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회찬이 남긴 숙제 (아젠다 17호 / 20211020)

문탁
2021-10-20 13:05
285

 

  *영화 <노회찬 6411>에 대한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노회찬 6411>이 개봉되었다. 볼까 말까 망설였다. 봐야 하는 이유는 많았다. 한때 몸담았던 진영과 옛 동지들에 대한 의리, 그와의 개인적 인연, 노회찬 재단에서 애쓰는 분들에 대한 고마움... 그러나 걱정도 많았다. 무엇보다 이 영화의 성격과 관련된 것. 이것은 어떤 영화일까? 회고? 애도? 질문? 회고라고 하기에는 그를, 그의 시대를 객관적으로 다룰 만큼의 시간이 지나지 않았다. 공적 애도와 관련해서도 그의 죽음 직후의 거대한 애도 행렬, 신문과 방송에서의 각종 특집이 이미 있었다. 혹시 이 영화가 <노회찬에게 작별을 고합니다>라는 손석희의 그 유명한 앵커 브리핑 4분53초를 127분으로 늘려놓은 것이면 어쩌지? 이런 것들과 연결된 것이지만 노회찬 지지자들에 의한 노회찬의 재현이 노무현 지지자들에 의한 노무현의 재현, 혹은 박정희 지지자들에 의한 박정희 재현과 정말 다른 것일 수 있을까, 라는 영화적 질문도 있었다. 나에 대한 걱정도 있었다. 나는 그 영화의 수많은 인터뷰이처럼 그와 일정 기간 사적으로, 공적으로 깊이 연루된 관객이다. 회고와 애도 없이 그를 이야기하는 게 애당초 불가능하다. 울지 않고 그 영화를 볼 수 있을까? 추억과 감성을 소비하지 않는 영화 보기가 가능할까? 그런데 울기 위해 영화를 보러 간다는 건, 또 얼마나 웃기는 일일까?  그러나 그 모든 사려(思慮)에도 불구하고 나는 개봉 당일 영화를 보러 갔다. 그리움이 모든 걸 압도했기 때문이다. 

 

  영화는, 우려한 만큼 나쁘진 않았다. 영웅서사나 신파를 배제하겠다는 감독의 의도가 뚜렷했고 그에 따라 영화도 그의 ‘공적인 삶’, 특히 2000년 이후의 진보정당 정치인으로서의 분투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그런데 바로 그 때문에 이 영화는 이미 알려진 사실을 연대기적으로 보여주는 것 이상으로 나아가지 못한다. 그와 내가 2000년 이후 소원해졌음에도 불구하고 그 영화에서 내가 모르는 사실은 하나도 없었다. 무엇보다 나는 손석희의 그 앵커 브리핑을 엔딩으로 배치한 것이 못내 아쉬웠다. 우리는 그의 삶과 죽음을 다루면서 “정치인 노회찬은 노동운동가 노회찬과 같은 사람이었고, 또한 정치인 노회찬은 휴머니스트로서의 자연인 노회찬과도 같은 사람이었다”라는 손석희의 회고, 나아가 “노회찬은 돈 받고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람이 아니라 적어도 돈 받은 사실이 끝내 부끄러워 목숨마저 버린 사람”이라는 손석희의 규정 이상으로 나아갈 수 없는 것일까? 애도가 아닌 질문은 불가능한 것일까? 영화를 보고 나오면서 뭔가를 쓰고 싶다고 생각했다. 평상시 가졌던 단편적인 생각들, 그러나 영화를 통해 더 분명해진 어떤 질문들. 설익고 개인적이지만 그래도 시작은 해봐야 하는 질문들을.

 

 

AVvXsEgIe1gKrYTC-XeyCtjBKzgykl1FlqlBJyyTFOZP6hu7iCJFOZ0cxu6QKLYIY9k-GEIkb7KNHkYF8G3ScWIVQS1h84bRigE_oiT1z5NU4unZscg2-s29RFsR3hJlJlesKPJKdAVQsKJFNit5llcXPdcyRNV7Gl_OCqk6Ogo_Yu7sdHOIALk3qnJKGxhd5g=w640-h3602014년 2월 문탁네트워크 역사강좌에서 진보운동사에 대해 강의하는 고(故) 노회찬 의원

 

 

 

  영화 속에서 그의 평생 동지였던 윤영상은 “진보정당운동은 실패했다”고 이야기한다. 그런데 그의 증언에 따르면 노회찬은 그 말에 동의하지 않았다고 한다. 여전히 진보 정치를 바라는 대중들의 열망은 흘러넘친다는 것이다. 아마도 민주노동당의 분열과 소위 ‘노심조’의 탈당, 진보신당의 창당 즈음이었을 것이라고 짐작한다. 그 이후 알다시피 진보정당 운동은 분열에 분열을 거듭한다. 노회찬과 심상정이 진보신당을 나와 통합진보당을 만들 때, 그와 다시는 안 보겠다고 생각한 동지들이 무척 많았다는 것도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나는 민중당 해산 이후 그 진영을 떠났지만 그래도 2000년 민주노동당이 창당할 때 정말 기쁘고 설레고 벅찬 마음으로 그 창당대회장에 앉아 있었다. 그런데 민주노동당이 분열하던 그 어떤 시점에 나 역시 민주노동당을 탈당했다. 나는 여전히 노회찬을 사랑하는 팬이었지만 진보 정치에 대해 미련은 점점 사라졌다. 나와 함께 문탁네트워크의 다른 많은 친구도 그러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만약 영화가 그의 공적 삶, 정치인의 삶에 초점을 맞춘다면 나는 6411번 버스를 타고 있는 노회찬뿐만 아니라 정파 투쟁을 하는 노회찬도 다루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의 정적들은 그를 어떻게 평가하는가? 진보신당 분열에 대한 동지들의 비판을 노회찬은 어떻게 받아들였을까? 정파 출신이면서 정파를 뛰어넘는 정치를 꿈꾸는 것은 미션 임파서블 아닐까? 선한 정치인이며 동시에 강력한 권력의지를 가진 정치인이라는 감독의 규정은, 긴장과 모순을 포함하고 있는 것 아닐까? 그가 받았다는 4,000만 원은, 도덕적 이슈가 아니라 이념과 현실의 긴장 속에서 진동하고 있는 진보 정치의 이슈가 아닐까? 하여, 1987년 ‘인민노련’이 선언했던 대중적인 진보정당, 대의제 진보정치는, 2021년 현재도 여전히 유의미한 아젠다인가? 이런 질문이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생략된 ‘정치인 노회찬’에 대한 재현은, 나로서는 받아들이기 힘들었다.

