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구매해요, 논어징!!

아톰
2011-01-23 14:43
3310
정약용도 감탄한 일본 ‘소라이학’의 진수

지난 토요일 한겨레신문에서 소개한 책입니다. 우리가 논어를 익히는 중에 느꼈던 답답함을 풀어줄 수 있는 책같지 않습니까?

주자가 주석을 달아놓은 이후로 우리 땅에서는 다른 어떤 삿된 해석도 허락되지 않았던 논어가 일본에서는 상당히 다른 모습으로 길을 잡아갔네요. 

제가 30프로 이상은 싸게 살 수있는 방법을 모색해볼까 하니 뜻있는 분들은 댓글 달아주세요.

기존의 전통적인 해석과 비교해가며 논어를 다시 읽어보면 무지 재밌을 것 같지 않나요?

다섯 질만 되면 무조건 고고씽입니다요.

한겨레 고명섭 기자 메일보내기


<script src="/section-homepage/news/06/news_font.js" type="text/javascript"></script>

<style type="text/css"> .article, .article a, .article a:visited, .article p{ font-size:14px; color:#222222; line-height:24px; } </style>

에도 막부 시대 일본 유학의 혁신자 오규 소라이(1666~1728·그림)의 주저 <논어징>이 한국어로 처음 완역됐다. 동양철학을 전공한 임옥균·임태홍·함현찬 박사가 함께 옮기고 이기동 성균관대 교수가 감수했다. <논어징>이 완역됨으로써 그동안 주로 2차 문헌을 통해 소개되던 ‘소라이학’의 진수를 한국어로 직접 느껴 볼 수 있게 됐다.

오규 소라이는 흔히 앞세대 이토 진사이(1627~1705), 뒷세대 모토오리 노리나가(1730~1801)와 함께 에도시대를 대표하는 사상가로 꼽힌다. 진사이는 <논어>와 <맹자>를 연구하여 주자학을 비판하는 ‘고의학’을 창시했고 노리나가는 <고사기>라는 일본 역사책을 연구해 ‘국학’을 집대성했다. 소라이는 진사이의 주자학 비판을 더욱 철저하게 밀어붙여 송대 유학과는 아주 다른 독창적인 반주자학 사상을 세운 사람이다.

소라이의 사상을 국내에 알린 저작으로는 일본 정치사상가 마루야마 마사오의 노작 <일본 정치사상사 연구>가 먼저 거론된다. 일본 정치사상 연구에 획을 그은 이 저작에서 마루야마는 소라이를 근대성의 사상적 개척자이자 정치의 발견자로 주목했다. 그는 동서양을 동시에 관조하는 눈으로 송나라 유학의 완성자인 주자를 동시대 서구 기독교 신학자 토마스 아퀴나스와 같은 선상에 놓고, 주자학을 비판한 소라이를 근대 정치사상의 선구자가 된 마키아벨리에 견주었다. 마키아벨리가 도덕과 정치를 분리해 근대 정치학의 토대를 닦았듯이 소라이도 주자학의 도덕관념에서 벗어나 정치 자체를 발견함으로써 근대성의 싹을 틔웠다는 것이 마루야마가 포착한 소라이학의 핵심이었다.

» 논어징 1·2·3 오규 소라이 지음·임옥균 등 옮김 소명출판·각 권 2만9000원

소라이의 삶 자체도 마키아벨리의 삶과 유사한 면이 있다. 소라이는 도쿠가와 막부 5대 쇼군의 시의였던 오규 가게아키의 둘째아들로 에도(도쿄)에서 태어났다. 아버지가 쇼군의 문책을 받아 유배를 당하자, 아버지를 따라간 소라이는 유배지에서 주자학을 독학했다. 27살 때 아버지가 사면을 받자 소라이도 에도로 복귀해 유학자로서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5대 쇼군의 총신이었던 야나기사와 요시야스에게 발탁돼 17년 동안 그의 정치 고문 노릇을 했다. 1709년 5대 쇼군이 사망하자 야나기사와는 실각했고, 소라이도 관직에서 물러났다. 마키아벨리가 피렌체 공화정에서 14년 동안 관직생활을 하다 쫓겨난 뒤 <군주론>을 저술했듯이, 소라이도 관직에서 물러난 뒤 저술 작업을 본격화했으며 대표작 <논어징>은 죽는 순간까지 가필을 거듭했다.

