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메모<스틸 라이프>
유
2021-11-13 00:23
72
아직 아무도 안오리신건가요? 아님 다른곳??
일단 이곳에 올립니다
2021.11.13 영화 인문학/유/스틸 라이프
일단 영화를 본 나의 감상은 잔잔하고 평화스러움 속 고독과 함께, 각 집힌 영상이 아름다웠다. (Still-life)를 찾다보니 ‘정물화’라는 뜻이 있다. 영화 속 주인공처럼 영화의 스토리도 영상도 깔끔하고 심플했는데, 전혀 거부감이 느껴지지 않았다. 단지 아무도 찾지 않는 사람들을 도리를 다해 보내고자 마음을 다했던 그인데.. 그렇게 흔들림과 변화와 함께 죽음이 찾아오다니... 그리고 존 메이가 죽고 난 뒤 그의 일상 속 흔적 속에 그 만이 빠져 있는 정물화 같은 삶의 한 컷 한 컷들이 너무 슬프고 안타까웠다.
“이 집을 치우며 지독한 고독을 보았다면 그것은 결국, 내 관념 속의 해묵은 고독을 다시금 바라본 것이다.”(죽은 자의 집 청소, 김완 지음, 김영사)
어쩌면 최근에 우연히 보게된 ‘죽은 자의 집 청소’라는 책 때문에 이 영화가 더욱 잔잔했을 수도 있다. 작가는 죽는 사람들의 집 청소(주로 고독사)라는 다소 특수한 직업을 가지고 있다. 존 메이 역시 고독사 죽음을 정리하고 떠나보내는 직업을 가지고 있다. 영상이나 짧은 대화로 해석의 소지를 많이 남겨놓는 영화와 달리 책은 좀 더 친절하고 구체적으로 표현된다. 이 책 또한 고독사의 많은 소재들로 사람의 죽음과 삶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너무 친절한 구체적 사건들을 접해서 이 영화가 조금은 잔잔하게 다가왔다 싶기도 하다. 장례비용을 청구할까 겁이 나서 죽은 아버지를 또 한번 피하는 아들. 고양이를 자식처럼 함께 했던 망인. 책에서도 영화에서도 심지어 살아 있는 메이에게서도 지독한 고독이 느껴졌다. 하지만 그의 직업의 마지막 사건, 윌리엄 스토크와 그의 사람들을 만나며 존 메이는 조금씩 변화된다.
왜 제목이 스틸 라이프일까? 영화에서 주인공 존 메이의 직장 상사는 장례식은 살아 있는 사람을 위한 것이라고 말한다. 누군가의 죽음 뒤 살아갈 사람들을 위한 영화인가? 그건 아닌 것 같은데 'still life'란 어떤 의미일까 내가 생각?해낼 수 있는 (공명했던?) 키워드는 고독뿐인가생각해보게 된다.
댓글 0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알림] |
[알림]
<4주 단기세미나모집>『사유 속의 영화』 읽기
(20)
띠우
|
2020.12.07
|
조회 1228
|
띠우 | 2020.12.07 | 1228 |
[모집] |
[모집]
[모집]2022 CDP 영화인문학 시즌1 <영화의 시대(4/15개강)>
(8)
띠우
|
2022.03.15
|
조회 698
|
띠우 | 2022.03.15 | 698 |
[모집] |
[모집]
2021 토요영화인문학 시즌3 <영화, 사유하다>
(14)
띠우
|
2021.09.10
|
조회 872
|
띠우 | 2021.09.10 | 872 |
[모집] |
[모집]
2021 영화인문학 시즌2 <영화, 다시보다>
(9)
블루리본
|
2021.05.13
|
조회 1009
|
블루리본 | 2021.05.13 | 1009 |
[모집] |
[모집]
2021 토요영화인문학 시즌1 <영화, 이해하다>
(5)
필름이다
|
2021.01.26
|
조회 1609
|
필름이다 | 2021.01.26 | 1609 |
[모집] |
[모집]
[퇴근길영화인문학] 퇴근길 영화인문학 시즌3 : 텍스트로서의 영화(10/15개강)
(16)
영화인문학
|
2020.09.15
|
조회 929
|
영화인문학 | 2020.09.15 | 929 |
[모집] |
[모집]