 

  그리고 두 번째 질문. 그는 왜 그의 6411 버스 안의 노동자를 애틋해 하는 만큼이나 아내를 배려하지 못했을까? 사실 이건 나의 꽤 오래 묵은 질문이다. 김지선, 노회찬의 아내 이전에 이미 인천 노동운동의 대모로 유명했던 인물. 강단 있으나 배려심 넘치고 공식 학력이 낮았지만 지성이 빛나던 사람! 나는 수십 년 전 그녀를 만났던 첫 순간에 단박에 그녀를 알아봤고 그 이후 쭉, 그녀를 좋아했고 존경했다. 그런 그녀가 영화 속에 인상적인 모습으로 두 번 등장한다. 한번은 영화 초반 남편에게 보낸 편지를 통해. 내용은, 이런 식이면 더 이상 당신과 살지 않겠다는 이야기이다. 하루 24시간이 공적인 삶으로 꽉 차 있어 사생활이 없었던 남자. 너무 고단하여 자기 부인에게는 대화 한번, 미소 한번이 버거웠던 남자의 아내로 사는 인간의 진솔한 심정. 그런데 이후 노회찬은 바뀌었을까? 김지선 선배의 심정은 영화에서 한 번 더 재현된다. 2004년의 <아침마당>. 아나운서가 묻는다. 이제는 유명해진 노회찬. 다시 태어나면 지금의 남편과 결혼하시겠습니까? 그녀의 대답은 ‘아니오’였다. 그러나 노회찬은 “처음에도 거절했지만 결혼했듯이 지금도 거절하지만 결국 또 이생에서 결혼할 것”이라며 유려하고 유머러스하게 응수하고 모두의 박장대소로 그 장면은 훈훈하게 마무리된다. 

 

  그러나 나는 묻게 된다. 김지선과 노회찬조차 어떤 성별분업 속에서 살게 만드는 우리 사회의 젠더 배치를. 김지선이 남편에게 갖는, 공적 의리와 사적 불만 사이의 갈등을 과감히 삭제해버리는 모든 재현물들의 폭력성을. 그리고 이제 영원한 기념비로 남은 노회찬 옆에서 영원히 그의 아내로 박제화될 김지선 선배의 어떤 삶을. 

 

  마지막으로 그의 죽음. 누군가에게는 충격적이고 누군가에는 놀라움이고 누군가에게는 조롱의 대상이었던 그의 죽음. 영화에서 그의 오랜 동지였던 최봉근은 이렇게 말한다. “아는 것과 하는 것, 겉과 속이 일치하는 드문 사람이다. 그런데 마지막에 작다면 작고 크다면 큰 불일치가 생긴 거예요. 그 불일치를… 목숨으로 바꿨죠.” 그러나 아이를 보살필 사람이 없어서 진보정당에서 칼퇴근을 해야 했고, 칼퇴근을 해야 해서 ‘복지부동(伏地不動)’의 자세로 일할 수밖에 없었고, 공적으로든 사적으로든 오욕과 오해를 밥 먹듯이 먹으면서 살아왔던 나는, 그의 마지막 선택이 남성적이고 운동권적이라고 생각한다. 일상은 늘 지리멸렬하고 치욕은 삶의 불가피한 조건이고 생은 명분과 이념을 초과한다. 하여, 나는 ‘그의 죽음을 존중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의하지는 않는다. 

 

 

AVvXsEiFZAgZeHvvN-mZFJlJLJXxUj-dvgkBFn91zjEpFw8w67L1rIY-8tbTHmQWgvAjpDEN0qDwHFE4WJ6vexgTTJ-QHTaAQcf61QI1PNNuvFM8Q9SLqJgVdOxhOThQ9AmHwEQ3mN4ZvmhqmFZVf10V5FCvXmRjRf5I_aIosZPTgqQXgIAYHxMZf72Q7xoWTA=w640-h480 ▲ 2020년 4월 노회찬 묘소에서 꽃을 바치는 내 딸

 

 

 

   영화가 끝나고 엔딩 크레딧이 길게 올라갔다. 돌아오는 길은 어둑어둑해졌고 나는 남겨진 울음을 목 안에서 삼키고 있었다. 슬픔은 살아남은 자의 몫이다. 우리는 아마 슬픔을 넘어 각자 살아갈 것이다. 나는 그가 주문한 방식은 아니겠지만 내 방식대로 걸어갈 것이다. 질문을 품고 그것을 숙성시키면서.....

댓글 0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