소라이는 관직에 있던 시절 주자학적 도덕보다는 막부의 정치적 상황을 먼저 고려하는 관점을 취했는데, 그런 사실을 보여주는 에피소드가 1702년에 에도를 발칵 뒤집어 놓은 ‘46인 사무라이’ 사건이다. 주군을 잃은 낭인 46명이 주군의 원수인 기라 요시나카의 저택을 습격해 원수의 목을 벤 뒤 막부의 처분을 기다렸던 것이다. 이 사건은 주군에 대한 가신의 충성이라는 봉건적 주종관계와 막부 통일정권의 정치적 지배가 충돌하는 파장이 큰 사건이었다. 정치 고문으로서 소라이는 이 사태를 충성이라는 사적인 도덕으로 판단해서는 안 되며 천하의 법도를 세운다는 정치적 관점을 앞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건은 소라이의 조언대로 사무라이들의 할복 자살이라는 방식으로 종결됐다.

이 에피소드에서 엿보이는 정치 우위의 사상을 <논어징>에서 확인할 수 있다. ‘논어징’(論語徵)이란 공자의 말씀을 모은 <논어>에 대한 해석들을 ‘밝히고 검증한다’(徵)는 뜻이다. 소라이는 선진시대에 성립된 육경에 입각해 <논어>를 해설하면서, 주자의 논어 해설이 불교와 도교에 사로잡혀 있다며 <논어집주>를 반박하고, 이토 진사이의 <논어고의>가 주자학을 제대로 극복하지 못했다고 혹독하게 비판한다. 이런 비판작업을 통해 고대 육경으로 돌아가는 과정에서 소라이의 사상은 순자의 학설에 기울어지는 모습을 보인다고 옮긴이들은 말한다. 고대의 육경, 곧 <시경> <서경> <역경> <예기> <악기> <춘추>가 대부분 순자의 문하에서 경전으로 성립됐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맹자의 성선설이 아니라 순자의 성악설이 소라이 사상의 바탕을 이룬다.

더 중요한 것은 <논어>를 해석하는 데서 드러나는 정치적·현실적 태도다. 이를테면 공자가 말하는 ‘인’(仁)을 ‘사랑의 이치이며 마음의 덕’이라고 풀이하는 주자와 달리 소라이는 ‘백성을 편안하게 하는 것’으로 독해한다. 또 ‘학이’ 편의 ‘남이 알아주지 않아도 노여워하지 않는다’(人不知不溫)라는 주자의 해석을 거부하고 ‘윗사람이 알아주지 않아도 억울해하지 않는다’라고 풀이한다. 구체적인 정치적 해석인 셈이다.  ...

댓글 8
  • 2011-01-23 14:45

    아톰 한 질 신청이요!

    • 2011-01-24 14:57

      저도 신청이요!

  • 2011-01-23 19:34

    문탁도 한 질 신청입니다 !

  • 2011-01-24 07:35

    人不知不溫에 대한 그럴듯한 해석이네요. 저도 한 질 신청합니다.

  • 2011-01-24 09:29

    와우!

    반장님 만세!!

    저도 신청합니다.^^

  • 2011-01-24 10:16

    우리집은 한 질이면 충분할 것 같습니다.

  • 2011-01-24 15:05

    강물도 한 질요...

    • 2011-01-26 13:18

       저도 한 질 주세요

      토요일 마다 일도 많고

      계속 빠지다 보니 마음도 해이해지고

      정신 좀 차리게 되면 공부하러 갈게요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191
[2023 한문강독세미나] <전습록>과 <당시삼백수> (5/18일 시작) (4)
토용 | 2022.12.31 | 조회 968
토용 2022.12.31 968
190
처사는 아무나 하는 것이 아니다.
느티나무 | 2022.12.09 | 조회 226
느티나무 2022.12.09 226
189
조짐을 읽어라!!-범증론 후기
인디언 | 2022.12.05 | 조회 166
인디언 2022.12.05 166
188
오랑캐는 다스리지 않는다 (1)
토용 | 2022.11.25 | 조회 175
토용 2022.11.25 175
187
후기 : 소식의 <희우정기>
자작나무 | 2022.11.16 | 조회 154
자작나무 2022.11.16 154
186
소식의 <이군산방기(李君山房記)>
요요 | 2022.11.07 | 조회 204
요요 2022.11.07 204
185
소식의 표충관비 후기: 나라를 버려도 괜찮아~
콩땅 | 2022.11.01 | 조회 172
콩땅 2022.11.01 172
184
후기 -소동파의 적벽부
누룽지 | 2022.10.24 | 조회 161
누룽지 2022.10.24 161
183
上田樞密書(상전추밀서) (1)
울타리 | 2022.09.18 | 조회 185
울타리 2022.09.18 185
182
후기-소순의 <고조론> (1)
느티나무 | 2022.09.15 | 조회 160
느티나무 2022.09.15 160
181
후기 - 관중에 대한 새로운 시각 : 소순의 <관중론>
인디언 | 2022.08.31 | 조회 169
인디언 2022.08.31 169
180
후기 - 파리와 붕당
느티나무 | 2022.07.15 | 조회 147
느티나무 2022.07.15 147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