거름흙으로는 담장을 바를 수 없으니, 재아를 어떻게 꾸짖어야 할지를 모르겠다.”고 화를 냈다. 하루 낮잠을 잤다고 이렇게까지 화를 내다니 공자가 너무 한다 싶기도 하다. 그런데 재아는 고집이 세고, 스승의 가르침에도 거리낌 없이 반대 의견을 내기가 일쑤였다고 하니, 그저 하루 낮잠을 잤다고 공자가 화를 내는 것은 아닌 것 같다. 언변이 뛰어났던 재아는 자공과 달리 자신의 언변을 믿고 섣불리 스승의 가르침과 다르게 말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공자는 이러한 재아를 보고 “내가 예전에는 그 사람의 말만 듣고도 그 사람을 믿었는데, 지금은 말을 들어도 행동까지 보고나서야 그 사람을 믿게 되니 이게 다 재아 탓이다.”라고 말했다.

 

2. 염유와 재아를 위한 변명

염유가 비록 계씨의 부를 늘려 주는 것으로 공자의 노여움을 사게 되지만, 공자가 14년간의 주유를 끝내고 노나라에 돌아 올 수 있도록 힘을 써준 이도 염유였다. 그는 스승이 힘들게 세상을 떠돌 때 함께 했으며, 그 와중에 계씨에 의해 중용되자 스승이 고국으로 돌아 올 수 있도록 힘썼다. 재아 역시 게으르고 말도 안 듣는 골칫덩이 제자 같지만 그는 매우 똑똑한 제자였다. 또 스승이 돌아가시고 자공이 공자를 성인으로 세울 때 적극 지지했다. 염유와 재아는 단지 욕심이 많거나, 게으른 제자는 아니었다. 그런데 왜 염유와 재아는 『논어』에 스승의 가르침에 반하는 제자로 남게 된 것일까?

공자가 살았던 시대는 주나라의 질서가 점차 무너지고 있던 시대였다. 공자는 그러한 세상의 무질서를 다시 주나라의 전통을 세워서 질서를 만드는 것으로 바꾸려했다. 그러나 세상을 어떻게 살기 좋게 만드는가에 대해서 제자들이 모두 공자와 같이 생각한 것은 아니었다.

 

공자가 위나라로 갈 때 염유가 말을 몰았다. 공자께서 “사람들이 참 많구나!” 하셨다. 그러자 염유가 말했다. “백성들이 많아지면, 그 다음에 무엇을 해야 하나요?” 공자께서 대답하셨다. “잘 살게 해 주어야지.” 염유가 또 물었다. “그럼 잘 살게 해 준 다음에는 무엇을 해야 하나요?” “가르쳐야지.”(子適衛 冉有僕 子曰 庶矣哉 冉有曰 旣庶矣又何加焉 曰 富之 曰 旣富矣又何加焉 敎之)(논어, 자로)

 

공자에게 있어서도 정치는 기본적으로 백성들이 잘 먹고, 잘 사는 세상을 만드는 것이었다. 그러나 공자의 정치는 그것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을 예악으로 교화하여 도덕적인 삶으로 이끄는 것이었다.

공자가 제자들에게 포부가 있으면 말해보라고 했을 때, 염유는 작은 나라를 다스리게 되면 3년 쯤 지나 백성들을 풍족하게 만들 수 있지만 예악과 같은 것은 현명한 사람을 기다리겠다고 대답했다. 정치를 한다는 것이 백성을 잘 살게 해주는 것이란 것에 공자와 염유는 동의하고 있지만, 예악의 문제 있어서는 서로 입장의 차이가 생긴 것이다. 아마 염유는 이미 무너진 질서를 다시 세운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그래서인지 염유는 공자와의 대화에서 “선생님의 도(道)를 좋아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힘에 부칩니다.”라고 말한다. 공자는 이에 대해서 힘에 부친다는 것은 가다가 중간쯤에 더 이상 못가겠다고 하는 것인데 너는 미리 금을 그어놓고 시작도 하지 않으려고 한다며 서운해 했다.