[퇴근길영화인문학] [모집] <퇴근길영화인문학시즌2> 알·쓸·도·잡의 영화(6월11일 시작)
(17)
띠우
|
2020.05.10
|
조회 943
|
띠우 | 2020.05.10 | 943 |
[모집] |
[모집]
[퇴근길영화인문학] [모집] 퇴근길 영화인문학 시즌1 : 거의 모든 것의 영화(3/12개강)
(6)
영화인문학
|
2020.01.16
|
조회 1201
|
영화인문학 | 2020.01.16 | 1201 |
73 |
[2022 영화인문학시즌1] 3주차 : 내.신.평.가. #2 <무방비 도시> (6)
띠우
|
2022.05.15
|
조회 66
|
띠우 | 2022.05.15 | 66 |
72 |
[2022 영화인문학시즌1] 2주차 : 내.신.평.가.#1 <게임의 규칙> (6)
청량리
|
2022.04.30
|
조회 111
|
청량리 | 2022.04.30 | 111 |
71 |
[2022 영화인문학시즌1] 첫시간 후기 - 찰리 채플린을 만나다 (4)
띠우
|
2022.04.24
|
조회 81
|
띠우 | 2022.04.24 | 81 |
70 |
2021 영화인문학 시즌3 에세이발표 후기 (10)
청량리
|
2021.11.29
|
조회 247
|
청량리 | 2021.11.29 | 247 |
69 |
토요영화인문학 시즌3 에세이 (6)
참
|
2021.11.19
|
조회 135
|
참 | 2021.11.19 | 135 |
68 |
시즌 3 에세지(스틸라이프)
유
|
2021.11.19
|
조회 127
|
유 | 2021.11.19 | 127 |
67 |
<스틸라이프>, 이제 에세이를 써야 할 시간 (4)
토토로
|
2021.11.13
|
조회 141
|
토토로 | 2021.11.13 | 141 |
66 |
마지막 메모<스틸 라이프>
유
|
2021.11.13
|
조회 72
|
유 | 2021.11.13 | 72 |
65 |
영화 인문학 여섯번째 후기-이웃집에 신이 산다 (7)
유
|
2021.11.09
|
조회 197
|
유 | 2021.11.09 | 197 |
64 |
영화 인문학 다섯번째 시간 후기- 노매드랜드, 자기만의 '집' (4)
micales
|
2021.11.04
|
조회 151
|
micales | 2021.11.04 | 151 |
63 |
영화인문학 다섯번째 시간 메모 (4)
수수
|
2021.10.29
|
조회 98
|
수수 | 2021.10.29 | 98 |
62 |
영화인문학 시즌3 네번째 시간 후기 (8)
참
|
2021.10.25
|
조회 160
|
참 | 2021.10.25 | 160 |
61 |
영화인문학 시즌3 세번째 시간 후기 (5)
수수
|
2021.10.18
|
조회 166
|
수수 | 2021.10.18 | 166 |
60 |
영화인문학 세번째 시간 메모 (5)
수수
|
2021.10.15
|
조회 128
|
수수 | 2021.10.15 | 128 |
59 |
<영화인문학시즌3> 두번째 시간 후기 (3)
띠우
|
2021.10.14
|
조회 129
|
띠우 | 2021.10.14 | 129 |
58 |
영화 인문학 두번째 시간 메모 (1)
micales
|
2021.10.09
|
조회 86
|
micales | 2021.10.09 | 86 |
57 |
영화인문학 시즌 3 첫시간 후기 (1)
느티나무
|
2021.10.08
|
조회 119
|
느티나무 | 2021.10.08 | 119 |
56 |
영화인문학시즌3 시작합니다 (5)
청띠
|
2021.09.30
|
조회 161
|
청띠 | 2021.09.30 | 161 |
55 |
짧은 방학 단기 문학 세미나 후기 (4)
띠우
|
2021.08.20
|
조회 183
|
띠우 | 2021.08.20 | 183 |
54 |
영화인문학시즌2 한형모 감독의 <돼지꿈(1961)> 후기 (1)
띠우
|
2021.07.29
|
조회 252
|
띠우 | 2021.07.29 | 252 |