재아가 삼년상에 대해서 공자와 벌였던 논쟁 역시, 당시 공자와 다른 시각을 가졌던 제자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공자는 부모가 돌아가시면 삼년상을 치루는 것이 예(禮)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재아는 일 년도 길다고 생각했다. 삼년동안 예악(禮樂)을 소홀히 하면 예악도 무너지고, 일 년이면 새로운 곡식이 나는데 삼 년이나 일을 멈출 수 없다고 본 것이다. 공자는 재아의 말을 듣고 부모님이 돌아가셨는데, 밥을 먹고 비단 옷을 입는 것이 마음이 편하냐고 묻는다. 재아가 괜찮다고 하자, 공자는 부모님이 돌아가시면 먹어도 맛을 모르고, 음악을 들어도 즐겁지 않고, 집에 있어도 편하지 않은 것인데 너는 괜찮다니 그럼 마음대로 하라면서 몹시 언짢아했다. 공자는 인간으로서 도리를 재아가 하지 않는다고 화를 냈지만 재아의 입장도 틀린 말이라고 보기 어렵다. 삼년상이 말이 쉽지, 각자 자기 일은 어떻게 하고 삼년동안 상을 치룰 수 있겠는가? 인간이 해야 할 도리는 해야 하겠지만 우리는 또 어떤 면에서 늘 현실적인 문제와 부딪히기 때문이다.

 

책으로 여는 지혜의 인드라망, 북드라망 출판사 :: 마치며 : 논어의 ...

 

 

3. 이상과 현실의 사이에서 치열하게 다투다

염유와 재아의 공통점은 현실적이라는 것이다. 염유가 정치에 대해 생각할 때도 실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면, 재아 역시 삼년상이 현실적으로 실천하기 어려운 점을 들어서 반대 하고 있기 때문이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법으로써 따라오게 하고, 형벌로 다스리면 백성들이 면하려고만 하지 부끄러운 줄을 모른다. 하지만 덕으로 이끌고 예로 다스리면 부끄러워할 뿐 아니라 스스로를 바로잡아 선하게 된다,”(子曰 道之以政 齊之以刑 民免而無恥 道之以德 齊之以禮 有恥且格)(논어, 위정)

 

공자가 예악으로 정치를 한다는 것은 사람들이 형벌이 두려워서가 아니라 부끄러움을 아는 것으로 나쁜 일을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렇게 모두가 좋은 세상을 만들도록 스스로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공자의 이러한 생각을 사람들은 이루어지기 어려운 이상에 불과하고 생각했다.

공자가 제나라에 갔을 때 제나라의 재상이었던 안영은 공자의 이상 정치를 비판하며, 등용을 반대한다. 안영은 공자가 주나라의 예법을 회복하여 사회의 질서를 잡음으로써 나라는 다스려야 한다는 주장에, 복잡한 예악은 평생 배워도 익힐 수 없고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할 능력도 없다고 말했다. 결국 공자는 등용되지 못하고 노나라로 돌아왔다.

공자가 오십이 넘어 노나라에 재상이 되었다. 이 때 그는 삼환(노나라 대부집안, 계씨, 숙손씨, 맹손씨)을 타도하여, 나라의 질서를 바로잡고 싶어 했다. 그러나 그의 뜻은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삼환의 눈치를 보던 노나라 제후는 공자에게 힘을 실어 주지 않았다. 또한 공자로 인해 노나라가 힘을 키우는 것을 두려워한 제나라의 방해로 공자의 정책은 실패했다. 그리하여 결국, 공자는 14년이라는 긴 방랑의 길을 떠나야 했다.

공자는 부모 형제라는 가장 가까운 관계에서 시작하는 효(孝)와 제(悌)를 통해서 군주와 신하, 통치계급과 피통치계급에 이르기까지 각각의 직분에 맞게 질서를 지켜서 살도록 하는 것이 정치라고 생각했다. 그렇기 때문에 예악으로 자신이 직분에 최선을 다하고, 모두와 조화롭게 살도록 하는 것이 중요했다. 그러나 이미 그가 살고 있는 시대는 ‘힘’이 중요해지고 있었다. 누구의 힘이 더 센가가 중요한 것이다. 그리고 이미 노나라의 삼환은 노나라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제나라에도, 진(晋)나라에도, 어디에나 있었다.

 

14년 주유의 기간 동안 각국을 돌아다니면서 공자의 제자들은 그러한 스승의 한계를 절감했는지 모른다. 공자가 말하는 정치는 너무 시간이 많이 걸리는 일이다. 게다가 천하쟁패의 세계로 막 들어가고 있던 때, 부국강병이 각 나라의 제후와 대부들의 가장 큰 문제였을 터이고 관직에 나간 사(士)들의 고민이었다.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 앞에서 공자와 제자들의 생각의 틈도 점점 벌어졌다.

공문십철(孔門十哲)인 염유와 재아가 『논어』에 낮잠이나 자고, 스승에게 말대답하고, 결국 문하에서 쫓겨나는 모습으로 남은 것은 당시 이러한 문제들이 비단 염유와 재아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추측하게 한다. 따라서 『논어』의 염유와 재아 그리고 공자 사이에 보이는 긴장감은 현실 문제와 이상 정치 사이에서 치열하게 고민했던 공자스쿨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댓글 2
  • 2020-04-18 09:37

    당동 논어로 추억 소환과 함께 찐 예습복습합니다.
    잘 읽고 있어요. 담 주 화요일 <낭송 논어> 읽기도 기대됩니다.
    '우샘스쿨'도 얼릉 개강하길...

  • 2020-04-19 09:39

    한 때 재아를 조아했었다.... 영화 <공자>를 본 후~~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알림]
이문서당 2분기 2회차 수업 공지합니다 (6)
봄날 | 2021.05.11 | 3546
봄날 2021.05.11 3546
[알림]
2021년 이문서당 1회차 수업 공지합니다!!!!
봄날 | 2021.02.15 | 2782
봄날 2021.02.15 2782
[모집]
2021 강학원④ <이문서당> : 논어 (온라인과 오프라인 동시모집) (2.16 개강 /27주 과정) (43)
관리자 | 2021.01.09 | 조회 6071
관리자 2021.01.09 6071
[모집]
2020 以文서당 - 논어, 깊고 넓게 읽기 (55)
관리자 | 2019.12.16 | 조회 5676
관리자 2019.12.16 5676
834
(후기) 상상속 공자교실 (4)
바당 | 2020.12.08 | 조회 434
바당 2020.12.08 434
833
이문서당 3분기 8회차 수업은 줌으로 합니다!!
봄날 | 2020.12.07 | 조회 333
봄날 2020.12.07 333
832
(후기) 인이 멀리있는가 아니면 인할 마음(생각)이 없는 것인가.
여울아 | 2020.12.07 | 조회 527
여울아 2020.12.07 527
831
[미친복습단]논어 글쓰기 15차- 지극한 덕, 새 세상을 여는 키워드
바당 | 2020.12.06 | 조회 273
바당 2020.12.06 273
830
이문서당 3분기 7회차 수업 공지합니다!!
봄날 | 2020.11.30 | 조회 339
봄날 2020.11.30 339
829
[美親복습단]논어글쓰기 14차- 세상 따뜻한 남자, 공자님 (5)
바람~ | 2020.11.26 | 조회 341
바람~ 2020.11.26 341
828
이문서당3분기 6회차 공지 올립니다!
봄날 | 2020.11.23 | 조회 329
봄날 2020.11.23 329
827
[美親복습단] 논어 글쓰기 13회 공자님의 기도 (1)
뚜띠 | 2020.11.18 | 조회 296
뚜띠 2020.11.18 296
826
이문서당 3분기 4회차 후기입니다 (4)
잠잠 | 2020.11.16 | 조회 326
잠잠 2020.11.16 326
825
이문서당 논어 3분기 4강후기 (1)
지앵 | 2020.11.16 | 조회 353
지앵 2020.11.16 353
824
이문서당 논어 3분기 5회차 수업 공지합니다!
봄날 | 2020.11.16 | 조회 328
봄날 2020.11.16 328
823
[美親복습단] 논어 글쓰기 - 효孝가 무어냐고 물었더니,
영감 | 2020.11.16 | 조회 737
영감 2020.11.16 737
822
이문서당 3분기 4회차 수업 공지합니다
봄날 | 2020.11.09 | 조회 368
봄날 2020.11.09 368
821
이문서당 논어 3분기 3강후기 (뒷부분)
영감 | 2020.11.07 | 조회 365
영감 2020.11.07 365
820
이문서당 논어 3분기 3강후기; 10장 어질게 혀를 차다... (2)
뚜띠 | 2020.11.07 | 조회 373
뚜띠 2020.11.07 373
819
[美親복습단] 논어 글쓰기 11회 - 말 보다 행동
토용 | 2020.11.06 | 조회 331
토용 2020.11.06 331
818
이문서당 3분기 3회차 공지 올립니다!!
봄날 | 2020.11.02 | 조회 327
봄날 2020.11.02 327
817
이문서당 논어 3분기 2강 후기: 삶의 무게여 (6)
노라 | 2020.10.30 | 조회 403
노라 2020.10.30 403
816
[美親복습단]논어글쓰기 10회 - 미생의 미스테리 (3)
인디언 | 2020.10.29 | 조회 468
인디언 2020.10.29 468
815
이문서당 3분기 2회차 공지합니다!!
봄날 | 2020.10.25 | 조회 326
봄날 2020.10.25 326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